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각국이 모두 함께 2030년까지의 전 지구적 생물다양성 전략계획을 만든다.
환경부는 '제15차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COP15)'가 7~19일(현지시간)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열린다고 6일 밝혔다.
이번 총회에는 196개 당사국과 국제기구, 전문가 등이 참석하며 우리나라는 김종률 환경부 자연보전국장을 수석대표로 관계부처 공무원과 전문가로 구성된
파리협정에 따른 포스트 2020 신기후변화체제 출범을 앞두고 세계 주요국은 과감한 에너지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에너지전환이란 에너지 공급 체계를 화석연료와 원자력 기반의 지속 불가능한 방법에서 재생에너지를 이용한 지속 가능한 방법으로 바꾸는 것을 말한다.
한국 역시 ‘우리가 만들어가는 지속가능한 에너지 세상’이라는 모토 아래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
포스코의 포항 석탄화력발전소 건설계획이 반려될 전망이다. 지난 6월 미세먼지관리종합대책 수립 후 정부가 민간 석탄화력발전소 건설에 제동을 건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조경규 환경부 장관은 27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의 환경부 국정감사에서 “온실가스 감축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청정지역인 포항에 석탄화력발전소 건설은 안 된다는
윤성규 환경부 장관은 3일 서울정부청사에서 열린 ‘미세먼지 관리 특별대책’ 기자 브리핑에서 지난 2009년 디젤(경유차)가 ‘클린디젤’이라며 친환경차 범주에 포함된 데 대해 “당시 중대한 시행착오가 있지 않았나 생각한다. 폭스바겐 사태로 디젤차가 질소산화물을 내뿜는 등 (친환경차와) 전혀 판이하게 다른 것이 확인됐다”며 “정부로서도 유감으로 생각한다”고 해
산업통상자원부는 정양호 에너지자원실장이 오는 9일 카타르에서 열리는 ’제6차 아시아에너지장관회의‘에 참석해 저유가와 신(新)기후체제 시대, 에너지시장 전망과 정책에 대해 논의한다고 8일 밝혔다.
아시아에너지장관회의는 중동ㆍ아시아지역의 산유국과 소비국이 석유ㆍ가스 등 에너지수급 안정과 협력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2년마다 한번씩 개최하는 장관급 회의다.
정
윤상직 산업통상부장관은 5일 “수출이 활력을 되찾기 위해서는 구조조정을 확실히 하고 11월말까지 한중 FTA가 꼭 통과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 장관은 이날 정부세종청사 인근의 한 식당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중국은 제1 수출 대상국이며 베트남은 홍콩을 제외하면 일본 제치고 3위다. 1ㆍ3위와 체결한 FTA를 조기 비준 안해주면 어어떻게 하느냐”면서
모든 국가가 온실가스 감축에 참여하는 신(新)기후체제(포스트 2020) 출범을 앞두고 정부와 산ㆍ학ㆍ연 전문가가 모여 대응전략을 논의하기 위해 머리를 맞댔다.
14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이날부터 15일까지 이틀간 삼성동 인터컨티넨탈 서울코엑스에서 ‘2015 신기후체제, 새로운 전략과 기후변화 신산업 전망’이라는 주제로 국제세미나 ‘기후 WEEK 201
산업통상자원부는 23일 서울 삼성동 라마다호텔에서 문재도 2차관과 안세영 경제인문사회연구원 이사장 주재로 ‘제27차 선진 통상 포럼’을 열고 기후변화 협약의 주요 이슈와 우리 산업에 미치는 영향, 대응방안 등을 논의했다.
산업과 통상 간 연계 강화를 위해 2013년 신설된 선진 통상 포럼은 주요 통상 현안에 대한 전문가들과의 논의를 통해 정부의 통상 정책
정부가 오는 2029년까지 삼척이나 영덕에 원자력발전소 2기를 새로 짓고 석탄화력발전소 4기 건설 계획 계획을 취소하기로 했다. 또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원전 1기(고리 1호기)를 폐쇄하기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같은 내용의 7차 전력수급기본계획안을 최종 확정해 공고했다고 22일 밝혔다.
전력수급기본계획은 한국의 전력소비량을 전망하고 이에 맞춰 전력설비를
‘포스트-2020’ 등 신(新) 기후체계에 대응하고 에너지신산업의 체계적 육성을 위해 에너지수요관리정책단이 ‘에너지신산업정책단’으로 간판을 바꿔달고 새 출발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6일부터 기존 에너지수요관리정책단을 에너지신산업정책단으로 개편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산업통상자원부와 그 소속기관의 직제 및 직제 시행규칙’을 개정해 시행한다고 15일 밝혔다.
정부가 30일 확정한 신(新)기후체제(포스트 2020)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목표안은 정부가 당초 제시했던 시나리오들보다 강화된 것이다.
정부는 30일 열린 국무회의에서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INDC: Intended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를 '배출전망치 대비 37% 감축'(5억3590만톤 배출)하는
정부가 ‘2030년 온실가스 감축 목표안’을 2030년 온실가스 배출 전망치(BAU) 대비 37%로 결정했다. 하지만 2009년 국제사회에 약속했던 2020년 목표치보다 진전된 안을 내놓고자 국제시장을 통한 감축 방안을 제시해 ‘꼼수’라는 지적도 나온다.
정부는 30일 열린 국무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의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최종 결정했다.
지난 1월 필리핀을 방문한 프란치스코 교황은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강조하며, 오는 12월 프랑스 파리에서 열릴 21차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에서 세계 지도자들이 결단을 내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가 오는 12월 열리는 파리회의에 참석해서 어깨를 펴지 못할 공산이 커졌다. 유엔(UN)에 제출해야 하는 온실가스 감축 목표안을 발표했지만, 당초 목표치보다 낮
원자력발전소 내부에 임시 보관 중인 사용후핵연료의 영구처분방안이 처음으로 윤곽을 드러냈지만 핵심인 ‘부지’ 관련 논의가 빠져 있어 험로가 예고되고 있다. 2024년이면 모든 임시저장고가 포화상태에 이르게 돼 사용후핵연료 처분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게다가 원자력발전을 대체할 뚜렷한 에너지 대안을 찾지 못한 정부가 오는 2029년까지 원전 2기를 더 짓
정부가 2020년 이후 신 기후체제인 ‘포스트(Post)2020’에 대비해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전망치(BAU) 대비 약 15~30%를 줄이는 4가지의 목표 시나리오를 내놨다. 2030년 BAU는 8억5060만톤으로 확정했다.
정부는 공청회 등 사회적 공론화 절차 거쳐 감축목표를 확정할 계획이다. 이를 토대로 2020년 이후 온실가스 감축목표와 이행
박근혜 대통령은 20일 오후 청와대에서 세계교육포럼 참석차 방한한 반기문 유엔사무총장을 접견하고 대북문제 등 주요 현안을 논의한다.
박 대통령은 취임 첫해인 2013년 8월 반 총장을 청와대에서 접견한 바 있다. 또 2013년 러시아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지난해 유엔총회 참석 및 미얀마 동아시아정상회의(EAS) 계기 등에 반 총장과 면담·환담했
세계은행(WB)이 18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에서 개발위원회 회의를 열어 민간 재원을 활용한 개발도상국 지원 방안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는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과 김용 세계은행 총재,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머리를 맞대고 개도국 지원책을 논의해 눈길을 끌었다.
특히 세계은행 개발위원회는 이날 춘계회의에서 개도국 발전을 위한
정부가 논란이 있었던 저탄소차협력금제의 부담금 부과를 2020년 말까지 연기하기로 했다. 대신 전기차와 하이브리드차 등 친환경차에 대해서는 세금감면 연장과 보조금 추가 지급 등 지원을 늘린다. 배출권거래제는 예정대로 내년부터 실시하되, 감축률 완화 등으로 업계의 부담을 줄여 주기로 했다.
정부는 2일 서울청사에서 열린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국가배출권 할당
우체국 집배원 옷이 PET병을 재활용해 만든 친환경 옷으로 바뀐다.
지식경제부 우정사업본부는 생수나 음료수 등의 용기로 사용하고 있는 PET병을 재활용해 만든 유니폼을 전국 집배원들이 이달 중순부터 입고 근무한다고 12일 밝혔다.
이번에 보급하는 집배원 옷은 6년 만에 디자인을 개선한 것으로 재활용 PET병을 잘게 부순 후 정제작업을 거쳐 뽑아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