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파워프라즈마 종속기업 스페이스프로(구 한국화이바)가 미국 국방혁신부 드론 업체로 선정된 B사에 시제품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B사는 미군 소형 무인기의 80% 이상을 점유하고 있다. 뉴파워프라즈마 자회사가 연내 정식 공급시 방산 관련 사업이 본업인 플라즈마 사업 성장과 함께 이뤄지면 사상 최대실적을 경신할 수 있을 전망이다.
26일 뉴파워프라
사우디 등 메가 프로젝트 활발…국내 기업 경쟁력 제고
김앤장 법률사무소가 이달 27일 글로벌 로펌 디엘에이 파이퍼(DLA Piper)와 함께 ‘성공적인 중동 시장 진출을 위한 노하우 : 투자, 클레임 관리 및 분쟁 해결’을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한다고 21일 밝혔다.
최근 사우디아라비아의 메가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중동 지역 투자와 진출이 활발해지면서
대웅제약과 휴젤, 메디톡스 등 K보툴리눔 톡신 대표기업이 지난해 미용·성형 시장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며 최다실적을 갱신했다. 미용·성형 시장이 지속해서 성장하는 만큼 인수합병(M&A) 형식의 형태로 시장 진출을 노리는 기업이 늘고 있다.
19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휴젤은 지난해 매출 3730억 원, 영업이익 1663억 원을 기록하며 최
루닛은 중동 최대 의료서비스 기관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 병원관리청(SEHA)과 유방촬영술 인공지능(AI) 영상분석 솔루션 '루닛 인사이트 MMG'에 대한 공급 계약을 체결하고 국가 유방암 검진사업에 착수한다고 18일 밝혔다.
SEHA는 루닛 AI 솔루션을 활용해 향후 5년간 10만 건 이상의 유방촬영술 의료영상을 분석할 계획이다.
서범석 루닛 대표는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루닛(Lunit)은 중동 최대 의료서비스 기관인 아랍에미리트연합(UAE) 아부다비 병원관리청(SEHA)과 유방촬영술 AI 영상분석 솔루션 '루닛 인사이트 MMG'에 대한 공급 계약을 체결하고, UAE 아부다비 국가 유방암 검진사업에 본격 착수한다고 18일 밝혔다.
루닛은 지난 2022년 호주를 시작으로 스웨덴, 아이슬란드 등 유
한국투자증권은 11일 현대로템에 대해 유럽 국가들의 방위비 증액에 따른 수혜가 기대된다고 평가했다. 목표주가를 기존 9만2000원에서 11만8000원으로 상향하고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했다.
장남현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미국 자국 우선주의 기조가 강화하며 유럽 국가들이 자체 국방 강화를 위한 방위비 증액에 나서고 있다”며 “국내 기업들은 비유럽 지
SKT, '슈퍼 인프라 하이웨이' 선봬AI DC 분야 동맹 구축…글로벌 텔코 얼라이언스 주목'K컬처'에 'AI' 결합한 KTMS와 한국적 AI·시큐어 퍼블릭 클라우드 2분기 공개LG유플러스, '인간 중심 AI'에 방점구글과 익시오 글로벌 진출 위한 파트너십 체결
세계 최대 이동통신 전시회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25'가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한국
MWC25서 자인그룹과 MOU 체결중동·아프리카 AI 시장 본격 진출사우디서 연내 익시오 서비스 목표국내선 익시오 안드로이드 버전 출시
LG유플러스가 자사 인공지능(AI) 에이전트 ‘익시오(ixi-O)’의 중동 진출을 모색한다.
LG유플러스는 4일(현지시간)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MWC25에서 자인그룹과 ‘익시오’의 글로벌 출시를 위한 업무협
바이오 기업 앱클론(AbClon)이 한국형 카티(CAR-T) 세포 치료제 AT101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본격화했다는 소식에 상승세다.
4일 오전 9시 4분 현재 앱클론은 전일 대비 710원(5.81%) 오른 1만2920원에 거래됐다.
이날 앱클론은 28일(현지시간) 오후 튀르키예 이스탄불에서 현지 기업 TCT헬스테크놀로지(TCT)와 AT101의 사
바이오 기업 앱클론이 한국형 카티(CAR-T) 세포 치료제 AT101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본격화했다.
앱클론은 지난달 28일(현지시간) 오후 튀르키예 이스탄불에서 현지 기업 TCT헬스테크놀로지(TCT)와 AT101의 사업화를 위한 최종 계약을 체결했다고 4일 밝혔다.
앱클론 관계자는 “계약을 통해 회사는 튀르키예 혈액암 치료제 시장에 진출한다”며
◇토비스
4Q24 Review: 턴어라운드에서 성장으로
계속되는 수출 성장
4Q24 Review: 기대에 부합한 실적
Valuation & Risk 목표주가 28,000원 하향
최승환 신한투자증권 연구원
◇비올
속도 내는 아시아, 회복이 요원한 미국
기술이전 수입을 제외하면 다소 아쉬웠던 2024년
미국 부진에 가려진 아시아 지역 성장성
목표주가 11
롯데칠성음료가 밀키스와 칠성사이다 등 주력 음료 브랜드를 앞세워 중동 시장 공략에 나선다.
롯데칠성음료는 17일부터 21일까지 아랍에미리트 두바이에서 열린 ‘걸푸드(GULFOOD) 2025’ 식품박람회에서 할랄 인증 음료를 선보였다고 25일 밝혔다.
올해 30회째인 걸푸드 박람회는 매년 두바이에서 열리는 중동, 아프리카 지역 최대 규모의 국제식품박람회
우리기술은 100% 자회사 우리디에스(우리DS)가 국내 굴지의 완성차 기업 K사의 수출용 군용차량 제품 공급업체로 선정됐다고 20일 밝혔다. 우리DS는 기존 핵심 고객사인 현대로템에 이어 이번 K사 수출사업 공급업체 선정을 통해 방산 대기업을 신규 고객사로 확보하는 데 성공했으며, 이를 기반으로 실적 성장을 가속할 방침이다.
우리DS는 K사의 수출 군
우수 기술력 앞세워 중동 세일즈 나서현지 기업과 협력해 지역 맞춤형 전략'성장 정체' 국내 시장 넘어 해외로공공·금융 분야 집중 공략…DX 수요↑
한국 보안 기업들이 보안 수요가 급증하는 중동 시장 개척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특히 현지 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지역 수요를 분석하고 각국의 법규와 문화에 맞는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이를 통해 성장 정체에
K방산이 중동 방산 전시회에서 핵심 기술을 처음 선보이며 시장 공략에 나선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17~21일 아랍에미레이트(UAE) 아부다비에서 열리는 중동∙아프리카 지역 최대 규모 방위산업 전시회 ‘IDEX 2025(International Defence Exhibition & Conference)’에 국내 주요 방산업체들이 참가한다.
한화에어
네이버클라우드는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열린 글로벌 IT 전시회 ‘LEAP 2025’ 행사에서 인공지능(AI) 반도체 스타트업 리벨리온과 '사우디아라비아 소버린 AI 구축을 위한 사업 협력'을 골자로 한 MOU를 체결했다고 13일 밝혔다.
양사는 ‘소버린AI’라는 큰 방향성 하에 양사가 가진 독보적인 AI 기술 역량과 사업 노하우를 바탕으로 현지 문화와
국내 진단 기업들이 빠르게 성장하는 중동·아프리카 시장에서 영향력을 강화한다. 자체 개발 기술력을 기반으로 현지 최대 진단·의료기기 전시회에 출동해 주목받고 있다.
5일 업계에 따르면 3일부터 6일(현지시간) 아랍에미리트 두바이에서 열리는 ‘메드랩 2025(Medlab Middle East 2025)’에는 전 세계 800여개 기업과 2만 명이 넘는 인
팀네이버가 ‘사우디판 CES’라고 불리는 글로벌 정보기술(IT) 전시회 ‘LEAP 2025’에 참가해 사우디아라비아의 고유한 문화와 언어를 가장 잘 이해하는 인공지능(AI)과 이를 가능케 하는 자사의 데이터센터-클라우드 인프라-AI모델을 선보인다고 4일 밝혔다.
팀네이버는 지난해 LEAP 2024에 참가해 아람코 디지털, SAPTCO(사우디 대중교통공사
국내 보툴리눔 톡신 기업들이 자체 개발 제품을 중동에 연이어 출시하며 시장 확장에 나섰다.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UAE) 등 중동 지역의 핵심 시장을 선점한 글로벌 기업 제품과 경쟁에서 성과를 거둘 수 있을지 주목된다.
3일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대웅제약과 휴젤이 중동 현지의 미용 의료 시장에 자사의 보툴리눔 톡신을 출시한다.
국내 헬스케어 기업들이 세계 3대 의료기기 전시회로 꼽히는 ‘아랍헬스(Arab Health) 2025’에서 중동 시장을 비롯해 글로벌 진출을 모색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31일 업계에 따르면 27일(현지시간)부터 30일까지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에서 열린 이번 행사에는 약 180개국 3400여 개 기업과 병원 관계자·바이어 등 6만여 명이 참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