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성원 대상 메시지 보내 ‘호시우보’ 자세 강조“우려 목소리 많지만 위기일 때 진정한 실력 드러나”
김동명 LG에너지솔루션 최고경영자(CEO) 사장은 3일 “시장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하되 제품 및 가격 경쟁력에서 우위를 갖추는 활동을 정말 우직하고 묵묵히 실행해 나갈 시점”이라며 “다가올 슈퍼사이클(초호황기) 지배자는 LG에너지솔루션이 될 것이라 확신
신한투자증권은 LG에너지솔루션에 대해 “주요 지역 EV 수요 약세 지속되는 가운데 트럼프 취임 이후 정책 리스크 확대로 2차전지 업종의 투자심리가 위축됐다”면서 “완성차 업체들의 조심스러운 접근에 맞춰 눈높이 하향 조정 진행 중”이라고 했다.
이에 투자의견은 ‘매수’를 유지하나, 목표주가는 9% 하향한 43만 원을 제시했다. 현재주가(24일 기준)는 3
교보증권은 10일 삼성SDI에 대해 어려운 경영환경이 전망된다며 목표주가를 31만 원으로 기존 대비 37.5% 하향 조정했다.
최보영 교보증권 연구원은 "삼성SDI의 4분기 매출액은 3조7595억 원으로 전년 동기대비 32.4% 감소하고 영업적자도 1898억 원으로 적자전환해 컨센서스를 큰 폭 하회할 전망"이라며 "기존 대비 실적 하향의 원인은 중대형
NH투자증권은 10일 LG에너지솔루션에 대해 계절적 비수기이자 정책 공백기인 올해 1분기까지 실적 부진이 지속할 것으로 예상했다. 목표주가 44만 원과 투자의견 ‘매수’는 유지했다.
주민우 NH투자증권 연구원은 “LG에너지솔루션은 1분기 일회성 비용은 제거된 만큼 적자 폭은 감소할 전망이나 실적 모멘텀은 제한됐다”고 밝혔다.
주 연구원은 “연초 출시
신한투자증권은 LG에너지솔루션에 대해 이차전지 업황 부진으로 지난해 4분기 시장 기대치를 밑도는 실적을 거둘 것으로 전망했다. 투자의견은 ‘매수’ 유지, 목표주가는 기존 54만 원에서 47만 원으로 하향 조정했다. 전 거래일 기준 종가는 37만3500원이다.
9일 이진명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전기차 수요 부진 및 정책 리스크에 따른 이차전지 업체들의
전기차 캐즘, ESS로 넘는다R&D 경력 채용 열어美 중심 영토 확장 본격화
LG에너지솔루션이 전기차 캐즘 돌파구로 삼은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 확대에 속도를 낸다. 지난해에만 3건의 조 단위 수주를 따낸 LG에너지솔루션은 연구개발(R&D) 인력 확충을 통해 기술 경쟁력을 끌어올린다는 방침이다.
1일 배터리 업계에 따르면 LG에너지솔루션은 최근
NH투자증권은 30일 LG에너지솔루션에 대해 내년에도 판매 회복이 지연될 것이라며 목표주가를 44만 원으로 기존 대비 12% 낮춰 조정했다. 투자의견은 매수를 유지했다.
주민우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유럽과 GM향 수요가 예상대비 부진할 것으로 보여 판매 회복이 지연될 것"이라며 "내년 볼륨 성장률을 전년 동기 대비 20%에서 13%로 낮출 것"이라고
GM “투자금 회수 예상, 내년 1분기 마무리 예정”2022년 착공해 내년 초 1단계 양산 목표LG엔솔, ‘각형 배터리’ 개발 계획 공식화
LG에너지솔루션(LG엔솔)이 미국 미시간주 랜싱에서 제너럴모터스(GM)와 합작해 건설 중인 얼티엄셀즈 배터리 3공장 지분을 전부 인수할 예정이다.
2일(현지시간) AP통신에 따르면 GM은 보도자료에서 “거의 완공된 얼
LG에너지솔루션이 미국 제너럴모터스(GM)와 각형 배터리 공동 개발에 나선다. LG에너지솔루션이 각형 개발을 공식화함에 따라 전 세계 배터리 업체 중 파우치형ㆍ원통형ㆍ각형 등 모든 폼팩터(형태) 포트폴리오를 갖춘 유일한 업체가 됐다.
LG에너지솔루션은 미국 1위 자동차 업체 GM과 ‘각형 배터리 및 핵심 재료 공동 개발을 위한 계약’을 체결했다고 3일
iM증권은 14일 삼성SDI에 대해 4분기에도 실적 부진이 지속할 전망이라며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하고, 목표주가를 기존 45만 원에서 40만 원으로 11.11% 하향 조정한다고 밝혔다. 전일 기준 현재 주가는 25만5000원이다.
정원석 iM증권 연구원은 목표주가에 대해 "내년 예상 EBITDA에 최근 낮아진 전세계 주요 배터리 셀 업종 평균 EV
‘에너지로 세상을 깨우다’ 비전 제시차세대 전지 기술리더십 강화 추진
LG에너지솔루션이 배터리 제조를 넘어 전 세계 ‘에너지 순환 생태계’의 중심으로 도약하기 위한 기업 비전 ‘Empower Every Possibility(에너지로 세상을 깨우다)’를 선포했다. 이를 바탕으로 2028년까지 매출을 2배 이상 성장시킨다는 전략을 세웠다.
7일 LG에너
삼성SDI는 연결 기준 올해 2분기 매출 4조4501억 원, 영업이익 2802억 원을 기록했다고 30일 발표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4%, 영업이익은 38% 감소했다. 직전 분기와 비교해선 매출은 13% 하락했고, 영업이익은 5% 늘었다.
전지 부문 매출은 3조8729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7% 감소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46% 줄
“생산기지로 모로코·핀란드·인니 검토”가격 중국산 수준으로 인하 압박 반영LEP 배터리로 생산 영역 확장
LG에너지솔루션이 유럽에 수출할 저가형 전기차용 배터리 생산을 위해 중국 배터리 소재업체 3곳과 협상하고 있다고 24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이 보도했다.
서원준 LG에너지솔루션 자동차전지사업부장(부사장)은 로이터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우리와 함께 리튬
LG에너지솔루션이 국내 최초 전기차용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수주에 성공했다. 이번 계약을 시작으로 중국 기업이 독점하던 LFP 시장의 판도가 바뀔지 주목된다.
LG에너지솔루션은 1일(현지시간) 르노 전기차 부문 ‘암페어’와 프랑스 파리 본사에서 전기차용 파우치 LFP 배터리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2일 밝혔다.
이 자리에는 서원준 LG에너지솔루션
유안타증권은 2일 삼성SDI에 대해 ‘상대적 실적 안정성이 부각됐다’며 ‘매수’를 추천했다. 목표주가는 66만 원을 유지했다.
이안나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삼성SDI는 2차전지 섹터 불확실성으로 인해 주가가 하락했으나 올 6월 유럽 인터배터리 모멘텀과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수익성, 46파이 등 수주 모멘텀, 밸류에이션 매력도까지 투자 매력도가 높다”고
삼성SDI 1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영업이익 2674억 원…전년比 29% 감소"투자 계획대로…전년 대비 규모 확대"
삼성SDI가 전기차 성장 둔화에도 안정적인 실적을 거뒀다. 이번 분기부터는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상 첨단제조생산 세액공제(AMPC)가 영업이익에 반영됐다.
삼성SDI는 30일 열린 올해 1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매출 5조13
삼성SDI는 올해 1분기 매출 5조1309억 원, 영업이익 2674억 원을 기록했다고 30일 발표했다. 전년 동기 대비 각각 4%, 29% 감소했다.
전지 부문 매출은 4조5818억 원, 영업이익은 2145억 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률은 4.7%를 기록했다.
자동차 전지는 프리미엄 차량에 탑재되는 'P5'의 견조한 판매와 미주향 'P6'의 공급 개시
NH투자증권은 8일 LG에너지솔루션에 대해 1분기 잠정 실적은 예견된 실적부진이었다며 배터리 판가는 2분기를 저점으로 하반기엔 안정화 될 것이라고 말했다. 목표주가는 51만 원 투자의견은 매수로 유지했다.
주민우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매출액은 33조8000억 원, 영업이익 2조7000억 원을 예상하는데, 첨단제조생산세액공제(AMPC) 추정금액 2조
키움증권은 12일 삼성SDI에 대해 전동공구와 ESS 미흡으로 4분기 실적추정치를 하향한다며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75만 원을 유지했다. 전 거래일 기준 현재 주가는 44만6000원이다.
키움증권은 삼성SDI의 4분기 영업이익 추정치를 기존 5232억 원에서 4481억 원으로 하향 조정했다. 김지산 키움증권 연구원은 "당초 예상에 비해 전동공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