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 이후 글로벌 시장에서 체외진단 의료기기 산업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관련 시장도 지속해서 성장하고 있다. 반면 한국은 엔데믹(풍토병화) 이후 시장 성장이 주춤하고 있다.
체외진단 의료기기는 사람이나 동물의 검체를 체외에서 검사하기 위해 단독 또는 조합해 사용되는 시약, 대조·보정물질, 기구·기계장치, 소프트웨어 등을 의미한다.
아이리드비엠에스 분자접착제, 美 FDA 희귀의약품 지정
일동제약그룹의 신약 연구개발 회사 아이리드비엠에스(iLeadBMS)는 개발 중인 표적단백질분해(TPD) 분자접착제(Molecular glue)가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위암 치료 희귀의약품 지정(Orphan Drug Designation·ODD)을 받았다고 7일 밝혔다. 회사는 해당 물질에
씨젠은 스페인 진단기업 웨펜(Werfen)과 기술공유사업 최종 계약을 체결하고 스페인 내 법인을 설립하기로 확정했다고 8일 밝혔다.
이번 계약은 씨젠과 웨펜이 기술공유사업 협업에 관한 논의를 시작한 지 2년여 만에 성사됐다. 지난해 3월 법인 설립 계약을 마친 이스라엘의 하이랩스-씨젠 법인에 이은 두 번째 성과다. 씨젠은 기술공유사업 참여를 확정한 해외
씨젠은 글로벌 과학 커뮤니티 리더인 스프링거 네이처(Springer Nature)와 함께 오픈 이노베이션 프로그램(Open Innovation Program, OIP)을 개최하고 진단시약 개발을 위한 글로벌 공모 과제와 지원자를 모집한다고 2일 밝혔다.
OIP는 과학자 등 전 세계 전문가들이 씨젠의 멀티플렉스 PCR 기술을 활용해 새로운 진단시약을 개
씨젠이 호흡기질환 진단제품의 판매 호조에 힘입어 2분기 매출 1000억 원을 돌파했다.
씨젠은 연결기준 올해 2분기 매출 1001억 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17.9% 증가했다고 9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영업손실은 11억 원을 기록했으며 당기순이익은 241억 원으로 흑자전환했다.
전체 매출에서 시약매출이 822억 원으로 82%를 차지했으며 장비 등 매
씨젠은 지난달 30일부터 이달 1일(현지시간)까지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미국진단검사학회 2024(ADLM 2024)에 참가해 주력 제품과 시스템을 소개했다고 5일 밝혔다.
씨젠은 ‘하나의 검체로 종합적인 결과를 제공하는 PCR 검사 솔루션 제공(One Sample, Many Answers)’이라는 주제로 호흡기질환(RP), 소화기질환(GI), 성매개감염
씨젠은 11~13일 서울 중구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아시아·오세아니아 생식기 감염·종양학회(AOGIN)에 참가해 전시 부스를 운영하고 심포지엄 세션을 진행했다고 15일 밝혔다.
AOGIN은 2004년 창립돼 아시아 및 오세아니아 25개국이 회원국으로 참여하는 학회로 여성 자궁경부암 치료와 예방에 관한 국제 학술대회를 개최하고 있다. 올해 서울에서
씨젠이 과학 학술지 네이처(Nature)를 발행하는 스프링거 네이처(Springer Nature)와 전략적 얼라이언스 협약을 체결했다고 16일 밝혔다.
15일(현지 시각) 네덜란드에서 체결된 이번 협약에 따르면 양사는 지난해 수행한 글로벌 진단시약 개발공모 프로젝트인 오픈 이노베이션 프로그램(OIP)의 성공을 발판으로 최고경영진의 지원 아래 다양한 분야
씨젠이 올해 1분기 매출 899억 원, 영업손실 144억 원을 기록했다고 10일 공시를 통해 밝혔다.
전년동기대비 매출은 0.1% 감소했으며 영업손실은 4.3% 늘었다. 엔데믹 국면으로 코로나19 관련 매출은 하락세가 이어졌지만, 비(非)코로나 관련 매출이 전년동기대비 24.4% 상승했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진단시약과 추출시약을 합한 총 시약 매출
PCR 분자진단 토탈솔루션 기업 씨젠이 분기 기준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씨젠은 지난해 4분기 매출 1005억 원을 기록해 전분기 대비 9.4% 증가했다고 16일 밝혔다. 영업이익은 35억 원으로 흑자전환했다.
2022년 3분기 이후 하락세를 보이던 매출은 지난해 2분기 바닥을 다진 후 지속적인 상승세다. 영업이익은 매출 성장과 효율적인 비용 운용으로
삼성바이오에피스, 솔리리스 바이오시밀러 국내 첫 품목허가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혈액학 분야 난치성 희귀질환 치료제 ‘솔리리스(Soliris)1)’의 바이오시밀러 ‘에피스클리’(성분명 에쿨리주맙)의 품목 허가를 승인받았다고 22일 밝혔다. 국내 기업 중 유일하게 글로벌 임상 시험을 마치고 품목 허가를 획득했다.
솔리리스는 미국 알렉시
씨젠은 ‘질병 없는 세상’이라는 비전 실현을 위한 마이크로소프트와 협력해 기술공유사업을 추진한다고 24일 밝혔다.
씨젠은 마이크로소프트와 협업으로 신드로믹 정량 PCR 기술을 여러 기업과 공유하고, 분자진단 분야의 산업간 혁신을 주도할 예정이다. 또 글로벌 컨소시엄 참여 기업을 확대해 전 세계 각국에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하고, 향후 팬데믹에 효과적으로
씨젠은 SW(소프트웨어) 기획 및 UX/UI(사용자 경험/사용자 인터페이스) 전문회사인 브렉스(Brex)의 지분 100%를 인수했다고 15일 밝혔다.
2019년 설립된 브렉스는 UX/UI 관련 기획 및 컨설팅이 강점인 회사로 신한은행, 신한카드, 쿠팡, 이마트 등과 대형 프로젝트를 수행했다. 씨젠은 디지털혁신을 지원할 IT 전문회사로서 내부조직처럼 지
씨젠은 전 세계 기업 보고서 경진대회인 '2023 스포트라이트 어워즈(Spotlight Awards)'에서 대상(Platinum Award)을 수상했다고 6일 밝혔다.
LACP 스포트라이트 어워즈는 세계적인 마케팅 조사기관인 미국커뮤니케이션연맹(LACP, League of American Communications Professionals LLC)이 2
씨젠은 세계 최고 권위의 과학 학술지 네이처(Nature)를 발행하는 영국의 스프링거 네이처(Springer Nature)와 공동 진행하는 진단시약 개발 글로벌 공개모집 프로젝트를 진행한다고 4일 밝혔다.
‘오픈 이노베이션 프로그램 파워드 바이 씨젠(Open Innovation Program powered by Seegene, 이하 오픈 이노베이션 프로
PCR 분자진단 토탈솔루션 기업 씨젠이 비코로나 제품의 매출을 늘려나가며 실적 개선을 꾀하고 있다.
씨젠은 연결기준 올해 2분기 영업손실 97억 원을 기록해 전년동기 대비 적자전환했다고 11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849억 원으로 33.9% 감소했으며, 당기순손실은 26억 원으로 적자전환했다.
영업손실은 비용구조 개선 등에 힘입어 올해 1분
글로벌 분자진단 유통기업으로 쇄신을 준비하는 씨젠이 300억 원 규모의 자사주를 매입한다.
씨젠은 13일 이사회를 열고 14일 삼성증권과 2024년 7월 15일까지 300억 원 규모의 보통주를 장내 매수하는 신탁계약을 체결키로 했다고 공시했다.
씨젠의 자사주 매입은 이번이 6번째다. 자기주식 보유 현황은 13일 현재 562만3973주로 전체 발행주식
씨젠은 스페인 1위 진단기업 웨펜(Werfen)과 기술공유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스페인과 포르투갈 현지 맞춤형 제품에 대한 개발 논의를 시작한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스페인 계약은 지난 3월 이스라엘 1위 진단기업 하이랩(Hylabs)과 계약에 이은 기술공유사업의 두 번째 성과다. 스페인은 유럽 체외진단(IVD) 분야에서 네 번째로 규모가 큰 시장으로
엔데믹 전환에 씨젠이 올해 1분기에도 부진한 실적을 이어갔다.
씨젠은 연결기준 1분기 영업손실 138억 원을 기록해 전년동기 대비 적자전환했다고 12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901억 원, 당기순이익은 20억 원으로 각각 80.1%, 98.8% 감소했다.
매출은 코로나19 엔데믹 전환으로 코로나19 검사 건수가 크게 줄면서 부진했다. 진단시약과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으로 몸집을 키운 국내 진단트 기업들이 엔데믹(풍토병화)에 예정된 역성장을 맞이한다. 올해는 이들의 진정한 체력을 확인하는 시간이 될 전망이다.
18일 본지 취재를 종합하면 코로나19 진단키트 양대 산맥이던 에스디바이오센서와 씨젠이 올해 1분기 나란히 부진한 실적을 내놓을 전망이다. 코로나19 진단 수요 감소로 지난해부터 내리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