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제) 해제로 잠삼대청(송파구 잠실동, 강남구 삼성·대치·청담동) 일대 주요 단지 집값이 들썩일 것으로 전망된다. 투자 목적의 가수요가 늘면서 가격을 밀어 올릴 것이 유력하다는 이유다. 규제 해제가 불발된 압여목성(압구정·여의도·성수·목동)과 재건축 단지 일부에선 형평성을 지적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12일 본지 취재를 종합하면 부동산
'잠삼대청'(잠실·삼성·대치·청담동)이 토지거래허가구역에서 해제된다. 신속통합기획 사업지 일부도 토지거래허가제에서 풀린다. 다만 재건축 안전진단을 통과했거나 투기 우려가 있는 곳은 구역 지정이 유지된다.
12일 서울시는 투기 우려가 적은 지역을 대상으로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를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토지거래허가구역은 광범위하게 지정되거나 이미
오세훈 서울시장이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해제를 구체화 하면서 대표적인 규제 지역인 잠삼대청(송파구 잠실동, 강남구 삼성·청담·대치동), 압여목성(압구정·여의도·성수·목동) 일대가 들썩이고 있다. 규제 해제를 반기는 분위기가 강한 가운데 일부 지역에선 관망세를 거쳐 집값 상승이 나타날 수 있다는 예상이 나온다.
오 시장은 이달 14일 서울시청에서 열린
"거래만 줄고 가격 영향 없어 해지 바람직"반대로 "투기 방지 위해 유지 필요" 견해도
'잠삼대청(송파구 잠실동, 강남구 삼성·청담·대치동)'의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이 다시 한번 연장됐다. 이들 지역 내에서는 실망스럽단 분위기가 감지된다. 전문가 의견은 엇갈린다. 한쪽에선 현대자동차그룹 GBC 개발 등 굵직한 이슈가 안정되기 전까지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공인중개사 10명 중 8명은 올해 하반기에도 전셋값 상승 현상이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스테이션3가 13~24일 부동산 플랫폼 '다방'을 이용하는 전국 파트너 공인중개사 614명을 대상으로 '하반기 주택 가격 전망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 중 83.9%가 "상승으로 전망한다"고 답했다. 서울 등에선 이미 1년 이상 전셋값 상승이 장기화한 상
토지거래허가제 시행 한 달 만에 서울 송파구 잠실동과 강남구 삼성동ㆍ대치동ㆍ청담동 지역 주택 거래가 90% 넘게 줄었다.
각 자치구에 따르면 지난달 23일 토지거래허가제 시행 후 이들 지역에서 관할 구청에 접수된 부동산 거래 허가 신청은 70건이다. 이 가운데 잠실동 11건, 대치동 9건, 삼성동 8건, 청담동 5건 등 33건이 승인됐다. 이
“전세 물건이 아예 자취를 감췄어요. 내놓은 집은 없는데 전세로 눌러앉겠다는 수요가 많으니 가격이 오를 수밖에 없죠. 6‧17 대책으로 집주인들이 전세 재계약을 안 하고 직접 들어와 살려고 하기 때문에 전셋값 상승세는 계속 이어질 것 같습니다.”(서울 강남구 대치동 H공인 관계자)
정부가 내놓은 6‧17 부동산 대책의 불똥이 서울 강남권 아
서울 송파구 잠실동과 강남구 삼성동ㆍ대치동ㆍ청담동 등 이른바 '잠삼대청' 지역에서 23일 토지거래허가제가 시행된다. 이날부터 1년 동안 이들 지역에서 일정 면적이 넘는 토지를 구매하려면 관할 구청장 허가를 받아야 한다. 대형 개발 사업에 따른 부동산 경기 과열을 막기 위해서다. 일정 면적 이상 주택을 구매하면 2년 동안 반드시 실거주해야 한다.
다음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