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이 중소기업과 개인 사업자 대출이 경제의 부실뇌관이 될 가능성이 커지면서 부실채권 처리 방안 마련에 착수했다.
중소기업 대출 지원 확대와 소상공인ㆍ자영업자 대출에 대한 만기연장ㆍ상환유예 조치 연장으로 이들 대출의 부실 규모가 표면상 드러나지는 않았지만, 금융권은 이 대출이 곪을 대로 곪았을 수 있다는 최악의 경우를 가정하며 대비책을 준비하고 있는
정책금융이 올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금융 지원 종료 등 정상화 과정에서 가계ㆍ기업의 부실이 늘어날 것에 대비해 1차 저지선을 세우고 있다.
17일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에 따르면 캠코는 올해 투자계획 한도를 올해 집행계획 대비 150%로 확대했다. 예년 투자계획 한도가 130% 선이었다는 점에서 한도를 20%포인트(p)나 늘린 것이
올 3분기 국내 은행의 부실채권비율(고정이하여신)이 전 분기보다 소폭 하락했지만 부실채권 규모는 다시 26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 부문 부실채권비율이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은행별로는 산업·우리·수협은행 등의 부실채권비율이 높았고 산업·기업은행의 상승폭이 컸다.
10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3분기말 국내 은행의 부실채권비율은 1.72
은행이 연말 부실채권을 정리하면서 중소기업의 대출이 지난해 12월 통계를 작성한 이래 가장 크게 줄었다.
한국은행이 12일 발표한 ‘2011년 12월 중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기준 중소기업의 대출 잔액은 441조1000억원으로 전달에 비해 10조2000억원 감소했다. 이는 기업대출 통계를 작성한 2003년 이후 최대 감소폭이다.
한
은행권 부실채권(NPL)비율이 2004년 카드대란 이후 사상 최대치를 기록하자 금융당국이 은행권과 공동으로 해법 모색에 나섰다.
특히 부동산 침체와 건설사 구조조정 등으로 부동산PF의 부실채권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부동산PF 부실채권을 전액 처리할 수 있도록 올 연말까지 방법을 강구할 계획이다.
주재성 금융감독원 은행업서비스본부장은“PF사업장
은행권 부실채권 비율이 2004년 카드대란 이후 사상 최대치인 2.32%를 기록했다.
부동산 경기침체와 건설사 구조조정 등으로 부동산PF 연체율이 큰 폭으로 늘어났고 지난 9월 부동산PF 대출에 대한 건전성 분류를 강화하면서 부실채권이 크게 늘어났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금융감독원도 올 연말까지 사업장 구조조정을 통한 PF대출 정리를 추진하는 한편
올해 구조조정 대상에 포함될 중소기업 비율이 20% 이상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은행권은 부동산 경기침체와 건설사 구조조정의 여파가 이어지면서 중소기업의 연체율이 급상승세를 보이고 있어 구조조정 비율이 높아질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중소기업 구조조정이 대대적으로 이뤄질 경우 중소기업의 부실채권 규모도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던 8월말보다 급증할 우
올해 3월말 국내은행의 부실채권비율이 지난해 연말보다 0.21%포인트 상승한 1.45%를 나타냈다. 부실채권 규모도 18조5000억원으로 지난 연말보다 2조5000억원 올랐다.
이는 기업 구조조정의 지속 추진 및 부실채권 정리 규모를 축소하는 은행권의 특성상 다시 상승세로 전환된 것으로 분석됐다.
4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3월말 국민은행의 부실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