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트란 4S CX11로 제품 디자인 부문 수상사계절 안정적 주행, 우수한 제동 성능 보장
금호타이어가 일본 ‘굿 디자인 어워드’에서 본상을 수상했다고 16일 밝혔다.
굿 디자인 어워드는 일본의 권위있는 디자인 공모전으로 전 세계적으로도 전통과 공신력을 인정받고 있다. 이번 어워드 제품 디자인 부문에서 금호타이어는 유럽 전용 제품인 사계절용 타이어 ‘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가 일본 혼다의 내수용 ‘2021 혼다 베젤(2021 Honda VEZEL)' 하이브리드 모델에 ‘키너지 에코2’를 신차용 타이어로 공급한다고 9일 밝혔다.
글로벌 출시 모델명 HR-V로 알려진 콤팩트 크로스오버 SUV 모델 ‘2021 혼다 베젤’은 감각적인 디자인과 경쾌한 주행 성능으로 오랜 기간 스테디셀러로 사랑받아 왔고, 올해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가 이탈리아 완성차 제조사 피아트의 ‘피아트 500’, ‘피아트 판다’에 친환경 성능을 발휘하는 ‘키너지 에코2(Kinergy Eco2)’를 신차용 타이어로 공급한다.
26일 한국타이어에 따르면 이번에 신차용 타이어로 공급하는 ‘키너지 에코2’는 유럽 의회와 유럽연합 이사회가 부여하는 타이어 라벨링 제도에서 최고 등급인 A등급을 획득
타이어 라벨링 제도로 고부가가치 합성고무 SSBR(솔루션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시장이 부상하면서 국내 화학업체들의 경쟁도 격화하고 있다. LG화학, 금호석유화학에 이어 롯데케미칼도 올 하반기 이탈리아 베르살리스와 합작법인을 통해 시장에 본격 가세한다.
25일 석유화학업계에 따르면 글로벌 SSBR 시장은 연평균 6% 성장을 기록, 2020년에는 약
넥센타이어가 독일의 스포츠카 제조사인 포르쉐(Porche)의 카이엔(Cayenne) 모델에 신차용 타이어(OE)로 ‘엔페라 RU1’제품을 공급한다고 5일 밝혔다.
엔페라 RU1은 스포츠 드라이빙 성능에 최적화된 타이어다. 고속 주행시 안정적인 코너링과 뛰어난 핸들링 성능을 자랑하며 유럽연합의 타이어 라벨링제(효율등급 라벨링 부착제도)에서 젖은 노면 제동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사우디아라비아와 인도 등 5개국에 대한 우리기업의 수출 애로 8건을 해소했다고 17일 밝혔다.
국표원은 8~10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1차 세계무역기구(WTO) 무역기술장벽(TBT) 위원회 정례회의에 참석해 우리기업이 수출에 어려움을 겪는 기술규정, 표준, 인증 현안을 논의했다.
TBT(Technical Barrier
금호타이어는 2015년 미국 ‘그린 굿 디자인 어워드’ 에서 3개 제품이 본상을 수상했다고 10일 밝혔다.
그린 굿 디자인 어워드는 미국 시카고 아테네움 건축 디자인 박물관과 유럽 건축·예술·디자인·도시연구센터가 함께 주관하는 국제 친환경 디자인 공모전이다. 매년 우수한 친환경 디자인을 선정해 시상한다. 본상 수상은 전세계적으로 지속 가능성과 혁신성
롯데케미칼은 지난달 24일 이탈리아 석유화학업체인 베르살리스와 합성고무 제조·판매 회사인 ‘롯데베르살리스 엘라스토머스 주식회사’를 설립했다고 8일 밝혔다.
베르살리스는 이탈리아 및 유럽 전반에 걸쳐 올레핀 및 합성고무 공장을 보유하고 있으며, 합성고무 분야에 있어서 최상위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석유화학업체다. 지난해 기준 매출액 65억 유로(약 9조
LG화학과 금호석유화학이 이달부터 고기능 합성고무 경쟁에 본격 돌입한다. 기존 국내 고기능 합성고무 시장의 강자였던 금호석화에 ‘신참’인 LG화학이 도전장을 내민 셈이다.
1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LG화학은 이달 중순부터 충남 대산단지에서 연간 6만톤 규모의 솔루션스타이렌부타디엔고무(SSBR)를 양산한다. 국내 1위 합성고무 생산업체인 금호석화에 이어 국
금호석유화학은 2020년 세계 1위 제품 20개를 보유한 매출 20조원 규모의 ‘글로벌 리딩 화학그룹’으로 우뚝 선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를 위한 기본 전략은 ‘기본 재점검’과 ‘투자 핵심역량 집중’이다. 물론 신성장동력 마련에도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다.
금호석유화학은 1등 제품의 경쟁력을 계속 강화할 방침이다. 금호석유화학은 국내 최초로 합성고무
불황에 접어든 합성고무 업계가 미래를 위한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다. 반도체 시황 악화에도 투자를 감행해 시장을 평정한 삼성처럼 ‘고진감래’하겠다는 의지다.
18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고기능성 합성고무 업계는 시황악화에 따라 가동률을 줄이고 있는 상황이지만, 이들 업체는 지속적인 투자를 이어가며 미래 시장을 선점하겠다는 각오를 내보이고 있다.
차세대 합
고성능 타이어의 주원료인 차세대 합성고무 시장이 꿈틀대고 있다.
2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금호석유화학, LG화학 등 대표적인 유화업체들은 고부가가치 제품 집중화를 위해 SSBR(솔루션스타이렌부타디엔고무) 생산 공장 신·증설 경쟁을 이어가고 있다.
SSBR은 EU(유럽연합), 미국, 일본 등 선진국은 물론 우리나라에서도 시행하고 있는 타이어 라벨링
화학업계에 녹색 바람이 불고 있다. 환경오염의 ‘주범’이라고 인식돼 왔던 화학업체들이 친환경적인 제품을 내놓으며 이미지 변신에 나섰다.
3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화학업체들이 차별성 있는 제품으로 불황을 타개하고 높아지는 환경 기준에 맞추기 위해 앞다투어 환경 친화적 제품을 내놓고 있다.
SK케미칼은 ‘클로린(염소)’을 함유하지 않은 슈퍼 엔지니어링 플
자동차 타이어 에너지소비효율등급제(라벨링 제도)가 지난 1일부로 시행됐다. 유럽, 일본에 이어 세계에서 세 번째로 국내에도 적용된 것. 하지만 이 제도의 실효성에 논란이 일고 있다.
타이어 라벨링제도란 회전 저항과 젖은 노면 제동력에 각각 등급을 매겨 소비자들이 쉽게 알 수 있게 표시하는 것이다. 회전 저항은 둥근 물체가 평면에서 일정한 속도로 직선 운
연말부터 타이어 라벨링 제도가 시행되면서 화학업체들이 타이어 시장을 잡기 위한 경쟁을 시작했다.
22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타이어 라벨링 제도 시행을 앞두고 금호석유화학, 랑세스 등 화학업체들의 고품질 합성고무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타이어 라벨링 제도는 가전제품 에너지 효율 등급을 매기듯 타이어도 젖은 노면 제동력과 회전저항 점수를 매겨 등급
금호석유화학이 확 달라졌다. 비상경영에 돌입한 지 2년 만에 빠르게 변신하고 있다. 원동력은 새롭게 제시한 비전 2020. 5개 화학 계열사와 함께‘2020년까지 그룹 매출 20조원, 세계 1등 제품 20개 창출’이라는 공동의 목표가 효과를 내고 있는 것이다.
금호석화는 1970년 국내 최초로 합성고무 생산업체로 출발했다. 40여년이 지난 현재 15개 국
금호석유화학이 글로벌 합성고무기업들과 치열한 1위 쟁탈전을 벌이고 있다.
24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타이어, 산업용 밸트 등에 쓰이는 범용 합성고무시장은 금호석유, 랑세스(독일), 시노펙(중국)의 ‘3강 체제’가 구축돼 있으며 캐파(생산능력) 순으로 매년 1·2위가 엎치락뒤치락하고 있다.
금호석유의 범용 합성고무 생산능력은 지난해 말 기준으로 102만톤이
미국과 중국의 화해 제스처에 금호석유화학이 미소를 짓고 있다. 미국이 중국산 타이어에 대한 수입규제를 해제하면서 합성고무의 시황이 개선될 가능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17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합성고무 시장은 경기부진으로 버스와 트럭의 수요가 줄어들고 중국산 타이어의 대미 수출이 위축됨에 따라 어려움을 겪어왔다.
하지만 지난달 말 미국이 3년간 유지해온
금호석유화학이 합성고무 사업 확대에 속도를 내며 불황 타개에 나선다.
금호석유화학은 오는 2014년 상반기까지 차세대 합성고무 솔루션스타이렌부타디엔고무(SSBR) 10만톤 추가 증설을 검토 중이라고 14일 밝혔다.
SSBR은 올해 11월 EU를 시작으로 미국, 일본, 한국 등 선진국에 도입되는 타이어 라벨링 제도가 요구하는 친환경 타이어 핵심속성을
한국타이어가 독일에서 최상의 품질 등급인 A/A 등급을 확보한 ‘벤투스 S1 에보2’ 타이어를 선보였다.
한국타이어는 5일(현지시간)부터 8일까지 열리는 ‘2012 독일 에센 타이어 박람회’에서 유럽 신규 타이어 라벨링 제도를 대비해 회전저항과 젖은 노면 제동력에서 A/A 등급을 확보한 상품 ‘벤투스 S1 에보2’를 전시한다고 밝혔다.
벤투스 S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