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올투자증권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관련 대손충당금 확대 영향으로 2년째 적자를 기록했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다올투자증권은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액은 1조4429억 원, 영업적자는 755억 원, 당기순손실은 454억 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다올투자증권 측은 중소증권사에 우호적이지 않은 시장환경에서 수익 확대에 어려움이 있었다
다올투자증권이 올해 2분기 적자를 기록했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관련 대손충당금 규모가 확대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14일 다올투자증권은 올해 2분기 매출액은 2998억 원, 영업손실은 389억 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순손실 규모는 284억 원이다. 상반기 영업손실은 324억 원, 당기순손실은 217억 원을 기록했다.
앞서 다올투자증권은
다올투자증권은 1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은 65억 원, 당기순이익은 67억 원을 기록했다고 14일 밝혔다.
지난 분기에 이어 2개 분기 연속 흑자를 달성한 셈이다. 다올투자증권은 중소증권사에 우호적이지 않은 시장환경 속에서 흑자 기조를 이어갔다는 데 의미가 크다고 평가했다.
다올투자증권은 지난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관련 충당금을 충실히 적
금융당국이 은행권에 대한 투자일임업 허용을 검토하기로 했다. 은행권이 비이자수익 비중 확대를 위해 투자일임업의 전면 확대를 요구하고 나선 데 따른 것이다. 당국은 리스크 관리, 해소 방안과 국민에 대한 금융편익, 기존 증권업계 투자일임과의 차별성 등을 살펴 논의하기로 했다.
11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전날 열린 '은행권 경영·영업 관행·제도개선 태스
은행채, 이달에만 약 7조 발행…지난달 발행 규모 넘을 듯 한전채·MBS·은행채 등 우량물 시장에 위험 요소로 평가 “인플레이션 완화 확인에 따른 금리 인하 시그널 중요”
초우량물인 한전채, 주택저당증권(MBS), 은행채 등의 대규모 발행을 앞두고 올해도 지난해와 같은 크레딧 시장의 구축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여기에 정부의 대규모
“금융투자업계를 위해 ‘일하는 협회장’될 것”신산업·모험자금 공급 확대해 자본시장 본연에 충실상장시장, 대체거래소(ATS), 내부주문집행 등상호 견제하며 경쟁할 수 있는 선순환 생태계“협회-회원사 간 접점 이루는 부서에 더 많은 인력 배치”
서유석 제6대 금융투자협회장이 자본시장 활성화 방안을 정부에 적극적으로 건의하는 한편, 투자자 보호에 힘쓰겠다고 밝
중소 증권사들이 총자산순이익률(ROA)과 자기자본이익률(ROE)에서 대형 증권사를 앞지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8일 한국신용평가에 따르면 3분기 ROE가 가장 높은 증권사는 KTB투자증권으로 36.9%에 달했다. 지난해 동기 대비 30.8%포인트 증가했다. ROE가 1년 새 약 여섯 배가량 성장한 것이다. 이 기간 KTB투자증권의 자본총계는 6447억 원으
줄어들던 증시 거래대금이 지난달 다시 반등했다. 다만 전문가들은 이번 반등이 앞서 증권업종의 '역대급' 호실적으로 이어졌던 증시 활황과는 질적인 차이가 있다고 분석했다.
6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거래 대금은 27조1000억 원으로 지난 10월 25조3000억 원 대비 7.11% 늘었다. 거래대금은 1분기 평균 38조 원, 2분기 29조4000억
DS증권 관심 가졌지만 철회 CEO 징계·낮은 자본비율 탓라임 매듭짓는 하반기 ‘인수’ 적기“매물 뜨면 긍정적 검토”
우리금융그룹의 증권사 인수설이 재점화됐다. DS투자증권이 시장에 매물로 나오자 비(非)은행 부문을 강화하려는 우리금융이 인수를 검토하면서 다시 한번 우리금융의 증권업 진출 의지가 조명을 받은 것이다.
다만, 우리금융이 아직 사모펀드 사태
지난 15일 ‘AA’ 신용등급인 LG유플러스는 회사채 수요예측에서 흥행 대박을 터트렸다. 무려 1조3700억 원의 뭉칫돈이 몰렸다. 기업유동성지원기구(SPV)와 채안펀드도 각각 600억 원, 100억 원 참여했다. LG유플러스는 자금 조달 규모를 3000억 원으로 늘리는 안을 검토 중이다. SK브로드밴드는 17일 진행한 회사채 수요예측이 모집물량의 6배가
증권사들의 신성장동력으로 부상했던 기업금융(IB) 부문이 오히려 실적을 깎아 먹는 걱정거리가 됐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여파로 기업공개(IPO)와 인수ㆍ합병(M&A) 시장이 얼어붙은 데 이어 최근 급성장한 부동산 대체투자 부문에서도 손실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특히 IB 비중이 큰 대형 증권사들의 경우 1분기 실적 발표를 앞두
중소형 증권사들도 기업금융(IB) 부문에 사활을 걸고 있다. 이미 관련 시장에서 입지를 넓힌 대형 증권사들과 차별화하고자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구조화금융(SF) 등으로 특화 전략을 내세우는 모양새다. 올해 중소기업 특화 증권사 신규 지정ㆍ재선정을 두고도 눈치 싸움이 치열하다.
10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지난 연말과 올 초 중·소형 증권사들의 인
현대중공업그룹이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추진 중인 하이투자증권의 매각이 잠정 중단됐다. 이에 따라 최대 1조 원의 현금을 확보하려 했던 현대중공업그룹의 자구계획안은 차질이 빚어질 전망이다.
18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하이투자증권의 매각주관사인 EY한영은 이 회사의 매각이 불발된 배경을 분석한 보고서를 작성했다. 보고서는 하이투자증권의 대주주인 현대
정부가 증권사의 수익성 다양화를 위해 투자은행(IB)화를 부추기면서 전문 인력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초대형 IB와 중소기업특화 IB 등 증권사들이 관련 업무 규모를 확대해 가면서 인력 쟁탈전이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미래에셋대우는 이달 초 IB사업부문 커버리지본부 부본부장(상무)으로 김현준 전 KB투자증권 이사를 영입했다. 김 신임 상무는 메리츠종금
금융감독원은 몇몇 증권사에서 주가연계증권(ELS) 손실을 축소한 정황을 적발하고 징계 여부를 검토 중이다. 회계장부상 의도적으로 손실을 줄인 정황이 포착될 경우 분식회계 혐의로도 번질 수 있어 논란이 예상된다.
8일 금감원은 올 상반기 증권사 리스크 실태 파악을 위한 검사에서 일부 증권사가 ELS 손실을 축소 보고한 것으로 파악했다. 규모는 회사별로 적게
올 1분기 증권사 CEO들이 주가연계증권(ELS) 손실 규모에 따라 울고 웃었다. 유행을 따라 ELS 물량을 늘렸던 한화투자증권, NH투자증권, 미래에셋증권 등 대형 증권사들은 맥을 못 춘 반면 자체 역량강화에 방점을 찍은 KB투자증권, HMC투자증권, 교보증권 등 중소 증권사는 최대 30% 이상 이익이 늘었다.
18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K
현대증권과 합병을 앞둔 KB투자증권이 중소기업 특화 금융투자회사(이하 중기특화 증권사)로 선정되면서 금융위의 ‘탁상행정’에 비판이 거세다. 1년 내외로 중기특화 자격을 상실하게 될 회사에 라이선스를 주면서 아깝게 탈락한 증권사들은 다시 사활의 갈림길에 서게 됐다.
15일 금융위원회는 곧 ‘중소증권사’ 자격을 잃게 되는 KB투자증권을 중기특화 증권사로 선정
중소기업 특화 증권사가 선정되면서 중소형 증권사 최고경영자(CEO)의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지난달 29일 중기 특화 증권사 프레젠테이션(PT) 평가에서 서명석 유안타증권 공동대표와 박의헌 KTB투자증권 대표 등 최고경영자(CEO)가 직접 나설 만큼 중소형 증권사들이 사활을 걸었다. 이번에 중기 특화 증권사로 선정된 IBK투자증권, 유안타증권, 유진투자
IBK투자증권, 유안타증권, 유진투자증권, KB투자증권, 코리아에셋투자증권, 키움증권 등 6곳이 중소기업 특화 금융투자회사에 선정됐다.
금융위원회는 민간위원 6명으로 구성된 선정위원회의 평가를 통해 최종 6개 회사를 중기 특화 증권사로 지정했다고 15일 밝혔다.
중기 특화 증권사 지정 효력은 2년간 유지한다. 다만 금융당국은 해당 제도를 도입한 초기인
중소기업 특화 증권사 선정위원회가 최종 낙점할 증권사의 숫자를 고심하면서 발표가 미뤄지고 있다.
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산업은행, 신용보증기금, 성장사다리펀드 관계자 등 모두 6명으로 구성된 선정위는 아직 최종 결과를 금융위원회에 통보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최종 발표는 다음주가 될 것으로 업계는 관측하고 있다.
선정위는 중기 특화 증권사로 뽑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