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징금, 증권발행제한 등 중조치 66건으로 50.8% 중조치 전년 보다 38.5%p 급증금감원 “올해 정기공시 관련 위반 반복하는 회사… 과징금 등 중조치”
지난해 금융당국이 조치한 전체 공시의무 위반 조치 중 과징금 등을 부과하는 중조치가 50%를 넘어선 것으로 확인됐다.
금융감독원은 지난해 상장법인 등의 자본시장법상 공시의무 위반에 대해 총 130
금융감독원은 12월 결산법인의 감사 계약을 앞두고, 이달 21일부터 24일까지 나흘간 대한상공회의소와 함께 외부감사제도 전국 순회 설명회를 개최한다고 1일 밝혔다.
설명회 개최 장소는 광주, 대구, 울산, 부산, 서울 등 5개 도시의 상공회의소다. 참석을 희망하는 기업 또는 감사인은 각 개최지의 상공회의소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 신청이 가능하다.
외부
12월 결산법인의 외부감사인 선임 기한이 시작되면서 금융감독원은 회사 유형별로 선임기한, 감사인 자격요건, 선정권자 등 다른 기준의 요구사항을 면밀히 확인해줄 것을 당부했다. 외부감사 대상회사는 외부감사 법령에 따른 기간 내에 감사인을 선임한다. 이를 위반하는 경우 감사인 지정 대상이 될 수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12일 금융감독원은 '2025년 외부
회계업계의 지난해 영업이익이 경기 불황에 따른 대손상각비, 인건비와 보험료 증가 등에 따라 20% 넘게 감소했다. 특히 감사 부문 매출액은 경영자문 매출액을 뛰어넘었다. 고금리와 경기둔화가 지속하면서 인수·합병(M&A)은 감소하고, 신외부감사법 시행으로 인한 회계감사 매출은 증가한 영향이다.
20일 금융감독원이 공개한 '2023 사업연도 회계법인 사업
국내 가상자산 원화거래소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가 2024년 3분기에 대한 분기보고서를 14일 공시했다.
분기보고서에 따르면 두나무의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매출은 1893억 원으로 2570억 원을 기록한 전분기 대비 26.3% 감소했다. 영업이익은 839억 원으로, 전분기 1590억 원보다 47.2% 줄었다. 당기순이익 역시 전분기(1311억 원)보
2분기 매출 2570억 원…전분기 대비 52%↑…ETF 영향력 약화 영향7월 19일 시행 이용자보호법 준수 의지…“건전한 투자 시장 만들 것”
두나무의 2분기 매출 및 영업이익이 전분기보다 크게 감소했다. 두나무는 1분기 상승을 이끌었던 가상자산 ETF 승인 등 대형 모멘텀이 2분기 약화한 것을 주요 원인으로 보고 있다.
블록체인ㆍ핀테크기업 두나무가 2
# SK하이닉스는 청주 M15X에 공장 건설비 5조3000억 원을 포함해 20조 원 이상을 투자한다. M15X의 경우 지난 4월 반도체 생산시설(Fab·팹) 건설 공사가 시작됐으며, 내년 11월 준공 이후 HBM을 비롯한 D램 제품을 생산할 계획이다. 현대글로비는 1조275억 원을 투자해 자동차선 6척을 신조(새로 만듦)할 계획이다. 현대글로비스는 “중장기
2020년 11월 신(新)외감법(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 개정)이 본격적으로 시행하면서 유한회사(자산 또는 매출 500억 원 이상)도 외부회계감사 대상에 포함됐다. 외국계 기업들이 국내 법인을 유한회사로 구성해 실적 공개를 회피하던 것을 막기 위함이다. 일명 ‘에루샤’(에르메스·루이비통·샤넬) 국내 법인이 주식회사처럼 감사보고서를 공개한 것도
한은, 20일 ‘2024년 1분기 기업경영분석결과’ 발표작년 대비 이자보상비율, 대기업 202.3→446.9%·中企 251.1→178.2%“중소기업 업황, 아직까지 본격적으로 개선되지 않아”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이자를 갚을 여력이 온도차를 보였다. 대기업의 이자보상비율은 1년 만에 큰 폭으로 개선된 반면, 중소기업은 부진했다.
20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중소기업이 대기업집단 규제를 받는 불합리한 일이 다반사로 벌어지고 있다. 대기업 경제력 집중 억제라는 명분에 매몰된 나머지 기업 생태계의 변화상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낡은 제도가 빚는 블랙 코미디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어제 40개 공시대상기업집단 계열사 1105개가 대부분 중소기업에 해당하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현행 중소기업자본법의 규
한은, 12일 ‘2023년 기업경영분석 결과(속보)’ 발표이자보상비율 100% 미만 기업 34.6→40.1% 증가영업적자 기업도 25.0→27.8% 증가“매출액영업이익률 낮아지고 금융비용 부담률 상승”
지난해 이자만큼 영업이익을 못 내는 기업 비중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수익성은 떨어지는 반면 금융비용 부담은 커진 영향이 컸다.
한국은행이 12일
금융감독원은 중소기업중앙회, 외국인투자옴부즈만과 함께 최초 외부감사대상 회사를 위한 감사인 선임제도 온라인 설명회를 실시한다고 8일 밝혔다.
금감원에 따르면 외부감사대상 회사는 자산총액, 매출액 등이 일전 규모 이상인 주식회사 및 유한회사로, 매년 5000개 이상의 회사가 외감대상에 신규 편입된다.
최초로 외감대상이 되는 회사는 사업연도 개시일로부터
삼일PwC ESG 플랫폼이 최근 ‘미국 SEC 기후 공시 규칙 최종안’ 보고서를 발간하고 기후 공시 규칙의 주요 요구사항과 기업의 대응 전략을 제시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는 ‘글로벌 3대 ESG 공시 기준의 마지막 퍼즐’로 불렸던 미국 기후공시규칙이 지난 6일(현지 시각) 최종 확정된 데 따른 것이다. 미국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국내 기업(상장 대기업
올해 분기보고서부터 ‘가상자산 회계지침’에 따라 공시 작성쟁글, 가상자산 회계처리 관리해주는 ‘쟁글 ERP’ 출시 예정가상자산 거래소 고객 자산 수탁 가능성에 커스터디업도 호재?
금융위원회가 지난해 내놓은 가상자산 회계처리 지침에 따라 가상자산 업계 B2B 사업도 활력을 얻었다. 쟁글은 올해 상반기 내에 기업을 대상으로 한 쟁글 ERP를 정식 출시하고
2023년 말 기준 외부감사 대상 회사가 10% 가까이 늘었으나 회계제도 보완 등으로 감사인 지정회사 수는 15% 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외부감사 대상 회사 수는 4만1212사로 전년 대비 3693사(9.8%) 증가했다. 외부감사 대상 회사는 신 외부감사법(신외감법) 시행에 따른 외부감사 대상 기준 개선
고금리에 인수협상 결렬·매각 철회…올 상반기 글로벌 M&A 거래액 39% ↓한경협 “기업 단기차입금 규모 급등”…한은 “좀비기업 4000곳 육박” 추정
경기침체의 그늘이 계속되고 있다. 모두가 기다려왔던 금리 인하 논의가 조금씩 시작되고 있지만, 현재의 금리는 최근 5년간의 저금리에 비해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고금리 속 한계기업이 4000곳에 달하면서
증선위, 가상자산 회계처리 감독지침 의결가상자산 발행 규모·백서 주요 내용 주석공시 의무화고객 위탁 가상자산, 자산·부채로 인식…“집중 점검 예정”2024년 1월 1일 개시하는 사업 연도부터 의무 적용
가상자산 발행 규모, 수행의무 등 백서의 주요 내용 및 무상배포 현황 등을 주석에 반드시 공시하도록 하는 가상자산 회계처리 감독지침이 제정 공표됐다. 감
2021년 설립된 A사는 2021년 결산 결과 자산총액 600억 원으로 2022년 처음으로 외부감사 대상이 됐고, 2022년 4월 30일 초도 감사계약을 B 회계법인과 체결했다. 2022년 결산결과 올해도 외부감사 대상에 해당한 A사는 계속감사 기업이므로 사업연도 개시일로부터 45일 이내에 감사인을 선임했어야 했으나 시일을 넘긴 4월 29일에 외부감사인
한은, 12일 ‘3분기 기업경영분석 결과’ 발표성장성 지표 매출액증가율 -5.2%, 전분기보다 감소폭 확대수익성 지표 매출액영업이익률 4.0%, 1년 전보다 0.8%p 하락안정성 지표 부채비율 90.2%, 전분기 대비 0.6%p 하락
3분기 외감기업 성적표가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12일 발표한 ‘3분기 기업경영분석 결과’를 보면 3분기
지난해 회계법인의 외부감사 실적과 매출액이 늘었으나 영업이익은 큰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9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국내 회계법인 220개의 매출액은 5조7000억 원으로 전기보다 11.9% 늘었다. 이 중 4대 법인(삼일·삼정·한영·안진) 매출액은 2조8000억 원으로 49.5% 비중을 차지했다.
신 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외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