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코스닥 상장…부작용 이슈에 몸값은 절반으로 ‘뚝’글로벌 기술수출 2건 성과 강점이지만, 부작용 원인 변수원인 조사 결과에 따라 시장에서 기업 가치 반등할 수도
바이오 업계 기업공개(IPO) 최대어로 기대를 모았던 오름테라퓨틱이 이달 14일 상장한다. 작년 말 상장이 목표였지만, 핵심 파이프라인의 부작용 이슈로 한 차례 철회 후 재도전이다. IP
올해도 국내 바이오 기업들의 기업공개(IPO)가 활발할 전망이다. 증시 입성 도전이 이어지면서 얼어붙은 바이오업계 투자심리를 녹일 수 있을지 주목된다.
20일 본지 취재를 종합하면 신약 개발사는 물론 미용 의료기기, 조영제 등 다양한 분야의 기업들이 1·2월 중 코스닥시장의 문을 두드린다. 지난해 상장 철회를 결정했던 기업의 재도전도 포함돼 있다.
17일 비상장 주식 시장이 상승세를 이어갔다.
38커뮤니케이션에 따르면 표적 단백질 분해제(TPD) 신약개발 전문기업 오름테라퓨틱은 이날부터 23일까지 코스닥 상장을 위한 기관 수요예측을 진행한다. 상장주관사는 한국투자증권이다.
종합 IT 서비스 전문업체 LGCNS가 9만450원(1.12%)으로 올랐다.
모빌리티 서비스 및 플랫폼 운영기업 카카오모
장외주식 거래 플랫폼 38커뮤니케이션에 따르면 16일 비상장 주식 시장은 하락세를 이어갔다.
소화기 내시경 시술기구 전문업체 파인메딕스는 오늘부터 일반투자자 대상 공모주 청약을 진행한다. 공모가는 1만 원, 주관사는 한국투자증권이다.
스마트 배선 시스템 전문기업 위너스는 코스닥 상장을 위한 증권신고서를 제출하고 본격적인 공모절차에 돌입했다. 공모 주
ADC·TPD의 장점은 극대화하고 단점은 보완국내에서는 오름테라퓨틱이 DAC 연구개발 중화이자·머크·BMS 등 글로벌 빅파마도 도입
항체약물접합체(ADC) 치료제 개발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며 새로운 형태의 ADC 개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ADC와 표적단백질분해(TPD)가 결합한 항체분해약물접합체(DAC)가 차세대 항암제로 주목받고 있다.
5일
“한국 기업이 보스턴 바이오클러스터에 정착하기 위해서는 좋은 인재, 특히 주요 임원을 영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수년의 시간을 허비한 꼴이 됩니다.”
고종성 제노스코 대표는 3일 서울 동대문구 서울바이오허브 글로벌 센터에서 열린 ‘2024 서울 바이오‧의료 오픈콜라보’에서 ‘왜 전 세계 신약개발 회사가 보스턴에 연구센터를 세워 신약 개발
CJ바이오사이언스, ‘염증성 피부 질환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논문 국제 학술지 등재
CJ바이오사이언스는 ‘피부 마이크로바이옴을 활용한 염증성 피부 질환 치료’ 연구 결과에 관한 논문이 마이크로바이옴 전문 저널인 ‘프런티어스 인 마이크로바이옴’에 게재됐다고 26일 밝혔다. 연구 대상 마이크로바이옴 균주는 주로 피부에 존재하는 ‘큐티박테리움 아크네스
장외주식 거래 플랫폼 38커뮤니케이션에 따르면 20일 비상장 주식 시장이 상승 마감했다.
IPO(기업공개) 상장 예비심사 청구 종목이자 반도체 스토리지 전문기업 엠디바이스(구 메가일렉트로닉스), 사물인터넷 플랫폼 전문업체 메를로랩, 반도체 제조용 기계 제조업체 아이에스티이는 호가 변화가 없이 거래를 마쳤다.
국내 항체약물접합체(ADC) 개발 전문기업
18일 비상장 주식시장은 하락했다.
38커뮤니케이션에 따르면 플랜트 종합엔지니어링 건설업체 현대엔지니어링은 전 거래일보다 5.59% 하락한 호가 3만3750원을 기록했다.
모바일 금융 플랫폼 토스앱 운영업체 비바리퍼블리카는 5.32% 떨어진 4만4500원으로 장을 마쳤다.
양극소재 제조 전문업체 에스엠랩은 3.12% 내린 7750원으로 마감했다.
오름테라퓨틱이 공모 자금을 바탕으로 대전과 미국 보스턴에서 연구개발(R&D)을 이어가고 새 파트너십 모색과 적응증을 확대한다고 8일 밝혔다. 또한 상장 후 2년 후인 2026년에 매출 930억 원 달성을 목표로 제시했다.
오름테라퓨틱은 이날 온라인 기자간담회를 열고 파이프라인 소개와 IPO(기업공개) 이후 계획 등에 대해 설명했다. 간담회에는 이승주
상반기 IPO 5개에서 7~8월 7개 기업 상장흐름 이어가며 신약‧AI‧진단 등 기업 도전
바이오 기업의 기업공개(IPO) 도전이 이어지고 있다. 올해 상반기 제약‧바이오·헬스케어 신규 상장사는 5곳에 불과했지만, 7~8월에만 7개 기업이 증시에 신규 입성할 만큼 하반기 크게 늘었다. 현재도 상장 절차를 밟은 기업이 20개가 넘는다.
3일 제약‧바이오
유빅스‧오름‧파인트리 차례로 기술이전질병 유발 단백질 표적해 제거‧비활성화국내외서 관심↑… M&A‧기술도입 활발
표적단백질분해(TPD) 기술이 하반기 제약‧바이오업계의 화두다. 국내 업계에서 이달에만 3건의 기술이전이 이뤄지며 항체약물접합체(ADC)에 이은 차세대 신약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조 단위 규모 계약도 성사되며 추가 기술이전에 기대를 모으고 있
버스텍에 TPD² 기술 총 1억2000억 원에 이전유전자가위 치료제 ‘카스게비’ 전처치제로 개발
오름테라퓨틱이 8개월 만에 글로벌 빅파마를 대상으로 기술수출에 성공했다. 이번 계약은 최대 1조 원 규모라는 점, 유전자가위 치료제 기업 버텍스 파마슈티컬(버텍스)과 계약이라는 점이 관심을 끌고 있다. 또 회사는 이번 계약으로 누적 1500억 원의 현금을 확
오름테라퓨틱이 버텍스 파마슈티컬(버텍스)과 글로벌 다중 타깃 라이선스 및 옵션 계약을 체결했다고 16일 밝혔다.
버텍스는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받은 최초의 크리스퍼 캐스9(CRISPR/Cas9) 유전자 편집 치료제를 보유한 기업이다.
버텍스는 오름테라퓨틱의 이중 정밀 표적 단백질(TPD) 기술을 활용해 유전자편집 치료제의 새로운 전처치제를
오스코텍 자회사 제노스코, 신약개발 기업 중 첫 ‘AA-AA’‘BMS에 2300억 원 규모 기술이전’ 오름테라퓨틱, ‘A-BBB’ 통과
바이오 기대주로 꼽히는 제노스코와 오름테라퓨틱이 코스닥 기술 특례 상장을 위한 기술성 평가를 통과했다. 양사는 올해 코스닥 상장 예비심사를 청구할 계획이다.
28일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두 기업은 상장을 위한 첫
6일 하루 동안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이 글로벌 대형 제약사(빅파마) 기술 수출 계약이 2건 체결됐다. 종근당은 노바티스에 희귀질환 신약후보물질을, 오름테라퓨틱은 브리스톨-마이어스 스퀴브(BMS)에 백혈병 치료제를 각각 기술 수출하는 성과를 거뒀다. 계약 규모는 양사 합쳐 2조 원에 달하는 수준이다.
종근당에 따르면, 6일 오전 종근당은 노바티스에 희소
오름테라퓨틱은 브리스톨-마이어스 스퀴브(Bristol Myers Squibb, BMS)에 ORM-6151 프로그램을 이전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6일 밝혔다.
ORM-6151은 혁신신약(first-in-class) 항 CD33 항체 기반 GSPT1 단백질 분해제 약물로, 급성 골수성 백혈병 (AML) 또는 고위험 골수형성이상증후군 환자 치료를 위한 미국
6월 4주 투자를 유치한 주요 스타트업 기업은 디사일로와 어반플레이, 마들렌메모리, 오름테라퓨틱 등이다.
◇디사일로
프라이버시 강화 기술 스타트업 디사일로가 LG전자로부터 전략 투자를 유치했다. 디사일로는 이번 투자 유치를 계기로 B2B(기업 간 거래)에서의 데이터 활용을 위한 기술개발에 협력할 계획이다.
디사일로는 네이버 D2SF 등으로부터 투자
오름테라퓨틱은 9일(현지시간)부터 나흘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리는 ‘제41회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에 참가한다고 3일 밝혔다. 이번 참가는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의 공식 초청에 따른 것이다.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는 전 세계 제약·바이오 기업 관계자와 전문 투자 기관이 참가하는 행사다. 이 기간에 다양한 관계자들이 투자 유치 및 기술 제
오름테라퓨틱은 12일(현지시간) 미국 뉴올리언스에서 열리고 있는 미국 혈액암학회(American Society of Hematology, ASH)에서 신약후보물질 ‘ORM-6151’에 대한 전임상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ORM-6151은 오름테라퓨틱이 자체 개발한 TPD(Dual-Precision Targeted Protein Degradation) 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