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장이 전반적인 은행 경영을 총괄한다고 하면 부행장은 실질적인 사업을 담당하는 집행임원이라고 할 수 있다. 뱅커 중엔 최고 자리까지 올라간 부행장을 우리는 ‘은행의 별’이라고 부른다. 그만큼 부행장이 되기까지가 어렵고 힘든 과정이기 때문이다. 본지는 부행장의 현황과 역할을 짚어보고 인터뷰를 통해 부행장이 되기까지의 과정과 업무에 대한 이야기, 후배 은행원
2000년 평사원 입사해 총지배인까지…25년간 '조선호텔 호텔리어' 근무"가장 기억 남는 고객? 부친이 묵었던 호텔 607호 룸 키 돌려주러 온 외국인""조선호텔 최고의 자산은 역사…서비스는 시간과 사람이 만드는 것""호텔업 앞으로도 성장할 것…국내 호텔ㆍ관광 발전 위해 '질과 양 '균형 필요"
“올해 110주년, 현존하는 국내 최고(最古) 호텔에서
박근혜 대통령이 30일 최순실 사태와 관련해 청와대 인사개편을 단행하면서 물러난 이원종 전 비서실장은 “저 자신도 반듯하게 일 해보려고 했는데 결국 이렇게 됐으니 마음이 아프다”고 말했다. 이 전 실장의 사표수리는 임명 5개월 보름 만이다.
이 전 실장은 “나라를 위해서, 국민을 위해서 많이 힘써 달라”고 취재진에 짧은 당부를 남겼다.
이 실장은 9급
최근 재계에는 독자 경영으로 인생 2막을 연 전직 대기업집단 전문경영인 2명이 화제가 되고 있다. 주인공은 신현우 불스원 부회장(전 OCI)과 최병인 이지스엔터프라이즈 대표이사(전 효성노틸러스 사장)다. 이들은 모두 대기업집단 재직 시절 전문경영인으로 오너의 오른팔 역할을 했던 인물들이다. 또 그룹 계열사의 지분을 인수한 후 계열분리를 통해 독자경영에
‘입지전적 인물’
최수부 광동제약 회장을 따라다니는 수식어다. 1936년 일본에서 태어난 그는 12세의 어린 나이에 소년가장으로서 아홉 식구의 생계를 책임져야 했기에 초등학교 4년 중퇴하고 담배장사, 엿장수, 찐빵장사, 군납업자 등 안 해본 일이 없었다. 청년이 되어서는 한방 제약회사의 영업직 외판사원으로 일을 했다. 물건을 팔 수 있는 곳이라면 국회든
사람의 마음을 단 번에 빼앗을 수 있는 것이 무엇일까. 바로 힘이다. 그 중에서도 권력과 금력은 가장 중요한 힘이다. 이 두 가지에 대한 욕구가 있기에 사람이고 또 사람이기에 이것들을 탐하고 쫓게 된다.
미국의 제40대 대통령 로널드 레이건은 알려진 바와 같이 할리우드에서 활동한 영화배우였다. 성공한 배우 출신으로서 더 높은 곳을 바라보는 것은 어쩌면 당
김정태 하나금융 회장 내정자가 김승유 회장 못지 않은 리더십을 보여줄 수 있을까? 김승유 회장이 금융권 1세대로서 입지전적의 길을 보여준 탓에 하나금융의 새 회장에게 쏠린 관심은 이와 비례한다. 정치적 외풍, 내부결속 등 산적한 과제를 해결하며 새 리더십을 보여주는 것이 그의 최대 과제인 셈이다.
물론 하나은행 내에서의 그의 평가는 높다. 김 내정자는 타
한국생산성본부는 오는 4일 밀레니엄 힐튼호텔에서 윤생진 금호아시아나그룹 윤생진 상무를 초청해 제52회 KPC 최고경영자(CEO) 포럼을 개최한다.
그룹내에서 아이디어를 1만8600건 제안하는 등 '아이디어 왕'으로 손꼽히는 윤 상무는 고졸 생산직에서 기업 임원오른 입지전적의 인물로, 이날 포럼에서 '창조경영이 개인과 기업의 운명을 바꾼다'를 주제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