싸이토젠이 일본 현지 액체생검 시장에 진출한다. 이를 위해 연내 일본 현지법인을 설립하고 도쿄에 액체생검 분석센터 구축을 추진한다.
싸이토젠의 일본 진출은 글로벌 현지화 전략의 일환으로 지난해 미국법인 설립에 이어 두번째 해외 거점 사례다.
글로벌 마켓 인사이츠와 더인사이트 파트너스에 따르면, 올해 일본 액체생검 시장규모는 약 1000억엔으로 20
중견배우 서우림이 안타깝게 세상을 떠난 둘째 아들을 떠올리며 비통해했다.
8일 방송된 MBN ‘특종세상’에는 폐암 진단을 받고 투병한 서우림의 근황이 공개됐다.
서우림은 지난 2012년 방송된 드라마 ‘무자식 상팔자’와 2013년 ‘오로라 공주’ 등에 출연하며 사랑받았다. 이후에도 활발하게 활동했지만, 2017년 이후 폐암 재발로 건강 상태가 악화돼 방
비디아이는 자회사 엘리슨이 개발 중인 ‘ILC(흡입형 지질 결합형 시스플라틴)’가 주요 성분인 ‘시스플라틴(Cisplatin)’ 독성을 최소화해 장기적인 치료 효과가 있음을 확인했다고 16일 밝혔다.
시스플라틴은 항암제로 이미 유효성은 확인된 약물이지만 암세포가 없는 정상 조직에도 작용해 불필요한 독성을 유발하는 등 부작용이 있고 폐에 도달하는 약물이
종근당이 항암제 신약 ‘캄토벨’의 비교임상 결과를 발표했다.
종근당은 최근 캐나다 토론토에서 열린 세계폐암학회에서 캄토테신계 항암제 신약 ‘캄토벨’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추가로 확인한 비교임상 결과를 설명했다고 4일 밝혔다.
캄토벨은 우리나라의 8번째 신약이자 항암제로서는 3번째 신약이다. 2003년 10월 난소암과 소세포폐암의 치료제로 허가를
폐암 수술을 받은 환자의 재발률을 예측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세계 최초로 개발돼 의료계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정확히는 ‘폐 선암 1기 수술’을 받은 환자의 재발 가능성을 자동으로 예측해주는 어플리케이션인데, 빅 데이터에 기반한 예측률이 상당히 정확해 폐암 환자를 치료하는 의료진에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전상훈
한국인 폐암 유형 1위
한국인 폐암 유형 1위가 15일 온라인 상에서 큰 관심을 끌고 있다. 앞서 지난 13일 서울아산병원 암병원 폐암센터 장세진(병리과)ㆍ김형렬(흉부외과) 교수와 한양대학교 의대 공구 교수 그리고 서울대 자연과학대 백대현 교수 등으로 이뤄진 공동 연구팀은 RB 유전자 돌연변이가 수술 후 조기 폐암의 재발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
국내 폐암 환자들에게 가장 많이 나타나고 있는 유형인 폐선암의 재발을 일으키는 특정 유전자 돌연변이가 처음으로 밝혀져 폐암 재발 예방의 단초를 찾는 데 성공했다. 유전자마커 발견으로 폐암 재발 예측과 맞춤 치료에 새 가능성을 제시한 것이다.
서울아산병원 암병원 폐암센터 장세진(병리과)ㆍ김형렬(흉부외과) 교수와 한양대학교 의대 공구 교수 그리고 서울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