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치이엠파마가 마이크로바이옴 유래 엑소좀 연구를 본격화한다.
12일 에이치이엠파마에 따르면 엑셀세라퓨틱스와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바이오소재 연구 및 사업화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을 바탕으로 양사는 △난배양성 균주를 위한 배양배지 개발 △마이크로바이옴 유래 엑소좀의 헬스케어 및 뷰티 산업 활용 △기술 교류 및 공동 연구를
SK바이오팜(SK Biopharmaceuticals)의 미국 현지 연구중심 자회사인 SK라이프사이언스랩스(SK Life Science Labs)가 생물학(biology) 부문 책임자로 라이언 크루거(Ryan Kruger) 박사를, 화학(chemistry) 부문 책임자로 스티븐 나이트(Steven Knight) 박사를 영입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영입은
노을은 서울아산병원, 연세의료원, 하버드 의대 소속 병원인 매사추세츠 종합병원(Massachusetts General Hospital, MGH)과 협력해 개발한 차세대 암 진단 기술 ‘최소침습적 인공지능(AI) 기반 암 진단 시스템’이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에서 2025년 10대 대표과제로 선정됐다고 11일 밝혔다.
이번에 선정된 AI 기반 차
에이치이엠파마는 하버드의과대학 도신호 교수와 인공지능(AI) 기술 활용 마이크로바이옴 데이터 분석 플랫폼 구축에 나선다고 10일 밝혔다.
에이치이엠파마와 도신호 교수가 구축 중인 '미네르바'(Microbiome Network Research and Visualization Atlas)는 대규모 언어모델(LLM)을 활용해 미국 국립 보건원(NIH)의 마
제이엘케이가 미국 하버드의과대학 소속 병원인 매사추세츠종합병원(MGH) 첸 교수팀과 포괄적인 협력의 여덟 번째 계약을 성사시켰다.
제이엘케이는 영상의학과 세계적 석학으로 꼽히는 미국 하버드의대 매사추세츠종합병원 존 웬 유에 첸 교수팀과 계약을 체결해 미국 북동부 지역 거점을 확보하게 됐다고 5일 밝혔다.
첸 교수는 뇌졸중 영상의학 분야 최고 권위자로
코아스템켐온은 호주 현지 병원으로부터 ‘뉴로나타-알’의 특별사용 요청을 받고 현재까지 총 3회 약물 공급 및 실제 환자 투여를 마쳤다고 22일 밝혔다.
약물 공급은 호주 의약품안전청(TGA)에서 운영하는 SAS(Special Access Scheme) 프로그램을 통해 이뤄졌다. SAS는 치료 옵션이 제한적이거나 기존 치료가 효과가 없는 환자들을 대상으
마이크로 RNA(miRNA)를 발견한 미국 생물학자 빅터 앰브로스와 개리 러브컨이 올해 노벨생리의학상을 받으면서 해당 기술에 대한 높아지고 있다. miRNA를 암 진단 및 난치병 치료 분야에 접목해 임상 현장에서 활용할 날이 머지않았다는 전망이다.
9일 의료계에 따르면 국내외 제약·바이오 기업과 의료기관에서는 miRNA를 활용한 진단 기술과 신약 연구가
올해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로 미국의 연구자 빅터 앰브로스(Victor Ambros)와 개리 러브컨(Gary Ruvkun) 교수가 선정됐다. 두 사람은 난치병의 차세대 치료제로 주목받는 마이크로RNA(microRNA)을 발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스웨덴 카롤린스카연구소 노벨위원회는 7일(현지시간) 유전자 조절에 핵심적 역할을 하는 마이크로RNA를 발견한
코스맥스그룹이 심혈을 기울이고 있는 ‘피부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 화장품’ 개발을 위해 미국 하버드대학교와 손을 잡았다.
화장품 ODM(연구·개발·생산) 기업 코스맥스는 미국 하버드대 의과대학 계열 매사추세츠 종합병원과 피부 마이크로바이옴 공동 연구에 나선다고 23일 밝혔다. 양측은 공동 연구를 통해 인종까지 고려한 스킨케어 솔루션을 개발
암환자 배우자 자살 위험 1.5배 높아“정신적‧육체적‧경제적 부담 복합 작용, 암환자 가족 지원 필요”
암환자를 간병하는 배우자 자살 위험이 비암환자 배우자보다 자살 시도와 자살로 사망할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암 진단 후 1년 이내 자살 위험이 가장 높았다.
미국의사협회지(JAMA)에 2024년 8월 게재된 ‘암환자 배우자의 자살 시도와
한독은 비소세포폐암 신약개발 연구과제가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는 글로벌산업기술협력센터 사업에 선정됐다고 9일 밝혔다.
비소세포폐암 신약개발 연구과제는 한독이 주관하며 BNJ바이오파마, 미국 하버드의대 매사추세츠종합병원(MGH)이 함께 참여하고 있다. 이번 선정으로 3년 동안 총 60억 원의 연구비를 지원받는다. 연구 결과에 따라 추가로 2년간 연구비를
국내 민간 기업과 글로벌 최우수 연구기관이 손잡고 미래 신성장동력 조기 확보를 위한 대규모 국제공동 연구개발(R&D) 프로젝트에 돌입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바이오·반도체·로봇·배터리·미래모빌리티·디스플레이 등 6대 첨단산업 분야 세계 최고의 연구기관과 국내 기업이 공동으로 협력하는 100억 원 이하의 중대형이면서 최대 5년의 중장기 산업기술 국제공동 R
2024 유럽 심장학회 콘퍼런스서 발표1만7604명 대상 3년간 추적 연구결과 공개“당뇨→비만→심혈관질환→노화까지 효과 확인”
‘살빼는 약’으로 인기몰이를 하고 있는 덴마크 제약사 노보노디스크의 위고비와 오젬픽이 인체 노화까지 늦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기존 발표된 당뇨와 비만ㆍ과체중 개선, 심혈관 질환 치료 등 외에도 훨씬 더 광범위한 효과가
바이오산업의 효율적인 발전을 위해선 산업체와 학계, 연구계와 정부의 유기적 협력이 필수로 요구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8일 국회도서관 소회의실에서 열린 ‘글로벌 바이오 산학연병정의 유기적 공조 생태계 방안’ 토론회에서 송철화 한국과학기술정책연구회 회장은 “과학기술 주권이야말로 국가의 생존과 인류 전체의 건강한 삶을 유지하고 증진하기 위해 중요한 부분”
이화의료원은 이향운 이화의생명연구원 원장(이대목동병원 신경과 교수)이 지난달 26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세계뇌기능매핑학회(OHBM) 학술대회에서 여성특별활동위원장에 취임했다고 3일 밝혔다.
세계뇌기능매핑학회는 이 교수의 활발한 연구와 다양성 및 포용성위원회 특별위원 활동 등 성과를 인정해 여성특별활동위원장으로 임명했다.
이 교수는 신임 위원장으로서
한미약품이 비임상 연구에서 악성 종양이 전부 사라지는 ‘완전 관해’를 입증한 차세대 면역조절 항암 혁신신약의 임상 1상에 돌입한다.
한미약품은 지난달 29일(현지시간)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면역조절 항암 혁신신약 ‘HM16390’의 1상 임상시험계획(IND)을 승인 받았다고 1일 밝혔다. 이번 임상 시험에서는 진행성 또는 전이성 고형암 환자
고려대학교 의과대학이 태국 랑싯대학교 의과대학과 학술 및 교육 교류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2월 고대안산병원과 랑싯의대의 교육병원인 ‘라자비티병원’의 업무협약 이후 의과대학 간 학생 교류를 위해 진행됐다.
전날 고대 의대 본관 3층 대회의실에서 진행된 협약식에는 편성범 고대 의대 학장과 제드사다 초크담롱숙 랑싯의대
에스티팜은 19일 오전 경기도 안산에 있는 반월캠퍼스 이노베이션센터에서 이사회를 개최하고 대표이사로 성무제 사장을 신규 선임했다고 밝혔다.
동아쏘시오그룹이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 그룹 계열사들의 미래 먹거리 확보에 집중하고 있는 만큼, 이번 성 사장의 대표이사 신규 선임으로 에스티팜은 미래 먹거리 발굴을 위해 글로벌 제약사와의 네트워크 확대 및 연구
에스티팜은 미국 보스턴에 있는 바이오텍 기업 인테론(Interon Laboratories)과 종양괴사인자 수용체(tumor necrosis factor receptor, TNFR) 저해제 개발 공동연구 계약을 체결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공동연구 계약을 통해 양사는 올해 6월부터 2년간 공동 연구를 진행해 TNFR을 선택적으로 저해하는 저분자 전임
hy가 외부 연구자문단을 통해 산업 경쟁력 강화에 나선다.
hy는 FIAC(Future Insights Advisory Committee) 위촉식을 개최했다고 27일 밝혔다. 행사는 변경구 hy 대표이사를 비롯한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인터콘티넨탈 서울 코엑스에서 열렸다.
FIAC는 hy의 연구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출범했다. hy가 보유한 프로바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