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걸리 1위' 서울·수도권 70%, 전국 40% 점유율당일제조·당일유통 원칙...장에 좋은 효모균 함유MZ세대 소통 위해 최근 성수동서 막걸리 파티도
누구나 알고 가치를 인정받는 브랜드에는 흔히 ‘국민’이라는 수식어가 붙는다. ‘국민 술’로 불리는 막걸리 중에서도 ‘국민 막걸리’를 찾는다면 대다수가 서울장수의 ‘장수 생막걸리’를 꼽는다. 일 년에 2억
자극적이지 않은 맛으로 오랜 인기쌍쌍바·바밤바 제치고 스틱바 1위
달콤한 초콜릿은 초콜릿 자체만으로도 인기가 있지만, 다양한 디저트 재료로 활용된다. 특히 바닐라와 함께 대표적인 아이스크림 주재료다. 해태아이스의 ‘누가바’는 특히 차별화한 초콜릿 아이스크림으로 손꼽힌다.
빙그레의 100% 자회사 해태아이스가 1974년 출시한 누가바는 국내 최초 누가초
대상그룹 모태이자 최초의 국산 조미료일본 아지노모토 시장 독점 탈환MSG 유해성 논란도 정면 돌파출시 68주년, 연 매출 1000억원
어떤 음식이든 넣기만 하면 맛이 좋아지기에, 일명 '마법의 가루'로 불린 '미원'. 오랜 시간 변화를 거듭하며 꾸준히 소비자들에게 사랑받고 있다. 앞서 MSG(L-글루타민산나트륨) 유해성 논란까지 정면 돌파하면서 60여
롯데웰푸드, 1983년 검은돼지해 첫 출시...연매출 300억·총 24억개 판매‘이름 이상하다’ 사내 반대 불구, 당시 대표이사가 밀어붙여 ‘큰 히트’
바삭한 초코 크런치와 달콤한 딸기시럽이 들어간 ‘돼지바’는 올해로 41년째 소비자 입맛을 잡으며 국내 대표 아이스크림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출시 이후 현재까지 판매된 개수는 24억 개로 제품을 일렬로
미국서 유행한 토마토소스 착안...튜브형 기준 토마토 8.7개 '쏙'다양한 제품 출시하면 꾸준한 인기...대만, 중국 등 32개국 수출
오뚜기의 ‘토마토 케챂’이 올해로 53주년을 맞았다. 먹음직스러운 붉은 빛깔과 특유의 새콤달콤한 이 제품은 반세기를 넘어 대한민국 대표 스테디셀러 소스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지난해 말까지 국내 기준 약 152만 톤(t
누적 매출 17조5000억 원ㆍ판매량 386억 개‘맛있는 매운맛’ 구현 위해 전국 고추 연구1987년 첫 해외 진출…세계 100여 개국 판매
'매운 라면의 시대'를 연 농심 '신라면'이 오랜 기간 '국민 라면'으로 사랑받고 있다. 국내 라면 시장 점유율 1위를 30여 년간 지키고 있는 가운데 한국을 넘어 세계에서도 인지도를 높이고 있다.
12일 농심에
출시가 10원…간편ㆍ저렴한 ‘한 끼’ 추구출시 이후 누적 판매량 117억 개 돌파1989년 ‘우지 파동’에 위기 맞기도꾸준한 맛ㆍ패키지 변경으로 제품 개선
국내 최초 라면, 삼양식품의 '삼양라면'이 출시 60년을 넘기며 반세기가 넘는 기간 동안 꾸준히 사랑받고 있다. 삼양라면으로 식품업계에서 입지를 키운 삼양식품은 2012년 선보인 '불닭볶음면'을 성공
42년간 꾸준한 인기…계속성장 가도매년 5000억원 넘는 매출 기록 트렌드 변화 맞춰 제품군 다양화‘동원 불참치‘ 등 해외 수출 적극적
동원F&B의 ‘동원참치’는 올해로 출시 42주년을 맞았다. 참치하면 누구나 먼저 동원참치를 떠올릴 만큼 긴 세월 동안 소비자들에게 꾸준한 사랑을 받고 있는 국민 식품이다. 한 해 약 2억 캔 이상 판매되고 있는 동원참
판매 승인 기준도 없고, 해당 부처도 없어...곡절 끝에 출시세계 최초 냉장형 카트 '코코' 개발...콜드체인 배달 시초격
“이 작은 한 병에 건강의 소중함을 담았습니다.”
hy(옛 한국야쿠르트)의 유산균 발효유 제품 ‘야쿠르트’가 올해로 출시 53주년을 맞았다. hy는 야쿠르트를 통해 이름조차 생소했던 유산균 발효유의 대중화를 이끈 제품이다. 반세기
독창적인 모양ㆍ바삭 달콤한 맛 인기 요인출시부터 지난해까지 누적 매출액 2조 원“롯데그룹 첫 글로벌 메가브랜드로 육성”
40년 넘게 '국민 막대 과자'로 사랑받은 롯데웰푸드 '빼빼로'가 한국을 넘어 세계로 향하고 있다. 롯데그룹은 빼빼로를 첫 번째 육성 브랜드로 선정, 연 매출 1조 원의 글로벌 메가브랜드로 키운다는 방침이다.
24일 롯데웰푸드에 따르
1958년 일화 전신 '초정약수' 첫 출시…이듬해 공식 판매 시작톡 쏘는 청량함·달콤함 매력…트렌드 따라 제로 버전도 출시
‘천연사이다’는 식음료 기업 일화의 토종 사이다 브랜드로 특유의 청량함과 달콤한 소다 맛의 매력으로 두꺼운 마니아층을 보유하고 있다. 세계 3대 광천수로 불리는 초정리 광천수를 사용해 만든 것이 특징이다. 2001년부터 올해 7월까
업계 최초 1955년 ‘장류 전문 연구실’ 개설‘진간장ㆍ양조간장 501’ 등 스테디셀러 유지해외 시장서 알레르기 고려해 ‘완두 간장’ 내세워
'샘표 간장'이 출시 이래 78년간 국내 간장 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하며 '국민 간장'으로 사랑받고 있다. 기본 진간장, 양조간장은 물론 트렌드에 맞춰 다양한 파생상품을 선보이며 품목도 다양화하고 있다. K푸드
250ml 기준 누적 366억 캔 판매...천연탄산에 레몬라임향 더해 인기대용량ㆍ스토롱ㆍ제로 제품까지...트렌드 발맞춰 제품군 다양화
롯데칠성음료의 ‘칠성사이다’는 명실상부 대한민국 대표 국민 음료다. 칠성사이다는 사이다 음료 시장 점유율 60%를 차지하며 올해로 출시 74주년을 맞았다.
지난해 말 기준 누적 판매량은 366억 캔(250㎖ 환산 기
발효매실 함유 음료 업계 첫선...누적판매 9억 병2000년 가수 조성모 광고로 화제...연매출 코카콜라 넘어2017년 패키지 변경ㆍ올해 2월 ‘제로 초록매실’ 출시
선풍적인 인기를 끌며 제2의 전성기를 누리고 있다.
30일 웅진식품에 따르면 초록매실은 1999년 출시, 올해로 25주년을 맞았다. 출시 이후 꾸준한 사랑을 받으며 500㎖ 기준 2005년부
하이트진로의 대표 소주 ‘진로’가 탄생 100주년을 맞았다. 현재 우리나라 최장수 브랜드로 K-소주의 대명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하이트진로가 과거의 진로를 재해석해 2019년 새로 출시한 일명 두꺼비 소주 ‘진로이즈백’의 누적 판매량은 올해 4월 기준 19억 병을 돌파했다. 이는 1초에 13병꼴로 팔린 수치다. 일제강점기에 출시했던 오리지널 진로의 판매
작년까지 누적 판매 95억개 돌파모양은 한국 전통 달 항아리서 영감2004년 미국 수출...중국서도 '불티'
빙그레 ‘바나나맛우유’가 올해로 50주년을 맞았다. 과거 고급 과일로 대접 받던 바나나를 활용, 맛과 영양을 동시에 갖춘 국내 가공우유 대표 브랜드로 성장했다.
10일 빙그레에 따르면 바나나맛우유는 1974년 6월 탄생했다. 출시 이후 가공유 시
부드러움ㆍ고소함 강화한 한국식 첫 크래커누적 판매량 22억 봉지…줄 세우면 지구 8바퀴커피와 즐기는 대표 간식으로 자리매김
한국형 첫 크래커인 해태제과 '에이스'가 50년간 커피와 함께하는 대표 과자로 사랑받고 있다. 출시 이후 꾸준한 인기를 누리며 연 매출 500억 원대 메가 브랜드 자리를 지키고 있다.
2일 해태제과에 따르면 에이스는 1974년 출
1940년 국내 들어온 카레…특유의 향 탓 대중화 어려워1969년 오뚜기 카레 출시로 소비자 반응 좋아져첫해에만 400만개 팔려...순한맛ㆍ매운맛 등 제품군 확대‘3분 카레’→과립형 등 트렌드 반영해 계속 변화
올해 출시 55주년을 맞은 '오뚜기 카레'가 맛과 영양을 앞세워 출시 이래 국내 카레 시장에서 1위를 놓치지 않고 있다. 분말 형태부터 가정간편식(
떠먹는 아이스크림 독보적 1위당시 제품들보다 60배 비쌌지만고급화 전략 통하며 전국적 인기
1974년 탄생한 국내 대표 떠먹는 아이스크림으로 자리매김한 빙그레 ‘투게더’는 특유의 부드러운 맛을 앞세워 그 이름처럼 모든 국민이 다 함께 즐기는 제품으로 사랑받고 있다. 빙그레가 보유한 고유의 기술로 만든 ‘우유 아이스크림’의 시초로, 국내 고급 아이스크림 시
출시 이후 누적 판매량 19억 개10년 판매량 에베레스트 2093회 왕복크림빵 성공 발판…제과 대표기업 도약
SPC삼립 ‘정통 크림빵’이 변함없는 추억의 맛을 앞세워 60년간 소비자의 꾸준한 사랑을 받고 있다. 국내 제빵업계 최초의 ‘비닐포장’ 빵으로 간식과 설탕이 귀했던 1960년대, 출시하자마자 큰 인기를 끌며 국내 제과업계를 대표하는 스테디셀러로 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