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업계 맏형 넥슨이 지난해 게임업계 최초로 매출 ‘4조 클럽’에 입성했다. 넷마블은 적자 고리를 끊고 2년 만에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양사는 연초부터 대형 신작을 대거 선보이며 침체의 늪에 빠진 게임업계에 활기를 이어갈 것으로 기대된다.
넥슨은 지난해 중국에 출시한 ‘던전앤파이터 모바일’과 글로벌 출시한 ‘퍼스트디센던트’의 흥행에 힘입어 4조91억 원
넥슨이 지난해 중국 지역에 출시한 ‘던전앤파이터’ 모바일과 7월 글로벌 출시한 ‘퍼스트 디센던트’의 성공적인 출시에 힘입어 국내 게임사 최초로 연간 4조 원이 넘는 매출을 달성했다.
넥슨은 지난해 전년 대비 5% 증가한 4조 91억 원의 매출을, 영업이익은 8% 감소한 1조 1157억 원을 기록했다고 13일 밝혔다.
4분기 매출은 7,294억 원을 기록
미샤 등 브랜드를 운영하는 화장품 기업 에이블씨엔씨가 지난해 수익성을 개선했다.
에이블씨엔씨는 2024년 매출 2645억 원, 영업이익 203억 원을 기록했다고 12일 잠정 공시했다. 전년 대비 매출은 3.3% 감소했고 영업이익은 77.7% 증가했다.
에이블씨엔씨는 지난해 실적에 대해 고환율과 관광 트렌드 변화에 대응해 저수익 면세 채널 의존도를 낮
2일 일본서 합동 트레이닝 이벤트 전개지난 러닝 이벤트도…소비자 접점 확대 목적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이 전개하는 애슬레저 브랜드 ‘젝시믹스’가 일본 소비자 대상 참여형 스포츠 이벤트를 개최하며 현지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6일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에 따르면 젝시믹스는 이달 2일 전문 트레이너와 함께 근력 운동을 배울 수 있는 ‘켄&야기미(KEN
작년 日 수입차 시장 점유율 0.24% 차지 재진출 후 3년간 판매량 年 1000대 미만 낮은 전기차 수요와 판매 방식이 부진 원인 꼽혀소형 SUV 캐스퍼 일렉트릭 출시로 정면돌파
현대자동차가 재진출한 일본 시장에서 점유율을 늘리지 못하며 고전하고 있다. 현지 시장에서 전동화 전환 속도가 더딘 가운데 순수 전기차만 출시하는 전략이 통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쿠팡·무신사 등 마진율 높은 화장품 적극 확장 유통 마진 낮춰 수익성 강화·충성 고객 확보
업계 1위 이커머스 플랫폼 쿠팡이 화장품 자체 브랜드(PB·Private Brand)를 론칭하며 뷰티 시장 영향력 키우기에 나서고 있다. 오프라인 뷰티 절대 강자 CJ올리브영과 뷰티 사업을 공격적으로 확대하고 있는 무신사도 화장품 PB 사업에 적극 나서고 있어 향
맘스터치가 올해를 일본 시장 확대의 원년으로 삼는다.
맘스터치는 7일 일본 법인 맘스터치 재팬과 일본 현지 기업 도어스(Doors)가 프랜차이즈 가맹 계약을 체결했다고 8일 밝혔다.
계약 파트너사인 도어스는 1929년 설립돼 외식을 비롯한 에스테틱, 리조트, 공공 인프라 유지보수 등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일본 이와테현에서 한국식 비비큐를 중심으로
깔끔하고 편안한 디자인, 화사한 색감 강점젝시믹스, 레깅스로 2030 일본 여성 공략코오롱FnC '왁', 도쿄백화점 전문관 입점해 인기
트렌드를 선도하는 감각적인 디자인의 K패션이 일본 스포츠웨어 시장을 파고들고 있다. 화사한 색감이 특히 호평 받으며 일본 MZ세대 소비자의 선택을 받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국내 애슬레저 브랜드 ‘젝시믹스’가 특히
네이처리퍼블릭은 일본 법인 설립 3년 만에 누적 매출 47억 엔(한화 약 436억 원)을 돌파했다고 6일 밝혔다. 네이처리퍼블릭은 오프라인 중심의 일본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2021년에 현지 법인을 설립했다.
2021년 일본 현지 법인을 설립한 이후 3대 버라이어티숍인 로프트, 프라자, 핸즈를 비롯해 돈키호테 등 일본 전역 9000개 이상 매장과 온라
사령탑이 바뀐 풀무원이 올해 더 가속할 글로벌 K푸드 열풍에 편승, 수익성 개선에 박차를 가할 전망이다.
4일 식품업계에 따르면 이우봉 총괄CEO(최고경영자)가 2일 공식 취임하면서 풀무원은 2기 전문경영인 체제가 시작됐다. 이 CEO는 2025년 4대 핵심 실천과제로 △글로벌 시장 확대 △지속가능식품 확장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강화 △
셀트리온은 유방암‧위암 치료제 ‘허쥬마’(성분명 트라스투주맙)가 일본에서 11월 기준 점유율 74%를 기록하며 3년 연속 1위를 지켰다고 26일 밝혔다.
허쥬마는 2021년 2분기 처음 오리지널 제품의 점유율을 넘어선 이후 3년 연속 선두를 지키며 현재 70%가 넘는 점유율을 기록 중이다.
셀트리온 일본 법인은 현지의 바이오시밀러 우호 정책을 기반으로
국내 립 틴트 화장품 1위를 차지한 삐아가 공격적인 마케팅으로 성장을 이어간다. 당장의 이익보다 규모를 늘리는 전략이 필요하다는 판단에서다.
8일 본지 취재를 종합하면 삐아의 올해 매출액 증가 대비 영업이익의 정체는 공격적인 마케팅 비용 때문이다.
삐아 관계자는 “브랜드 몇 개 더 출시하고 마케팅 비용이 늘었다”며 “예전보다 ‘가성비’에서 ‘가심비’
11월 5주 투자를 유치한 스타트업은 바로팜, 스토어링크, 바이오컴, 워시스왓 등이다.
◇바로팜
약국 경영 토털 플랫폼 기업 바로팜은 총 190억 원의 투자금을 유치해 상장 전 지분투자(프리 IPO)를 클로징했다. 이번 라운드에는 미래에셋증권과 CJ대한통운이 추가 투자자로 참여했다. 바로팜은 누적 투자금액 약 400억 원을 기록하며 약국 플랫폼 시장에
구글코리아가 20년간 한국에 내야 할 국내 법인세 추정치가 최대 19조3000억 원에 달할 수 있다는 연구가 나왔다. 국내에 매출액을 과소 보고하거나, 매출액을 국내가 아닌 해외 매출로 추산하는 등 ‘꼼수 회계’로 조세를 회피한다는 분석이다. 이에 네이버·카카오 등 토종 플랫폼 기업에 역차별로 작용할 수 있다는 비판도 나온다.
전성민 가천대학교 경영학
불ㆍ기름 쓰지 않아 개점 비용 낮아신선한 채소 등 앞세워 건강식 강조일본 진출 30년…매장 160여 곳 그쳐주문방식 개선해 제2의 전성기 노려
10년째가 되는 1999년까지 일본에 매장 2000곳을 열겠다.
1990년 2월, 미국 샌드위치 브랜드 ‘서브웨이(Subway)’가 일본 진출을 알렸다. 진출과 함께 “앞으로 10년 동안 연평균 200곳의 매
종합식품기업 풀무원이 단체급식의 지속 확대와 해외 시장에서 차별화한 품목을 확대해 3분기 호실적을 냈다.
풀무원은 올 3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1.7% 증가한 8337억 원, 영업이익은 52% 증가한 333억 원을 기록했다고 15일 밝혔다. 3분기 누적 매출은 2조3960억 원, 영업이익 658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로써 3분기 개별 및 1~3분
아우딘퓨쳐스의 화장품 사업부가 코로나19 이후 분기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아우딘퓨쳐스는 별도재무제표 기준 3분기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40.72% 증가한 106억 원을 기록했다고 14일 밝혔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2억 원으로 집계됐다. 지난 1분기 영업손실 16억 원, 2분기 영업손실 11억 원 대비 빠르게 적자 폭을 줄이고 매출 상승에 힘
LX홀딩스, LX MDI, LX벤처스 3개 사 인사미래 성장과 변화 준비에 방점LX MDI, 그룹 내 위상과 역할 커져
구본준 LX그룹 회장의 장남인 구형모 LX MDI 부사장이 사장으로 승진했다. 이번 인사로 구 사장의 경영 보폭이 확대되고 경영권 승계에도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LX홀딩스와 LX MDI, LX벤처스 등 3개 사는 13일 각 사별
넥슨이 게임업계 최초로 연 매출 4조 원을 달성할 수 있을 거란 전망이 나왔다. 올해 1,2분기에 이어 3분기에도 기존 주력 지식재산권(IP)과 신규 IP의 동반 성장으로 호실적을 내면서다.
넥슨은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11% 늘어난 515억 엔(4672억 원, 이하 100엔당 906.6원 기준)을 기록했다고 12일 일본 도쿄증권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