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영이엔씨는 수협중앙회에서 주관한 2020년 e-내비게이션(‘이하 e-Nav) 선박단말기 제조·구매 설치사업의 사업자로 선정됐다고 29일 밝혔다.
해양수산부에서는 선박의 운항 및 해상교통 관리에 필요한 지능형 정보(이하 ‘e-Nav 서비스’)를 초고속 해상통신망(이하 ‘LTE-M’)을 통해 선박에 실시간으로 전달하기 위해 한국형 e-Nav 사업 추진 중
100km 떨어진 바다까지 대용량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초고속 해상무선통신망(이하 LTE-M)이 올해 안에 구축된다. LTE-M이 구축되면 100km 떨어진 바다까지 전자해도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 최적항로 및 실시간 맞춤형 해양안전정보 제공 등의 e-내비게이션 활용이 가능해져 선박의 충돌‧좌초사고 예방, 해양사고 발생 시 재난 대응 골든타임을 확보
정부가 항만 미세먼지를 2022년까지 50% 이상 줄이기로 했다. 또 부산항의 인프라 확충을 위해 제2신항을 추진한다.
해양수산부는 7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이같은 내용이 담긴 '2019년 주요업무 계획'을 발표했다. 해수부는 올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정책 실현과 해양수산업의 체질개선을 위해 항만미세먼지 대응, 수산혁신, 해운재건 등이 포함된 6대 중
2030년까지 자율운항선박과 초고속 해상통신망, 스마트 항만을 잇는 스마트 해상물류가 가능해질 전망이다. 이렇게 되면 2만4000TEU급 초대형 컨테이너 선박의 하역작업이 현재 40시간 수준에서 24시간 수준으로 크게 줄어든다.
해양수산부는 8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이 담긴 '스마트 해상물류 체계 구축전략'을 발표
문재인 대통령은 16일 “부산은 대한민국 해양수도를 넘어 아시아의 해양수도가 될 것이다”며 “철도, 공항과 함께 육해공이 연계되는 동북아 물류거점도시가 될 것이다”고 비전을 제시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부산에서 열린 ‘부산항 미래비전 선포식’에서 “부산항이 활기차야 우리 경제가 살아난다”며 이같이 밝혔다.
문 대통령은 “바다를 포기하고 강국
해양수산부가 올해부터 낙후된 소규모 어항·포구를 개선하는 '어촌 뉴딜300' 사업에 나선다. 또 해양진흥공사를 통해 50척의 선박을 새로 만들고 스마트양식단지 조성 등을 통해 어가소득 5000만 원 시대를 연다는 계획이다.
해수부는 18일 '소득주도 성장과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을 주제로 세종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정부업무보고에서 김영춘 장관이 국무총리
김영춘 해양수산부 장관은 29일 신년사를 통해 "내년에 세계 5위 수준의 해운강국 재건을 위해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김영춘 장관은 이날 미리 배포한 신년사에서 "2018년 새해에는 이러한 지난 과오를 바로잡고 국민에게 신뢰받는 해수부로 거듭날 수 있도록 모든 것을 초심에서 다시 시작하겠다"고 밝혔다.
김 장관은 "이를 위해 먼저 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