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동나비엔의 지배구조핵심지표 준수율이 53.3%로 전년보다 소폭 감소했다. 일부 지표가 신설된 영향을 피하지 못했다.
3일 2023년 기업지배구조보고서 공시에 따르면 경동나비엔은 지배구조핵심지표 15개 중 8개 요건을 맞췄다. 준수율은 53.3%로 전년(60%)에 비해 낮아졌다.
경동나비엔은 올해 신설된 ‘현금 배당관련 예측가능성 제공’ 항목을 다른
경동나비엔의 이사회가 리더십과 산업 전문성에 강점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이사회 구성원 7명 중 IT 역량을 보유한 이사는 1명에 그쳤다.
21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경동나비엔 이사회 구성원 7명(사내이사 4명ㆍ사외이사 3명)은 모두 ‘리더십’ 역량을 갖춰 기업의 전략과 인적 자원 관리 전문성을 가졌다.
지난해 11월 ‘이사회 운영규
1000대 상장사 CEO 1350명 中 토끼띠는 131명내년 환갑 맞는 1963년생 103명으로 가장 많아최고령 토끼띠는 1927년생 강신호 동아쏘시오 명예회장
2023년 계묘년이 임박한 가운데 국내 주요 기업의 토끼띠 최고 경영자(CEO)에도 이목이 쏠리고 있다.
28일 기업분석전문 한국CXO연구소가 국내 매출 1000대 상장사의 반기보고서 등을
리더스인덱스, 500대 기업 CEO 현황 조사10월 이후 임명된 CEO 47명…지난해 51명업종은 은행, 이력은 경영기획서 가장 많아
글로벌 경제위기로 경영환경이 악화하면서 대기업들이 신임 CEO 교체를 최소화했다. 내부 출신 비율이 증가하는 반면 외부 영입 비율이 줄었다. 여성 CEO가 늘어난 점도 눈길을 끈다.
27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가
경동나비엔이 김종욱 부사장을 신임 대표이사로 선임했다고 30일 밝혔다. 경동나비엔은 기존의 손연호 대표이사 단독대표 체제에서 각자대표 체제로 변화해 생활환경기업으로 도약을 가속할 예정이다.
김종욱 신임대표는 서울대학교 제어계측공학과를 졸업하고 KAIST에서 전기전자ㆍ컴퓨터공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연구원 출신의 CEO다. 업계에선 개발 전문가로서 하드웨어
국내 보일러 시장 1위 기업 경동나비엔을 실질적으로 지배하는 경동원의 일감 몰아주기(내부거래)가 ‘국가대표급’인 것으로 드러나 눈총을 사고 있다. 내부거래 규모는 해가 지날수록 증가 추세로 안정된 매출을 바탕으로 올린 수익은 오너가의 곳간을 채우고 있다.
경동원그룹은 고 손도익 회장이 1967년 부산에서 설립한 왕표연탄이 모태다. 이후 손 회장은
△한국가스公, 두산중공업 외 12개사 대상 2000억 규모 손배소 청구
△동양생명, 주당 200원 현금배당 결정
△신세계건설, 대표이사 윤명규씨로 변경
△한전기술, 주당 110원 현금배당 결정
△한국가스공사, 2월 실적 358만9000t…전년동월比 3%↑
△경동나비엔, 손연호·홍준기 대표체제로 변경
△STX, 3600억 규모 유상증자 결정
△현대차, 올해 판매목표 508만대
△경동나비엔, 손연호 단일 대표이사 체제로 변경
△기아자동차 올해 판매목표 317만대
△신성솔라에너지 자율협약 종료
△한미반도체, 대만 PTI사에 19억 규모 장비 공급계약 체결
△두산건설, 김해에 1279억 규모 공동주택 신축공사 수주
△SK이노베이션, “올해 최대 3조원 투자할 것”
△이엔쓰리, 베트남에 37억여원
△피에스엠씨, 풍산에 93억 규모 담보제공 결정
△파라텍, 삼성물산과 376억 규모 공사 계약
△에이치엘비파워, ESS기업 루비 지분 69.8% 취득
△빛과전자, 롯데렌탈과 17억 규모 용역 계약
△코다코, 현대파워텍과 2650억 규모 자동차부품 공급계약
△GST, 美 업체와 13억 규모 공급계약 체결
△에이스테크, 인도 업체와 119억 규모 안테나 공급
△세원셀론텍, 대림산업과 기기 공급 계약 체결
△미원화학, 보통주 2만8360주 취득
△코오롱글로벌, 코오롱바스프이노폼과 1539억원 규모 공사계약
△대림비앤코, 이해영 부회장 이사 재선임
△CJ씨푸드, 이상구 대표이사 신규선임
△미래에셋증권 “대우증권 인수가 2조3205억원”
△동아지질, 삼성물산으로부터 190억 규모 공사 수주
△대상홀딩스, 각자 대표이
경동원을 통해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손연호 회장이 경동나비엔 주가 떠받치기에 나섰다. 대형주의 전반적인 부진속에 공매도가 이어져 주가가 흔들리자 직접 자금을 투입, 주가 방어에 나선 것이다.
16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경동나비엔의 지분을 50.51% 보유했던 경동원의 지분율은 최근 손연호 회장이 직접 1.01%의 지분을 사들이며 51.52
경동원그룹은 연탄사업으로 시작해 탄광 개발, 보일러 생산, 도시가스 공급에 이르기까지 우리나라 난방사업의 역사를 고스란히 담고 있는 그룹이다. 창업주인 고 손도익 회장이 별세한 뒤 2003년 계열분리를 통해 3형제가 각자의 사업을 운영하면서 그룹 울타리 안에 있는 상호 가족회사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부산 왕표연탄 모태… 경동나비엔 보일러로 명성 = 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