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2분기(4~6월) 가구 실질소득이 물가 둔화 영향으로 1분기 만에 증가 전환했다. 가계소득은 4개 분기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통계청이 29일 발표한 '2024년 2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2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1인 이상 가구·농림어가 포함)은 496만1000원으로 전년동분기대비 3.5% 늘었다. 가계소득은 작년 2분기(-0.8%)
미혼인 20·30대 1인 가구는 총 소비지출의 3분의 1이 외식·여행 관련 지출인 것으로 집계됐다. 반면, 40·50대는 집밥·집술 관련 지출 비중이 컸다.
본지가 24일 통계청 가계동향조사 마이크로데이터(표본 3571명)를 활용해 취업자인 미혼 1인 가구의 연령대별 소득·지출을 분석한 결과, 평균적으로 20·30대는 월 345만2000원을 벌어 25
가구원수별 평균 3.4%↑반면 1인 가구만 2.4%↓얇아진 지갑 탓에 소비 증가율도 1.3%로 2년 반 만에 최저
‘나 혼자 사는’ 1인 가구의 3분기 소득이 가구원수별 중 유일하게 감소했다. 얇아진 지갑 탓에 1인 가구 소비 증가율도 2년 반 만에 최저를 기록했다.
26일 통계청 가계동향조사에 따르면 3분기 1인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278만3000원
저소득층의 주거비 부담이 크게 늘었다. 전·월세 등 임차비가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가운데, 정부에서 전기료, 가스비 등 공공요금을 큰 폭으로 인상한 영향이다. 반면, 식료품 물가 상승세가 이어지자 먹거리 소비는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6일 본지가 통계청 가계동향조사와 국가통계포털(KOSIS)을 분석한 결과, 작년 4분기(10~12월) 소득
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영향으로 가계 지출이 통계 작성 이래 최대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8일 발표한 '2020년 연간 지출 가계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은 240만 원으로 전년대비 2.3% 감소했다. 정구현 통계청 가계수지동향과장은 "1인 가구 통계를 작성한 2006년 이래로 최대의
3분기 가구의 월평균 실주거비가 올해 들어 처음으로 증가로 전환됐다.
23일 통계청 가계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3분기 전국 2인 이상 가구의 실제주거비 지출은 월평균 8만4200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1.6% 상승했다. 이는 자가·전세 가구를 포함해 산출한 평균치로, 실제 월세 가구의 주거비 지출은 이보다 훨씬 많다. 가구당 실제주거비 지출은 1분기
올해 2분기에 소득 하위 20%(1분위)의 가구당 평균 월세지출이 상위 80%(2~5분위)보다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1분위 월세지출 증가율이 2~5분위보다 높았던 것은 2009년 2분기 이후 11년 만이다. 이는 최근 전세의 월세 전환이 늘고 있는 것과 연관이 있다는 분석이다.
24일 통계청이 발표한 2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2분기
대학생과 청년들이 주변 시세 절반 수준의 저렴한 임대료로 살 수 있는 ‘사회적 주택’에 대한 입주자 모집을 진행한다. 이번 모집 공고를 통해 입주자를 받게 되는 ‘사회적 주택’은 서울과 경기도 지역 총 109호다.
11일 국토교통부는 한국토지주택공사 등 공공주택 사업자가 매입한 다가구․다세대 주택의 운영을 사회적 경제주체에 위탁하는 ‘사회적 주택’의 운영
경기침체 장기화와 구조조정 여파에 맞물려 최순실 게이트로 동력을 상실한 우리 경제에서 가계 역시 직격탄을 맞고 있다. 실질적인 소득과 소비는 줄고 양극화가 심화되면서 적자가구 비율도 반등했다.
18일 통계청이 발표한 가계동향에 따르면 3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444만5000원으로 전년 동기대비 0.7% 늘었다. 그러나 물가상승분을 반영한 실질소득은
한국은행이 14일 사상 처음으로 물가안정목표에 대한 설명회를 갖는다. 이주열 한은 총재가 직접 나설 예정이다. 한은이 정한 소비자물가 중기목표치 2%를 6개월째 0.5%포인트 밑돈데 따른 해명 차원이다.
한은은 지난해말 2016년부터 향후 3년간 적용할 물가안정목표를 새로 정하면서 ‘물가안정’이라는 한은 본연의 책임을 강화한다는 차원에서 이같은 방안을 결
월 소득 100만원 미만 가구가 교육에 지출하는 돈이 주거비보다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비와 주거비 관련 통계가 작성된 2003년 이후 처음이다. 출산율 감소와 노령 1인가구 증가, 정부의 교육비 지원이 가구의 교육비 지출 감소를 이끌어낸 것으로 분석된다.
24일 통계청의 소득구간별 가구당 가계수지를 보면 지난해 월 소득 100만원 미만 가구의
저소득 가구의 주거비 지출이 교육비를 추월했다. 주거비가 교육비를 넘어선 것은 2003년 통계 작성 이후 처음이다.
24일 통계청의 소득구간별 가구당 가계수지에 따르면 지난해 월 소득 100만원 미만 가구의 주거비와 교육비는 월 평균 각각 3만2710원, 2만3489원으로 조사됐다. 2006년 저소득 가구의 교육비는 실제 주거비의 1.7배에 달했지만,
작년 가계의 주거비 지출 액수는 물론 증가율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28일 통계청의 '가계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가계의 실제 주거비(월세 기준)는 월평균 7만4227원으로 1년 새 20.8% 증가했다.
작년 주거비 지출액은 2003년 관련 통계가 나오기 시작한 이후 가장 높은 수준으로 역대 최고치다. 증가율도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계
가계 소득이 늘어나도 꽁꽁 닫힌 지갑은 열리지 않고 있다. 지난해 평균소비성향은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경기 불안으로 소비심리가 위축된 탓에 좀처럼 소비가 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26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5년 가계동향’을 보면 지난해 평균소비성향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포인트 줄어든 71.9%를 기록했다. 이는 전국 단위 통계를 집계하
정부가 내수 활성화를 위한 정책들을 쏟아냈지만, 고용의 질 악화와 가계부채 등 구조적 문제로 인해 좀처럼 회복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
24일 정부와 관련 업계에 따르면 앞서 기획재정부는 ‘블랙프라이데이’ 등 대대적인 할인 행사를 열고, 자동차와 대용량 가전제품 등에 적용되는 개별소비세를 내렸다. 이는 민간 소비를 끌어올리려는 목적이지만, 일회성에 그
연초 담뱃값 인상으로 인해 가계의 담배 지출이 ‘나홀로 고공행진’을 이어갔다.
통계청이 20일 발표한 ‘2015년 3분기 가계동향’에 따르면 담배 지출의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월 평균 담배 지출은 2만2400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1만7000원)보다 31.5% 늘었다. 담뱃값 인상 요인을 제외한 담배 지출의 실질증가율은 -26.0%였다.
전세난을
올해 3분기 가구당 월평균 지출이 2013년 1분기 이후 10분기만에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평균소비성향도 4분기 연속 줄었다. 같은 기간 가구당 월평균 소득증가율도 0.7%에 그쳤다. 정부의 소비진작책에도 소득증가가 크게 늘지 않면서 소비지출을 더욱 줄이는 모습이다.
20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5년 3분기 가계동향’에 따르면 3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
기획재정부가 8일 발표한 2016년 예산안에 따르면 정부는 주거형태, 임대료 수준 등을 감안하여 필요한 주거비를 지원한다.
지원대상은 중위소득 43% (2016년 기준 4인 가구 월 189만원) 이하 저소득층 가구로 지원액을 올해 평균 월 10만8000원에서 내년 11만3000원으로 확대하는 것이 골자다.
이에 따라 지역별 기준 임대료, 소득, 가
완만한 경기회복 흐름을 타고 지난 1분기 가계의 소득과 지출이 모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니계수도 지난 2006년 최저수준을 보여 소득분배 지표들도 개선됐다. 하지만 체감은 달랐다. 가계의 씀씀이를 보여주는 지표인 평균소비성향은 1분기 기준 역대 최저를 기록했다. 향후 불확실성을 두려워한 나머지 소득이 늘더라도 그만큼 소비를 늘리지 않았단 얘기다.
올해 10월부터 저소득층에게 최대 월 34만원의 임대료를 지원해주는 주거급여 제도가 시행된다.
지금까지도 기초생활보장제도의 하나로 주거급여가 지급됐지만 대상이 적고 해당 가구가 실제 부담하는 주거비 액수와 상관없이 지급됐다.
2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새로 제정된 주거급여법은 주거급여 지급 대상을 크게 확대(73만→97만가구)하고 지원 액수도 가구당 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