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산업의 효율적인 발전을 위해선 산업체와 학계, 연구계와 정부의 유기적 협력이 필수로 요구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8일 국회도서관 소회의실에서 열린 ‘글로벌 바이오 산학연병정의 유기적 공조 생태계 방안’ 토론회에서 송철화 한국과학기술정책연구회 회장은 “과학기술 주권이야말로 국가의 생존과 인류 전체의 건강한 삶을 유지하고 증진하기 위해 중요한 부분”
신약개발에 필요한 인공지능(AI) 기술 발전과 협업 생태계 조성을 목표로 하는 AI신약개발협의회가 본격 출범했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인공지능신약개발지원센터(이하 AI센터)는 지난 13일 ‘AI신약개발협의회’를 발족하고, 초대 회장에 김이랑 온코크로스 대표를 선임했다고 14일 밝혔다.
AI신약개발협의회(이하 협의회)는 첫 회의를 열고 △AI 신약개발 오픈이
원희목 한국제약바이오협회장이 국내 바이오 생태계를 글로벌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정부 컨트롤타워 중심의 효과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원 회장은 13일(현지시간) 오전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바이오USA)' 개막을 앞두고 기자들을 만나 "제약바이오혁신위원회를 통해 각 부처가 협력할 수 있는 큰 힘의 컨트롤타워를 만들어야 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