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코스피 지수가 1년 새 10% 가까이 하락했다.
30일 한국거래소가 발표한 '2024년 유가증권시장 결산자료'에 따르면 올해 코스피지수는 전년 말(2655.28포인트) 대비 255.79p(9.63%) 하락한 2399.49p로 마감했다. 코스피지수는 2021년 말 2978p, 2022년 말 2236p, 2023년 말 2655p로 등락을 보이다가 올
한국거래소는 올해 증시 폐장일인 30일 코스닥지수가 지난해 말 대비 21.7% 하락한 678포인트(p)에 마감했다고 밝혔다.
이는 최근 5년 중 가장 낮은 수치다. 앞서 코스닥은 2021년 1034p(+6.8%)→2022년 679p(-34.3%)→2023년 867p(+27.6%) 등을 기록했다.
일반서비스와 제약 업종은 각각 13.1%, 11.7%
여의도 증권가의 2024년은 그저 견뎌야 하는 ‘보릿고개’ 그 자체였다. 증시 안팎으로 각종 사건·사고가 1년 내내 반복되면서 국내 자본시장은 긴장감을 놓을 수 없었다. 한 증권업계 관계자는 “뾰족한 해결책도 없이 격랑에 맞서는 기분이었다”고 했다. 증권가 관계자들은 공통적으로 태영건설의 워크아웃(기업재무구조 개선) 신청부터 기업 밸류업(가치제고) 프로그램
올해 주식발행시장(ECM), 채권발행시장(DCM) 시장은 ‘상고하저’로 정리된다. 국내 자금조달시장은 연초 밸류업(가치 제고) 프로그램과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에 부풀어 포문을 열었다. 코스피 지수는 2900선 코앞까지 다가서며 기업공개(IPO) 훈풍이 불었고, 회사채 발행액은 역대 최대를 경신했다.
그러나 하반기에는 녹록지 않았다. 삼성전자의 위기, 미
“뜨거워지기 전에 식어버린 느낌이다” 국내 M&A(인수합병) 시장 전문가의 첫마디였다. 당초 2024년 M&A 시장은 기준금리 인하 등으로 2023년 대비 확실한 회복세로 돌아설 것으로 예상했으나, 글로벌 불확실성과 경기침체 우려 지속 등으로 제한적 회복세를 보였다. 전문가들은 시장 금리 인하 효과보다는 거시적 상황이 우호적이지 않다는 점에 무게를 뒀다
코스피, 전년비 8% 하락 2430대한국보다 낮은 곳 러·멕시코 불과시총은 1년새 133조원 사라져외인 다섯달째 21.9조 순매도“비관 전망에 자금 이탈 가속화”
올해 코스피 지수는 8% 하락하며 박스권에 머물렀다. 국내 증시는 밸류업 프로그램과 외국인의 ‘바이 반도체’에 힘입어 상반기 상승세를 지속했다. 그러나 하반기 들어 각국의 피벗(통화정책 전환)과
코스피 19% 상승한 2655.28포인트 마감주요국 27개 국가 중 상승률 13위반도체·이차전지 강세에 철강금속 업종 40% ↑공매도 금지·연준 금리인하 기대감외국인·기관 4년 만에 매수세…개인은 매도세 전환
올해 코스피 지수는 1년 만에 ‘V자 반등’에 성공하며 2655포인트(p)에서 마감했다. 3년 연속 상승하던 코스피는 지난해 24.89% 하락했
올해 코스피 지수가 1년 만에 ‘V자 반등’에 성공했다.
28일 한국거래소가 발표한 ‘2023년 유가증권시장 결산 자료’에 따르면 올해 코스피지수는 전년 말(2236.40포인트) 대비 418.88p(18.73%) 상승한 2655.28p로 마감했다. 코스피지수는 2018년 말 2041p, 2019년 말 2197p, 2020년 말 2873p, 2021년 말
올해 코스닥 시장은 866.57포인트로 마감했다. 일반전기전자가 업종이 전년 대비 107.7% 급등하는 등 이차전지 관련주가 코스닥 시장 상승을 견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2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닥 지수는 전년 말 대비 187.28포인트(27.6%) 상승한 866.57포인트로 마감했다.
연초 이차전지 등 혁신성장주가 코스닥시장 상승을 견인했고,
직장인 박 모(34) 씨는 요즘 온종일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만 쳐다본다. 국내 증시가 상승세인데 박씨가 2분기(4~6월) 사들인 이차전지 주식들이 하루건너 널뛰고 있어서다. 박 씨는 지난 4월 주식 관련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올라온 “밈(meme) 주식이라 더 오른다. 지금이 가장 싸다”라는 말만 믿고 투자한 후 가슴 졸이며 사는 신세가 됐다
올해 코스닥시장은 작년 말(1033.98포인트) 대비 34.3% 떨어진 6279.29포인트로 마감했다. 3년 만의 전년 대비 하락 마감이다. 대다수 업종이 약세를 보인 가운데 지난해 상승률이 높았던 메타버스·NFT 등 성장주 관련 업종이 큰 폭으로 하락했고, 운송 업종만 유일하게 상승세를 보였다.
29일 한국거래소는 ‘2022년 증권시장 결산’을 통해
종가 2236.40 전년비 25% 하락시총 1767조 마감…20% 증발수출악화, 외인ㆍ기관 매도 악재주요국 증시순위 ‘사실상 꼴등’
올해 코스피 지수는 3년 연속 지속하던 상승세가 꺾이면서 2300선 아래에서 마감했다. 지난해 시가총액 2203조 원을 기록해 역대 최대 규모였던 코스피 시장은 올해 1767조 원으로 마감해 약 20% 쪼그라들었다.
29일
올해 ‘주식거래 활동 계좌 수’ 14.78% 증가
‘투자자예탁금’은 22일 최저치 기록
“계좌당 예탁금 추이↓…연말 랠리 기대 낮은 것”
올해 국내 증시가 부진한 성적표를 받아들면서 주식 투자심리가 크게 위축됐지만, 주식 계좌 수는 꾸준히 늘어난 것으로 드러났다.
29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주식거래 활동 계좌 수는 22일 기준 총 6378만8090
글로벌 금리 인상과 경기 침체 우려로 투자심리가 얼어붙으면서 기업공개(IPO)와 인수·합병(M&A) 시장이 어느 때보다 추운 겨울을 보내고 있다. 문제는 내년 전망도 어둡다는 점이다. 시중금리가 여전히 높은 데다 새내기 기업들의 주가 부진으로 투자금 회수가 어려운 상황이라서다.
◇식어버린 공모주 열기…상장 철회도 줄이어=2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해 유
#지난 10월 LG유플러스는 회사채 발행시장에서 체면을 구겼다. 1500억 원 규모의 회사채 발행을 앞두고 기관투자가들을 상대로 한 수요예측에서 미매각이 발생했다. 탄탄한 신용도를 갖춘 LG유플러스가 모집 물량을 채우지 못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 한국가스공사(AAA급)는 지난 10월 24일 목표 물량을 전부 소화하지 못한 채 2년 만기 회사채가 유
코스피 372兆, 코스닥 123兆 증발고금리‧경기침체에…증시 부진 심화 영향시총 상위기업도 지각변동…SK하이닉스↓반도체株‧네카오 ‘몰락’…2차전지株 ‘부상’
올해 코스피시장 상장 기업들의 시가총액(시총)이 371조 원 넘게 증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스닥시장 상장사 시총도 122조 원 넘게 쪼그라들었다. 글로벌 경기침체와 고금리 기조 등으로 기업 실적이
대기업 부장인 이모(43)씨에게 ‘주식’ 두 글자는 요즘 금기어다. 지난 1~2월 국내 주식에 7000만 원 넘는 돈을 투자했는데, 수천만 원을 잃어서다. 10개가 넘었던 투자 종목 중 다 정리하고 아직 들고 있는 건 삼성전자·삼성SDI·카카오이다. 이씨는 “‘곧 오르겠지’하며 버틴 지 1년이 돼가는데 원금에서 아직 4000만 원 넘게 까먹고 있는 중”이
올해는 ‘100조’ 대박을 터트린 쿠팡을 필두로 국내 기업들의 해외 증시 도전이 이어졌다. 야놀자, 네이버웹툰, 카카오엔터테인먼트, 두나무 등 기업들이 올해 나스닥 상장을 검토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
쿠팡의 뉴욕증권거래소(NYSE) 상장을 계기로 유동성이 풍부한 미국 증시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고, 국내 이커머스 업체에 대한 가치 산정에 재평가도 이뤄졌
자산운용사들이 골프·명품·금 등 다양한 이색 상장지수펀드(ETF) 상품을 내놓고 있다. 시장이 눈에 띄게 성장하며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차별화된 상품을 출시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1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달 개인투자자의 ETF 순매수액은 2조61억 원 수준이다. 이는 지난 10월(5570억 원) 대비 3700%가량 급증한 규모다. 특히
해외로 눈을 돌린 주식 투자자 ‘서학개미’가 올해 가장 많이 사들인 해외주식은 테슬라인 것으로 나타났다. 알파벳과 메타(옛 페이스북) 등 기술 종목을 담고 보잉, 장난감업체 해즈브로는 비중을 축소, 자산 구성을 바꾼 것으로 집계됐다.
17일 한국예탁결제원이 운영하는 증권정보포털 세이브로에 따르면 올 들어 지난 15일까지 해외 주식 투자자가 가장 많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