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적단백질분해(TPD) 기업 프레이저테라퓨틱스는 290억 원 규모의 시리즈B 투자 유치를 완료했다고 1일 밝혔다.
회사는 현재 SPiDEM™ 플랫폼을 활용해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등 퇴행성 뇌질환 신약 및 항암 신약 개발을 진행 중이다.
SPiDEM™ 플랫폼은 다양한 E3 리가아제를 활용해 광범위한 단백질 표적화가 가능하다. 이를 통해 기존 기술의 한
인공지능(AI) 서비스 플랫폼 기업 ‘뤼튼테크놀로지스(뤼튼)’은 830억 원의 추가 투자를 유치해 최종 1080억 원 규모로 시리즈B 라운드를 마무리했다고 31일 발표했다.
이번 추가 투자 유치에는 신규로 참여한 굿워터캐피탈이 리드 투자자로 나섰다. 기존 투자사인 BRV캐피탈매니지먼트, 캡스톤파트너스, 우리벤처파트너스, 수이제네리스파트너스, 앤틀러,
3월 4주 투자를 유치한 주요 스타트업은 BHSN, 웍스메이트, 트이다, 폴리머라이즈 등이다.
◇BHSN
비즈니스 리걸 인공지능(AI) 솔루션 ‘앨리비’를 운영하는 비에이치에스엔(BHSN)은 100억 원 규모의 시리즈B 투자를 유치했다. 이번 투자에는 기존 투자자인 알토스벤처스가 후속 투자를 단행했고, 한국산업은행, 우리금융캐피탈이 신규 투자자로 참여
SK텔레콤, 美 AI스타트업 '투게더 AI'에 전략적 투자AI 모델·플랫폼 협력부터 AI DC까지 기술 고도화 협력"AI 스타트업 투자 후 기업 가치 3배 상승"앤트로픽, 퍼플렉시티, 트웰브랩스…투자 협력 계속
SK텔레콤은 글로벌 AI 최적화 전문 스타트업인 ‘투게더AI(together.ai)’에 전략적 투자를 진행하고 AI 플랫폼 구축을 위한 개발
신약 연구개발(R&D)에 공들이는 국내 제약사들이 미국 관계사·자회사를 통한 임상에 속도를 내고 있다. 세계 최대 의약품 시장 미국을 더 수월하게 공략하려는 전략이다.
20일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GC녹십자, 한독, 동아ST 등 전통 제약사들의 미국 현지 관계사·자회사들이 신약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글로벌 임상의 환자 모집 과정에서 드는 품
GC녹십자는 미국 관계사 큐레보(Curevo Vaccine)가 대상포진 백신 ‘아메조스바테인(Amezosvatein, 프로젝트명 CRV-101)’ 개발을 위한 1억1000만 달러(1594억 원) 규모의 시리즈B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자금 조달은 백신 투자 경험이 풍부한 유럽 생명과학 전문 벤처캐피털 메디치(Medicxi)의 주도로
3월 1주 투자를 유치한 주요 스타트업은 씨드로닉스, 포탈301, 더플레이토 등이다.
◇씨드로닉스
인공지능(AI) 선박 자율운항 솔루션 기업 씨드로닉스는 150억 원 규모 시리즈 B 투자를 유치했다. 기존 투자자인 원익투자파트너스와 라이트하우스컴바인인베스트를 비롯해 LB인베스트먼트, KB인베스트먼트, 산업은행이 참여했다.
씨드로닉스는 실제 운항 데
2월 4주 투자를 유치한 주요 스타트업은 레이와트, 제이엘티, 테이밍랩 등이다.
◇레이와트
심혈관 중재 의료기기 스타트업 레이와트는 85억 원 규모 시리즈 A 투자를 유치했다. 이번 투자에는 한국투자파트너스, IBK기업은행, SBI인베스트먼트, L&S벤처캐피탈, 리인베스트먼트, 오다스톤인베스트먼트 등이 참여했다.
레이와트가 개발한 심혈관 광간섭단층촬
2월 3주 투자를 유치한 주요 스타트업은 코넥티브, 앳홈, 휴밀, 펫팜 등이다.
◇코넥티브
인공지능(AI) 기반 정형외과 전주기 솔루션 개발사 코넥티브는 140억 원 규모의 시리즈 A 투자유치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이번 투자에는 기존 투자사인 DSC인베스트먼트, 슈미트, 스톤브릿지인베스트먼트, 리벤처스와 5개 신규 투자사가 참여했다.
코넥티브는
배송 테크 스타트업들이 성장 한계를 넘어서기 위해 국내 당일 배송 가능 지역을 넓혀가며 경쟁력을 키워가고 있다.
17일 스타트업 업계에 따르면 당일 도착보장 배송 서비스 ‘딜리래빗’을 운영하는 딜리버스는 충청권으로 진출하면서 서비스 가능 지역을 확장했다.
딜리버스는 낮은 비용으로 당일 도착 배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공지능(AI) 기반 물류 스타트업이
유진투자증권은 중고차 상품화 전문 기업 '체카(CHEXCAR)'와 기업공개(IPO) 주관 계약을 체결했다고 13일 밝혔다.
12일 유진투자증권 본사 HRD센터에서 진행된 주관 계약 체결식에서는 체카 안효진 대표이사, 유진투자증권 김철은 IB부문장 등 양사 주요 관계자가 참여했다. 양사는 주관 계약을 기점으로 본격적인 상장 절차에 돌입할 예정이다.
국
지난해 1200억 투자받아 주목…수익 창출 다각화숏폼 제작 직접 참여…첫 자체 제작 드라마 선보여
글로벌 콘텐츠 플랫폼 기업 스푼랩스가 제작 현장 경험 기반의 서비스 고도화를 통해 창작자와 시청자를 모두를 위한 서비스 혁신을 추진한다.
1일 스타트업 업계에 따르면 스푼랩스는 콘텐츠 제작 역량을 갖춘 종합 플랫폼 도약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스푼랩스
오영주 장관, 제약바이오벤처 혁신생태계 조성 위한 현장 의견 청취
오랜 투자와 인내가 필요한 제약 분야 바이오벤처 생태계가 활성화되려면 지속적인 투자가 가능한 투자 환경 조성이 강화돼야 한다는 현장 목소리가 나왔다.
중소벤처기업부는 16일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호텔 누리볼룸에서 오영주 장관 주재로 ‘제약바이오벤처 혁신생태계 조성을 위한 간담회’를 개최
투자금 6조883억 원, 전년보다 20% 줄어…초기 라운드 투자 기피 뚜렷엔터프라이즈·보안 AI 스타트업에는 뭉칫돈
지난해 국내 스타트업과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투자가 연초 기대와는 달리 ‘V’자 반등 없이 내림세로 종료됐다. 대다수 업종에 대한 투자가 줄어든 가운데 2023년 바닥을 쳤던 인공지능(AI) 스타트업에는 뭉칫돈이 몰리며 투자 시장의 관심이
1500억 원 규모 ‘K-바이오·백신 펀드’ 조성…제약사와 바이오기업 육성어려워진 투자 시장서 투자받으려면 기술이전‧공동개발 등 성과 있어야올해 투심도 ‘흐림’…거래소는 상장 문턱 낮추고 기업은 선택과 집중할 때
국내 기업의 신약개발과 백신 주권 확보를 위해 조성된 K-바이오·백신 펀드가 지난해 본격 가동됐다. 출범 과정에서 우여곡절이 있었지만 유안
경영환경이 악화하는 가운데 기업들에 빠른 배송과 비용 절감 등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물류 스타트업들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15일 스타트업 업계에 따르면 콜로세움코퍼레이션은 설립 5년 만에 450여 개 고객사와 협력하면서 빠르게 성장 중이다.
2019년 설립된 콜로세움은 물류센터 네트워크, 통합 물류솔루션 콜로(COLO), 이커머스 물류전문가
12월 2주 투자를 유치한 주요 스타트업은 스펙터와 스픽이지랩스코리아, 에이베러 등이다.
◇스펙터
인재검증 플랫폼 스펙터(Specter)는 프리 시리즈B 투자 유치를 통해 누적 투자 유치금 110억 원을 달성했다.
이번 투자는 베트남의 글로벌 벤처캐피털(VC) ‘두 벤처스(Do Ventures)’가 신규 투자자로 참여했다. 기존 투자사인 미국 실리콘밸
글로벌 도약을 꿈꾸는 K-기후테크 스타트업이 주목받고 있다. 글로벌 탄소규제가 강화되는 상황에서 기후테크 스타트업들은 기술력을 바탕으로 가파르게 성장 중이다.
12일 스타트업 업계에 따르면 엘디카본 등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컴업 2024’에서 홍보관을 운영하며 기후위기에 대한 지속가능한 해법을 제시하고 있다.
엘디카본은 수명이 다한 폐타이어에서
시니어 케어 기업 티에이치케이컴퍼니는 하나금융그룹으로부터 전략적 투자를 유치하고, 그룹 계열사와 시니어 케어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추진하는 등 다양한 사업 분야에서 협력을 진행하기로 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투자에는 하나벤처스를 포함한 총 8개의 기관투자자가 참여해 약 250억 원 규모의 시리즈 B 투자를 성공적으로 완료했다. 이를 통해
회사 설립 5년 만에 축구장 면적에 아파트 20층 높이로 폐기물을 처리한 스타트업이 있다. 폐기물 수거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박스’ 운영사 리코가 그 주인공이다. 다만 이러한 사업 성과와는 별개로 실적이 이를 뒷받침하지 못해 턴어라운드 시점에 눈길이 쏠린다.
4일 스타트업 업계에 따르면 리코는 2019년 설립해 음식물류 폐기물 수거 운반 사업을 론칭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