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북미와 동남아 시장의 폭발적 성장과 함께 최대 매출을 기록한 화장품 브랜드 클리오가 올해는 일본과 중국 시장 확장을 위해 총력전을 추진한다. 매출 감소를 겪은 두 시장이 회복해 최대 매출을 이어가겠다는 전략이다.
5일 본지 취재를 종합하면 클리오는 올해 일본과 미국, 중국 등 핵심 시장 매출 확대를 위해 글로벌 성장 총력 계획을 세웠다.
클리
JW신약은 프랑스 피에르파브르의 탈모 완화 화장품 ‘듀크레이 네옵타이드 엑스퍼트’를 출시하고, 본격적인 판매를 시작했다고 24일 밝혔다.
‘듀크레이 네옵타이드 엑스퍼트(DUCRAY NEOPTIDE EXPERT)’는 의약품과 같은 임상 시험을 통해 개발된 탈모 완화 전문 화장품으로, 피부과를 포함한 전국 탈모 치료 병·의원에서 구매 가능한 제품이다.
이
대웅제약은 17일부터 19일까지 일본 최대 뷰티-헬스케어 전시회 ‘코스메위크 도쿄 2024(COSME TOKYO 2024)’에 참가한다고 16일 밝혔다.
코스메위크는 국제 B2B 화장품 산업 종합 전시회로 전 세계 18개국에서 750여 개 업체가 참가하며 매년 3만 명 이상의 업계 관계자가 참석하는 일본 최대 규모의 뷰티 전시회다. 개최 규모는 물론
JW신약은 프랑스 피에르파브르(Pierre Fabre)와 모발 강화 화장품 ‘듀크레이 네옵타이드 엑스퍼트’에 대한 국내 독점 판매 계약을 체결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판매 계약으로 JW신약은 피나스테리드(Finasteride), 두타스테리드(Dutasteride) 계열의 탈모치료제에 이어, 모발 강화 화장품 시장까지 진출하는 등 모발 케어 라인업을
메디톡스가 더마 코스메틱 브랜드 ‘뉴라덤(NEURADERM)’의 신제품 라인업을 대폭 강화하며 시장에 출사표를 던졌다.
메디톡스는 자체 개발한 안티에이징 기술 ‘엠바이옴(M.Biome)’ 기반 뉴로더마 코스메틱 브랜드 뉴라덤의 대대적인 라인업 확장과 리뉴얼을 통해 더마 코스메틱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한다고 31일 밝혔다. 리뉴얼된 뉴라덤은 병·의원 전
휴메딕스는 20일 마이원팜과 화장품 공급 계약을 체결하고 일본 코스메틱 시장 진출에 본격 나선다고 21일 밝혔다.
이번에 공급 계약을 체결한 제품은 더마 엘라비에 대표 제품인 퍼스트 에센스 스킨, 밸런싱 플루이드 등 17종이다. 회사 측에 따르면 히알루론산을 핵심성분으로 제약 및 생체 고분자 응용 기술력을 접목해 피부 밸런스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다.
에스테틱 의료기기 기업 루트로닉은 3월 출시한 더마브이(DermaV)가 세계 10개 기관 인허가를 확보함에 따라 더마브이의 해외 진출이 순항 중이라고 12일 밝혔다.
현재까지 더마브이가 허가된 지역은 한국과 미국 FDA(식품의약국)를 비롯해 유럽연합, 호주, 베트남, 인도네시아, 터키, 이스라엘, 남아프리카공화국 등이다. 최근에 카자흐스탄에서 인증을 확보
LG생활건강과 아모레퍼시픽 등 국내 화장품 '빅2'가 더마 코스메틱 시장 진입 의지를 내비치면서 화장품 업계가 들썩이고 있다. 더마 코스메틱은 피부 과학을 뜻하는 더마톨로지(Dermatology)의 줄임말로, 피부과나 약국 등에서 구입하는 고기능성 화장품을 의미한다. 최근까지 중견기업을 비롯해 제약바이오 업체들이 두각을 나타내는 시장이었지만, 전통 뷰티
정기주주총회 시즌을 맞아 식품ㆍ소비재 기업들이 새 먹거리 마련에 나서고 있다. 코로나 사태 장기화, 러시아ㆍ우크라이나 전쟁 등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전염병 발생 이후 화두로 떠오른 건강, 친환경 등을 염두에 둔 신사업이 주목된다.
1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올해 주주정기총회 시즌을 앞두고 업체마다 미래 성장동력을 선점하기 위한 신사업 발굴이 화두로
국내 제약사들이 의약 기술을 접목한 고기능성 화장품으로 더마 코스메틱 시장에서 경쟁을 펼치고 있다.
10일 제약업계에 따르면 제약사들은 의약품·건강기능식품 등 기존 제품군에 사용한 원료, 성분 등을 활용한 더마 코스메틱을 속속 출시하고 있다. 최근 기존 화장품 전문 기업들이 더마 코스메틱 시장을 강화하면서 제약사들은 신약 개발로 쌓아온 기술력과 노하
제이준코스메틱(이하 제이준)이 화장품에 제약 및 병·의원 기술을 접목한 ‘코스메슈티컬’ 제품 개발을 통해 시장 확대에 나선다
14일 제이준은 ‘예미원피부과’와 협업을 통해 더마 자외선 차단제 ‘에스랩 멀티 프로텍트 선블럭’을 출시하고, 예미원피부과를 비롯한 피부과 3개 지점에 납품한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제이준은 미용기기와 병·의원에 납품할 미용의
아모레퍼시픽 그룹 계열사 에스트라를 흡수 합병한다. 사업구조 개편으로 경영 효율성을 높이고 시너지 창출을 통해 기업가치를 높이기 위함이다.
아모레퍼시픽은 이사회를 통해 에스트라의 흡수 합병을 결의했다고 21일 밝혔다. 합병 후 에스트라는 존속법인인 아모레퍼시픽 내 사업부로 전환하게 된다. 회사 합병 절차는 9월 1일에 마무리될 예정이다.
이번 합병을 위해
제이준코스메틱이 진이어스와 화장품 뷰티 사업을 위한 MOU를 통해 국내외 영업 네트워크 확대에 나섰다.
제이준코스메틱이 ‘예쁨주의 쁨클리닉’ 사업 주관사인 진이어스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강화하고 신유통채널 개척을 위한 포괄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7일 밝혔다.
진이어스는 ‘예쁨주의쁨의원’, ‘예쁨주의상상의원’, ‘클라앤비피부과의원’,
클래시스가 1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각각 214억 원, 134억 원을 기록했다고 13일 밝혔다. 전년 대비 32%, 82% 증가한 수치다.
국내 매출은 88억 원으로 전분기 대비 22% 감소했지만 해외는 126억 원으로 전분기 대비 15% 증가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이 국내는 2월부터 본격화됐고, 해외는 3월부
국내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 창궐한 이번 주에도 인수합병(M&A) 시장에서는 굵직한 거래들이 이어졌다. LG생활건강은 피지오겔을 품에 안았고, 현대캐피탈은 독일 자동차 리스업체 인수를 추진한다.
21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LG생건은 유럽 더마화장품 브랜드인 피지오겔의 아시아와 북미 사업권을 인수했다. LG생건은 피지오겔 브랜드를
'LG 프라엘플러스'가 토스 행운퀴즈에 등장했다.
토스는 17일 행운퀴즈를 통해 'LG 프라엘플러스'와 관련한 문제를 출제했다.
이날 토스 행운퀴즈에서는 "더마 LED 마스크의 빛으로 케어하는 ○○ ○○은 피부 각 부위의 탄력도 및 모공 등을 종합한 LG프라엘이 생각하는 피부의 근본 탄력입니다. ○○ ○○에 들어갈 단어는 무엇일까요?"라는 문
GC녹십자웰빙이 프랑스 더모코스메틱그룹인 피에르파브르 더모코스메틱코리아와 ‘덱시안 MeD 크림’의 판매 계약을 체결했다고 27일 밝혔다.
GC녹십자웰빙은 이번 계약을 통해 피에르파브르의 문제성 피부 전문 브랜드 ‘듀크레이’가 개발한 바르는 의료기기 ‘덱시안 MeD 크림’을 전국 병의원에 판매할 계획이다.
피에르파브르그룹은 프랑스에서 빅3 제약회사로,
글로벌 에코 더샘이 민감성 피부를 위한 베이스 라인 ‘더마 웨어’를 출시했다고 6일 밝혔다.
신제품 ‘더마 웨어 라인’은 민감한 피부에 가볍고 촉촉하게 밀착돼 피부 결점을 자연스럽게 커버해주는 더마 메이크업 라인으로 쿠션, 파운데이션, 컨실러 3종으로 구성됐다. 특히 민감 피부 진정템으로 유명한 ‘더마 플랜’의 주요 성분인 ‘더마 맥스 포뮬러’를 함유해
한국투자증권은 LG생활건강에 대해 2분기 실적이 컨센서스에 부합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투자의견은 '매수' 유지, 목표주가는 기존 145만원에서 160만원으로 상향조정했다.
나은채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11일 "2분기 추정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17% 증가한 2730억 원으로 컨센서스(2670억 원)에 부합할 것으로 보인다"면서 "지난해 금한령에 따른
'미워도 사랑해' 더마 제품 출시를 앞두고 이성열과 박정우의 경쟁이 치열하다.
4일 방영되는 KBS 1TV 일일드라마 '미워도 사랑해' 제100부에서는 석표(이성열 분)와 김 대표(박정우 분)가 더마 제품 개발에 박차를 가한다.
앞서 석표는 은조(표예진 분)로부터 김 대표 측에서도 더마 제품 출시를 앞두고 있다는 소식을 전해 들었다. 석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