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승남 더불어민주당 의원(재선·전남 고흥보성장흥강진)은 22일 "농축어민과 농어촌이 잘사는 나라, 2027년 대선에서 정권교체를 이뤄낼 강한 민주당을 만들겠다"며 제22대 총선 출마를 선언했다.
김 의원은 이날 오전 전남도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인구 감소 위기에 처한 농어촌 공동체를 지켜내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청년들은 대부분 농어촌을 떠
쌀 과잉 공급을 막겠다며 정부가 추진 중인 '논 타작물 재배 지원 사업(쌀 생산조정제)'이 농가의 호응을 얻지 못하고 있다.
20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쌀 생산조정제 참여를 신청한 농지 면적은 19일 기준 약 5600㏊다. 농식품부가 올해 사업 목표로 삼은 5만5000㏊의 10.2%에 불과하다. 쌀 생산조정제는 쌀 과잉생산을 줄이고 밭작물 자급률을
농림축산식품부는 올해 벼 재배면적 5만ha 감축을 목표로 쌀 생산조정제(논 타작물 재배 지원 사업)를 추진한 결과 3만3000헥타르(1ha=1만㎡)의 신청이 접수됐다고 25일 밝혔다. 타작목재배 정책 사업 약 4000ha를 포함하면 총 3만7000ha로 목표 대비 74% 수준이 될 것이란 설명이다.
올해 간척농지 신규 임대 약 5400ha 계약절차가
정부가 만성적인 쌀 공급 과잉을 억제하기 위해 올해와 내년 5만㏊씩 총 10만㏊의 벼 생산 면적을 줄인다는 계획을 내놨다. 현재 벼 재배 면적 75만5000㏊의 13%에 이르는 규모다. 하지만 농가의 신청이 절반 이하로 저조해 이를 보완할 대책이 요구된다.
19일 농림축산식품부와 농협중앙회 등 농업계에 따르면, 쌀 생산량을 줄이기 위한 쌀 생산
농림축산식품부의 내년 총지출 규모는 14조4940억 원으로 편성됐다. 올해보다 소폭 53억 원 늘어난 규모다.
이 중 식품분야 지원 규모는 6739억 원으로 올해 대비 738억 원(9.9%) 삭감했다. 대신 축산 사육환경 개선 및 가축질병 예방을 위한 상시 방역체계 구축에 4775억 원을 책정했다. 올해보다 16.0% 증액한 규모다.
특히
문재인 정부는 고질적인 쌀 과잉생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생산조정제를 가동한다. 어업 분야에서는 연근해 어업생산량 110만 톤 회복, 양식업 생산량 230만 톤 달성을 목표로 제시했다.
19일 국정기획자문위원회의 국정운영 5개년 계획에 따르면 농림축산식품부는 2018~2019년 생산조정제(15만ha)를 한시 도입한다. 이와 병행해 공익형 직접지불제도 개편
국민의당이 4일 정부가 편성한 추가경정예산안에서 LED 교체사업 예산 등은 깎는 대신 중소기업 취업 청년 임금지원 사업 등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추경 심사를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정부의 공무원 증원 계획엔 반대 입장을 거듭 분명히 밝혔다.
국민의당 이용호 정책위의장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중소기업 일자리 지원 강화를 통해 진짜 일자리 창출과 구
내년도 쌀값 안정 문제가 벌써부터 걱정이 된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20일 통계청이 조진래의원(국회 농림수산식품위)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9월15일 작황조사 결과에 따르면, 2009년 쌀 예상생산량은 468만2000톤으로 평년작 456만5000톤보다 11만7000톤이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정부는 2008년산 쌀 10만톤에 대해 농협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