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샤 등 브랜드를 운영하는 화장품 기업 에이블씨엔씨가 지난해 수익성을 개선했다.
에이블씨엔씨는 2024년 매출 2645억 원, 영업이익 203억 원을 기록했다고 12일 잠정 공시했다. 전년 대비 매출은 3.3% 감소했고 영업이익은 77.7% 증가했다.
에이블씨엔씨는 지난해 실적에 대해 고환율과 관광 트렌드 변화에 대응해 저수익 면세 채널 의존도를 낮
신유정 에이블씨엔씨 대표는 신년사를 통해 “치열한 뷰티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고 글로벌 무대에서 도약하기 위해 도전과 변화를 두려워하지 않는 한 해를 만들어가겠다”고 8일 밝혔다.
신 대표는 신년사에서 △차별화된 제품 개발 △고객과의 소통 확대로 팬덤 강화 △글로벌 시장 확장의 세 가지 주요 방향성을 제시했다.
신 대표는 고객의 진정한 니즈를 면밀히
에이블씨엔씨, 아모레퍼시픽, LG생활건강 등 주요 화장품 업체 브랜드들이 새해가 되자마자 일제히 제품 가격을 올렸다.
2일 화장품업계에 따르면 에이블씨엔씨는 미샤 11개 제품, 어퓨 7개 제품의 가격을 전날부터 최대 2000원 인상했다. 미샤의 ‘트리플 섀도우’는 기존 7000원에서 8000원으로 인상했고, 3800원이던 ‘실키 래스팅 립펜슬’도 480
에이블씨엔씨가 전개하는 뷰티 브랜드 미샤와 어퓨가 새해부터 화장품 가격 인상에 나선다.
31일 화장품업계에 따르면 미샤와 어퓨는 일부 품목의 가격을 내달 1일부터 평균 15~10% 올린다.
미샤의 트리플 섀도우 제품은 7000원에서 8000원으로 14% 인상된다. 실키 래스팅 립 펜슬은 3800원에서 4800원으로, 픽스 미 메이크업 픽서(50㎖)는
국내 화장품 로드숍 브랜드들이 올해 꽤 호실적을 거뒀다. 이커머스와 오프라인 헬스·뷰티(H&B) 매장에 입점하며 유통망을 확장한 덕분이다. 여기에 K뷰티가 해외 소비자들 사이에서 인기를 끌면서 글로벌 사업 확장에 박차를 가하며 실적 개선을 돕고 있다.
27일 뷰티업계에 따르면 국내 주요 뷰티 로드숍 브랜드들은 이커머스와 H&B 오프라인 매장, 해외 시
화장품 기업 에이블씨엔씨가 올 3분기 수익성을 개선했다.
에이블씨엔씨는 올 3분기 연결 기준매출 629억 원, 영업이익 39억 원을 달성했다고 13일 공시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3.7% 감소했고, 영업이익은 186.6% 증가했다.
3분기 누적 영업이익은 141억 원으로 지난해 연간 영업이익의 24%를 초과 달성했다.
에이블씨엔씨 측은 3분기
에이블씨엔씨는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이 52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4% 증가했다고 14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은 657억 원으로 11.9% 줄어들었다.
상반기 기준 누적 영업이익은 103억 원을 기록해 전년 동기보다 32% 증가했다. 이는 지난해 연간 영업이익 114억 원의 90%에 육박하는 실적이다.
에이블씨앤씨 측은 상반기에 전년 연간
에이블씨엔씨의 화장품 브랜드 미샤는 미국 아마존 프라임데이 행사에서 브랜드 전체 매출이 전년 대비 2배 성장하며 역대 최대 성과를 거뒀다고 2일 밝혔다.
프라임데이는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 아마존에서 매년 열리는 연중 최대 규모 할인 이벤트다. 올해는 신규 가입자 수가 더 늘어나 행사 기간 동안 주문 금액이 사상 최대를 기록하며 영향력도 한층 높아
토니모리·잇츠한불, 영업이익 세자릿수 신장유통망 다각화 및 해외 시장 공략 확대 주효
1세대 화장품 로드숍 브랜드가 올 1분기 호실적을 기록하며 부활의 날개짓을 펴고 있다. K뷰티 열풍에 힘입어 유통망을 확대하고 글로벌 시장으로 보폭을 넓힌 전략이 수익성 개선으로 이어졌다.
20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미샤를 운영하는 에이블씨엔씨는 올 1분기
에이블씨엔씨는 올해 1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27% 증가한 51억 원을 기록했다고 14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은 668억 원으로 전년 대비 6% 증가했다. 상각 전 영업이익(EBITDA)은 78억 원, 당기순이익은 40억 원이다.
에이블씨엔씨는 특히 국내와 해외 채널이 모두 고르게 성장하며 호실적을 기록했다. 1분기 국내 온라인과
쌍용C&E, 한온시스템, 커넥트웨이브, 락앤락, 하나투어, 롯데손해보험. 지난해부터 사모펀드(PEF)가 상장폐지 또는 매각 작업을 진행 중인 기업들이다.
사모펀드가 보유 중이던 상장회사 지분을 매각하거나 상장폐지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포트폴리오에 상장사가 포함될 경우 투명한 공시와 주가 관리 등 부담이 커지기 때문이다. 상장폐지를 위해 손쉬운 방법
패션업계, 신제품 할인 및 사은품 증정 뷰티업계, 선물 수요 선점 위한 행사 진행
패션·뷰티업계가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일제히 대규모 행사에 나섰다. 고물가 기조가 장기화하는 가운데 합리적인 가격을 내세워 소비자 공략에 나선다는 전략이다.
4일 패션업계에 따르면 무신사는 8일까지 선물하기 좋은 패션 잡화를 할인가에 제안하는 ‘무신사 잡화대전’을 진
에이블씨엔씨가 국내외 이어지는 매출 호조를 기반으로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에이블씨엔씨는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이 2736억 원을 기록했다고 14일 공시했다. 전년 대비 10.4% 증가한 수치로 6분기 연속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114억 원으로 전년 대비 14.2% 증가하며 8분기 연속 흑자 달성에 성공했다. 당기순이익은
네이처리퍼블릭, 25개국 200여개…일본·중동 시장 확대스킨푸드, 동남아·유럽…토니모리, 미국 시장 공략
‘1세대 화장품 로드숍’ 브랜드들이 해외 시장 진출로 부활의 날개를 펴고 있다. 중국발 사드(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사태에 이어 코로나19 여파까지 겹치면서 한동안 실적 부침을 겪었으나, 해외 시장 확대로 실적 반등을 꾀하는 모양새다.
7일 화장품
에이블씨엔씨는 외국인 관광객을 위한 'K-뷰티 클래스'를 명동 미샤 아일랜드 팝업스토어에서 선보였다고 25일 밝혔다.
에이블씨엔씨는 한국을 방문한 외국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K뷰티의 우수성을 알린다는 목표로 이번 행사를 진행했다. 클래스는 2024 코리아그랜드세일의 일환으로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방문의해위원회와 함께 외국인 관광객들에게 한국 메이크업을 알
지난해 일본향 수출액 7970억…전년 대비 5.5% 증가일본 맞춤형 상품 및 오프라인 팝업스토어 확대
고물가·경기 침체로 소비 심리가 위축되면서 실적 부진에 빠졌던 국내 뷰티·식품업계가 일본 진출에 속도를 내고 있다. 국내 뷰티업계는 최대 수출국이었던 중국서 K뷰티 수요가 시들해지자 신시장으로 떠오른 일본으로 눈을 돌리며 현지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진정’한 세상을 만드는 숨겨진 비밀을 찾기 위해 서울 한복판에 펼쳐진 강화섬으로 여정을 떠나겠습니다.”
4일 서울 중구 명동역 6번 출구로 나와 100m쯤 걷자 빨간색 외관으로 꾸며진 미샤 명동 메가스토어가 눈을 사로잡았다. 에이블씨엔씨의 화장품 브랜드 미샤는 ‘개똥쑥, 진정한 100일’을 테마로 미샤 아일랜드 팝업 공간을 열었다. K뷰티 성지인 명
국내 사모펀드 운용사 IMM프라이빗에쿼티(PE)는 전날 임원 인사를 단행해 김유진 오퍼레이션즈본부장(한샘 대표집행임원)과 유헌석 IMM PE전무가 모두 부사장으로 승진했다고 8일 밝혔다.
이번 인사는 역량이 뛰어난 직원들에 대하여 속도감 있는 승진으로 보상하겠다는 송인준 IMM PE 사장의 경영 방식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특히 2006년 회사 창립 이
에이블씨엔씨가 올해 3분기 해외 및 국내 온∙오프라인 채널에서 성장하며 약진을 지속하고 있다.
14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에이블씨엔씨는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 13억 원을 기록했다. 6억 원이었던 전년 동기 대비 2배 이상 증가한 수치다. 같은 기간 연결기준 매출은 653억 원, 상각 전 영업이익(EBITDA)은 41억 원으로 전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