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D현대오일뱅크는 국내 정유사 최초로 해외 선사인 대만 양밍에 초저유황 바이오선박유를 수출했다고 12일 밝혔다.
해양 환경 규제가 강화함에 따라 바이오선박유의 수요가 늘어나면서, 정유업계가 친환경 연료를 미래 먹거리로 낙점하고 시장 선점을 서두르는 모습이다.
이번엔 공급한 바이오선박유는 황 함유 비율이 0.5% 이하로 낮은 초저유황 중유를 기반으로
중소벤처기업부(중기부)는 영국 버밍엄에서 31일 오후 5시(현지시간)에 부산 차세대 해양모빌리티 글로벌혁신특구의 친환경 선박 및 핵심기자재 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한·영 국제공동 연구개발(R&D) 라운드테이블' 행사를 성공적으로 개최했다고 밝혔다.
글로벌 혁신특구는 신기술을 활용해 지역의 혁신 사업이나 전략 산업을 육성하고자 규제 완화, 국제공동 R&
HMM은 ‘선박용 탄소 포집 시스템(OCCS)’을 컨테이너선에 설치하고 실증에 나섰다고 2일 밝혔다.
이번 실증은 2200TEU(1TEU=20피트)급 컨테이너선 ‘HMM 몽글라’호에서 진행된다. HMM은 운항 중 온실가스 감축량, 선박에 미치는 영향 등을 면밀히 점검할 예정이다.
OCCS는 선박 운항 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포집 후 액화 저장해 배
이렘이 국내 대형 조선사의 벤더 등록을 완료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렘은 국내 유수의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업체에 특수 스테인리스 강관을 납품하며 기술력을 인정받아왔다. 하반기부터 액화천연가스(LNG)선용 강관 공급을 추진, 친환경 선박 분야까지 사업 영역을 넓힌다.
현재 이렘은 국내 조선사의 수주호황 기조에 발맞춰 특수 강관 설비를 증설 중이다.
국제 항해 선박의 온실가스 배출 기준 규제에 대응한 바이오연료 도입이 차질없이 추진되고 있다.
한국석유관리원은 친환경 선박용 바이오연료 국내 도입을 위한 실증연구를 진행 중이라고 23일 밝혔다.
실증연구는 국제해사기구(IMO)가 정한 탄소집약도지수(CII) 등 국제항해 선박의 온실가스 배출 규제 대응을 위한 것으로, 정유사, 바이오에너지협회, 바이
한국해사협력센터는 전 세계적으로 강화되고 있는 선박 온실가스 감축 규제에 따라 국제 탈탄소화 동향에 대한 국내 해운선사, 조선사 및 관련 기관의 올바른 이해를 돕기 위해 올해 발행한 ‘탈탄소화 국제해사동향’ 5개 호를 묶어 합본집을 발간했다고 6일 밝혔다.
한국해사협력센터는 해양수산부와 한국해운협회의 지원을 통해 지난해부터 탈탄소화 국제해사동향을 격월
한화오션, 삼성중공업, HD현대는 부산 벡스코에서 열리는 ‘국제 조선 및 해양 산업전(코마린) 2023’에 참가해 관련 기술을 대거 선보인다고 23일 밝혔다.
3사는 지난달 7일 싱가포르에서 열렸던 ‘가스텍 2023’에서 가스 운반선 위주의 기술력을 선보였다면, 이번 코마린 2023에서는 더 넓은 범위의 친환경 기술력 소개에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한
HMM은 15일 GS칼텍스와 함께 국내 최초로 친환경 ‘바이오선박유’(Bio Marine Fuel) 시범 운항을 개시한다고 밝혔다.
HMM의 6400TEU급 컨테이너선인 ‘HMM 타코마호’(HMM TACOMA)는 이날 부산신항 4부두(HMM부산신항만)에서 GS칼텍스가 생산하여 공급한 바이오선박유를 급유 받고 운항을 시작했다.
바이오선박유는 폐원료 기
HMM이 온실가스 배출 감축을 위해 GS칼텍스와 친환경 바이오선박유 사업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6일 밝혔다.
서울 강남구 GS타워에서 진행된 협약식에는 박진기 HMM 총괄부사장을 비롯해 이승훈 GS칼텍스 S&T본부장 등 30여 명이 참석했다.
바이오선박유는 화석연료 대비 온실가스 배출이 80% 이상 적은 폐원료 기반 바이오디젤과 선박유(벙커
HMM은 삼성중공업 및 국내 친환경 설비 전문기업인 파나시아와 컨테이너선박용 탄소 포집 시스템의 실증 연구를 진행한다고 19일 밝혔다.
선박용 탄소 포집 시스템(OCCS, Onboard Carbon Capture System)은 선박 운항 시발생하는 배기가스 내 이산화탄소(CO₂)를 포집해 배출을 방지하는 온실가스 대응기술이다. 향후 IMO 등 국제기구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31일 전경련 컨퍼런스센터에서 법무법인 광장과 공동으로 '2023년 기업 경영 법·제도 리스크 점검 세미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전경련 측은 기업들이 금년도 경영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법·제도적 변화를 점검하고 각종 사법적 리스크에 대비하는 방안을 점검하기 위해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권태신 전경련 부회장은
정부가 친환경 선박 기술개발 지원을 위해 수소연료전지, 이차전지, 암모니아 혼합연소 엔진 등 다양한 친환경 선박 추진기관 실험이 가능한 만능실증선박(해상테스트베드) 건조에 착수한다.
해양수산부는 국내 최초로 다양한 선박용 친환경 연료 추진기관을 시험·실증할 수 있는 만능 실증 선박 건조를 위해 16일 전남 목포에서 강재 절단식을 갖는다.
기후변화 위기
두산그룹이 신성장 동력 마련에 속도를 내고 있다. 특히 국내에서 수소법 개정안이 정식 공포됨에 따라 두산그룹은 차세대 수소연료전지를 통한 시장 선점을 본격화하겠다는 의지다.
두산은 31일부터 9월 3일까지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리는 국내 최대 수소산업 전시회 ‘H2 MEET’에 참가해 차세대 수소 충전 및 활용 솔루션을 선보인다고 밝혔다.
‘H2
정부가 2030년까지 2540억 원을 투입해 친환경 선박 개발 및 실증에 나선다.
해양수산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15일 부산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에서 ‘친환경 선박 전주기 혁신기술개발사업 통합사업단’을 출범하고 사업에 본격 착수한다고 밝혔다.
최근 글로벌 기후변화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국제해사기구(IMO)의 선박 온실가스 배출 규제가 강화되고 있다.
팬오션은 13일 ‘차세대 친환경 스마트 벌크선 연구를 위한 양해각서(MOU) 체결식’을 진행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협약에는 팬오션, 포스에스엠, 한국조선해양, 포스코, 한국선급, 자율운항 선박기술개발사업 통합사업단, 아비커스 등 총 7개사가 참여했다.
이번 협약은 선주사, 조선소, 화주사, 선급 등 선박 발주부터 운영에 관련된 전문가 집단이 참
삼성증권은 30일 팬오션에 대해 투자자들의 관심사는 최근 호황의 지속 여부와 이에 대한 회사의 대응 전략이라며 투자의견 '홀드'와 목표주가 6700원을 유지했다.
김영호 삼성증권 연구원은 "최근 BDI가 4200포인트를 돌파하면서 2010년 5월 이후 11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며 "현재 신조 발주 잔고는 5.6% 수준으로 역사적 저점이며 1.5~
2023년부터 운항 중인 총톤수 400톤 이상 선박에 대한 온실가스 감축 규제가 강화된다.
해양수산부는 이달 10일부터 17일까지 개최된 국제해사기구(IMO) 해양환경보호위원회(MEPC)에서 해양오염방지협약(MARPOL)이 개정됨에 따라 2023년 1월 1일부터 현재 운항 중인 국제항해선박(이하 현존선)에 온실가스 배출 규제가 적용된다고 23일 밝혔다.
두산밥캣, 두산퓨얼셀이 그룹의 확실한 캐시카우(수익창출원)로 거듭나기 위해 연구개발비를 늘렸다.
두산그룹이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주력 계열사를 매각하는 어려운 상황에 처했음에도 이뤄진 조치이다.
양사는 떠나간 계열사들의 빈자리를 채우기 위해 미래 먹거리 발굴에 더욱 매진한다.
밥캣ㆍ퓨얼셀, 지난해 코로나19에도 연구개발비 늘려
29일 금융감독원에
정부가 2030년까지 국내 선박의 15%를 친환경 선박으로 전환해 온실가스 40만 톤, 미세먼지 3000톤을 줄이기로 했다. 또 향후 수소·암모니아 등 무탄소 선박기술을 조기에 확보해 기존 유류 선박 대비 온실가스를 70% 이상 줄이는 방안을 추진한다.
해양수산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23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제1차 친환경선박 개발・보급 기본계획(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