영국, 미국 등 금융선진국의 자본시장은 시장에서 자연스럽게 만들어졌다. 이들 시장에서는 정부관료보다는 민간에서 배출한 걸출한 인물들의 스토리가 많다. 불과 수십 년 전 황무지에서 출발한 대한민국 자본시장은 초창기 정부와 철저한 계획과 육성이 필요했다. 이렇다 보니 경제관료의 영향을 떼 놓고는 우리 자본시장의 발전을 설명할 수 없는 것이 자연스럽다.
금융투
1956년 대한증권거래소(현 한국거래소) 설립과 함께 시작된 국내 주식시장이 오는 3일로 ‘환갑(還甲)’ 맞이한다. 지난 60년간 한국 주식시장은 1960년대 증권파동, 1997년 외환위기, 2000년대 초 닷컴버블과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등 위기 속에서도 성장을 지속하며 오늘날 세계 13위 시장으로 발돋움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초창기 주식시장은
오늘날 주가지수의 등락은 주식투자자가 아닌 일반인에게도 일기예보처럼 친숙한 뉴스다. 그만큼 국민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는 얘기다.
하지만 40여년 전의 주식시장은 극소수 투자자들이 좌지우지하는 소규모 투기시장에 불과했다. 지금은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을 합쳐 약 1500개 기업이 상장돼 있지만 과거에는 상장기업이 몇 개에 불과한 협소한 시장이었다.
‘모든 역사는 인물의 역사’라는 말이 있다. 대한민국의 경제 발전의 밑거름이 된 한국의 자본시장의 역사 또한 국내 자본시장의 태동과 발전을 이끌었던 거목(巨木)들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이들의 활약상은 한국 경제 발전 역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대목이다. 금융투자업계 여러 관계자의 의견을 모아 자본시장을 움직인 인물들을 꼽아 봤다.
◇한국 자본시장
‘창업(創業)보다 수성(守城)이 더 어렵다’라는 말이 한국도자기에 똑같이 적용되고 있다. 국내 1위 도자기업체 한국도자기가 창립 72년만에 공장 가동을 전면 중단했다. 적자의 눈덩이에서 벗어나지 못한 탓에 공단 중단이란 극약 처방을 내린 것이다. ‘무차입경영’원칙을 줄곧 내세웠던 김동수(79) 한국도자기 회장의 원칙에 틈새가 벌어질때 이는 이미 예견된 일
LH가 지난해 2009년 통합 이후 처음으로 7조2000억원의 금융부채를 감축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매출, 영업이익 등 대부분의 경영지표가 개선됐다.
8일 LH에 따르면 지난해 LH는 매출액 21조2000억원, 영업이익 1조1000억원, 순이익 8000억원을 달성했다. 이는 전년대비 매출액 16%, 영업이익 34%, 순이익은 19% 상승한 것이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금융부채가 최근 6개월새 3조6000억원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1월 이재영 LH 사장이 무디스를 비롯한 국제 신용평가사를 면담한 자리에서 '사채 동결 선언'을 한 후 부채 감축 효과가 가시화되고 있는 것이다.
1일 LH에 따르면 4월말 현재 금융부채는 지난해 말 105조7000억원보다 약 3조6000억원이 감소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신규 사채 동결을 선언했다.
이재영 LH 사장은 4일 홍콩에 있는 국제 신용평가사 무디스와 S&P를 방문한 자리에서 “부채 축소는 이제 생존의 문제로 인식하고 있다. 내년부터 국민주택기금을 제외한 사채 증가는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LH는 내년도 사채 발행 규모를 내년에 상환 만기가 도래하는 사채 금액 이하로 동결하
창조경제는 창업 활성화로부터 시작한다. 창업 활성화를 가로막는 최대의 걸림돌이 창업자 연대보증이다. 그런데 창업자 연대보증 해소의 전제조건으로 기업가의 도덕적 해이를 지적하는 전문가들이 상당하다. 이제 도덕적 해이의 대안을 살펴보기로 하자.
연대보증 제도의 시작은 기업가의 도덕적 해이로부터 비롯됐다. 1972년 8월 3일 박정희 대통령은 사채동결이라는 초
이헌재 전 경제부총리는 한국경제의 위기극복 방안을 논하며 경제민주화 등 정부의 시장 규제 강화 기조에 우려를 표했다. 우리 경제의 기력 회복을 위해선 시장에 보다 자유로운 환경을 만들어줘야 한다는 진단이다.
이 전 부총리는 최근 서울 경복궁 인근 사무실에서 기자와 만나 “정부의 경제민주화는 시장 흐름에 대한 이해 부족”이라면서 “정책 흐름이 시장과 자
최근 저축은행이란 명칭을 상호신용금고로 환원하자는 법안이 발의되면서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하지만 상호신용금고라는 명칭이 저축은행의 영업 형태를 정확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업권의
명칭 변경이 단순히 감정적인 접근을 벗어나야 한다는 주장이다.
상호신용금고라는 용어가 처음 등장한 것은 1972년 박정희 정권의 8.3 사채
올해 초 금융지주사들이 금융당국의 요청(?)을 받아 들여 부실 저축은행을 인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금융시장의 최대 불안 요인인 저축은행 부실 문제를 해결해 안정화를 꾀하는데 일조하겠다는 것입니다. 저축은행을 이용하는 대다수가 서민이란 점에 비춰 볼 때 충분히 취지에 공감하는 부분입니다.
하지만 부실 금융기관을 단순히 은행에 떠넘기는 방식으로는 문
최근 정부가 서민경제 안정화를 꾀하기 위해 각종 조치를 내놓고 있지만 40여년 전인 1972년엔 오히려 서민을 옥죄고 기업을 살찌우는 금융 조치가 단행됐습니다.
이른바‘8.3 긴급조치’, 즉‘경제안정과 성장에 관한 긴급명령’으로 정부가 사채에 허덕이는 기업들을 구체하기 위해 헌법 73조에 의한 대통령의 긴급명령권을 발동한 것입니다.
이 조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