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모치료, 피부재생 등 항노화 솔루션 개발기업 이노진은 지난 14일부터 4월 14일까지 열리는 '2025 F/W 서스테이너블 K-패션 아트쇼 by 하나아트뱅크'에 후원사로 참여한다고 18일 밝혔다. 이 행사는 뷰티한국이 주최, 주관했다.
서스테이너블 K-패션 아트쇼는 환경 보호와 예술이 결합한 전시로 지속 가능한 패션과 예술의 가치 창출을 위해 지난해
한국콜마는 꼬리조팝나무 추출물을 활용해 소재를 개발하고, 항노화 효과를 입증한 연구논문이 최근 국제 SCI급 학술 저널 ‘내추럴 프로덕트 커뮤니케이션(Natural Product Communications)’에 실렸다고 18일 밝혔다.
한국콜마는 2년간 고려대학교 약학대학 이기용 교수팀과 공동으로 연구를 진행한 결과, 꼬리조팝나무 추출물이 항산화, 항
뷰티 기업 에이피알이 역대 최대 실적을 내면서 국내 화장품 업계에 지각 변동이 일고 있다. LG생활건강, 아모레퍼시픽그룹에 이어 3위였던 애경산업을 밀어내고 ‘뷰티 빅3’ 자리에 올랐기 때문이다. 에이피알은 타 업체들과 달리 화장품 자체보다 ‘뷰티 디바이스’를 주력으로 홈케어 뷰티 시장을 공략 중이다. 특히 해외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입소문을 타고
우리그린사이언스는 국립강릉원주대학교 산학협력단과 대마 유래 피부 건강 기능성 소재 2건의 특허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
회사는 이번 특허를 활용해 대마 추출물의 항노화 기능성 원료를 생산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대마 유래 원료 및 제품의 유통이 가능한 해외 국가에서 맞춤형 소재 개발을 진행 할 예정이다.
20일 양대 지수에서 하한가 종목은 없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코스피 시장에서 평화홀딩스(29.96%)와 YG PLUS(29.86%), 코스닥에서는 TS트릴리온(29.63%), 비엘팜텍(29.85%), 스튜디오미르(29.84%), 에이스토리(30.00), 엔에스이엔엠(29.95%), 클리노믹스(29.94%), 키이스트(29.78%), 판타지오(
신용철 아미코젠 회장이 주주설득에 나섰다.
신용철 회장은 17일 주주행동주의 플랫폼 비사이드코리아를 통해 ‘전략적 투자자 유치를 통한 이사회 혁신-아미코젠의 글로벌 바이오 소재 기업으로의 도약’ 캠페인을 시작했다. 또 26일 개최되는 임시주총의 ‘주주제안측 의안설명자료’를 발표했다.
신 회장은 의안설명자료에서 “현 아미코젠 이사회 및 전문성이 부족한
레티놀·PDRN 화장품 성분 주목4050대 넘어 20대까지 공략층 넓어져디바이스·건기식까지 사업 확대 예상
최근 화장품(뷰티)업계에서 ‘안티에이징(Anti-aging)’이란 말이 쏙 들어가고 ‘슬로우에이징(Slow aging)’이 대세가 됐다. 노화 방지가 아닌 ‘저속 노화’를 추구하기 때문이다. 노화를 맞서 싸워야 할 상태가 아닌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노화 늦추는 항노화‧저속노화 관심구글‧오픈AI 등 빅테크 기업 진출유전자 가위‧AI가 연구의 ‘Key’
전 세계가 고령화 시대에 접어들며 노화를 지연시키거나 젊음을 되찾는 ‘안티에이징(항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동안 병을 치료하는 데 초점을 맞췄던 치료제가 이제 노화를 극복할 수 있도록 개발되고 있다. 실제 세계보건기구(WHO)는 20
유전자 조절에 핵심 역할을 하는 마이크로RNA(microRNA)를 발견한 공로로 지난해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한 빅터 앰브로스(Victor Ambros) 미국 메사추세츠대학교 의과대학 교수가 한국을 찾는다.
30일 최종현학술원에 따르면 빅터 엠브로스 교수가 내달 7일 오후 3시부터 서울 강남구 한국고등교육재단빌딩 컨퍼런스홀에서 최종현학술원 초청 특별강
화장품 연구·개발·생산(ODM) 기업 코스맥스가 일본 스킨케어 시장 공략에 나섰다.
코스맥스재팬은 15일부터 17일까지 일본 도쿄 빅사이트에서 개최된 '코스메위크 2025 (COSME Week 2025)’ 부스에서 전시를 마쳤다고 21일 밝혔다.
코스메위크는 일본 최대 화장품 박람회다. 매년 약 700여 개 이상의 화장품 제조업체, 유통업체, 바이어
화장품 연구개발생산(ODM) 기업 코스맥스가 피부 마이크로바이옴 혁신 기술 개발을 위해 협력을 확대한다.
코스맥스는 지난해 12월 싱가포르 국립대학교(NUS)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4일 밝혔다.
NUS는 싱가포르 대표 종합대학으로, QS 세계 대학 순위에서 아시아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앞서 코스맥스는 지난해 서울대, 미국 하버드대, 중
제약·바이오기업의 오픈이노베이션 생태계 조성이 활발하다. 국내·외 기업들이 유망 기술을 보유한 국내 소규모 바이오기업에 관심을 두고 전폭적인 지원을 투입 중이다. 연구개발(R&D) 촉진은 물론 장기적으로 인수합병(M&A) 성과까지 기대할 수 있어서다.
13일 제약·바이오 업계에 따르면 규모와 자금력을 갖춘 기업들이 R&D 중심 바이오텍 육성에 열을 올
에이치이엠파마가 장내 미생물 연구를 통해 노화로 인한 질환 개선 가능성을 규명하고, 체중 감량 과정에서 발생하는 근육 손실 문제를 완화하는 효과를 확인했다고 9일 밝혔다.
산학연 공동 연구팀이 협력해 진행한 이번 연구 결과는 세계적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게재됐다고 한다.
에이치이엠파마는 광주과학기술원(GIST) 류동렬 교수팀을 비롯해 충남대
메디톡스는 계열사 뉴메코의 차세대 보툴리눔 톡신 제제 ‘뉴럭스(NEWLUX)’가 페루 의약품관리국(Dirección General de Medicamentos Insumos y Drogas·DIGEMID)으로부터 신규 품목 허가를 획득했다고 12일 밝혔다.
중남미 시장의 주요 국가 중 하나인 페루는 인구 고령화로 항노화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사회관계
젬백스앤카엘은 다중기전 약물 ‘GV1001’의 우울증 예방ㆍ치료에 대한 국내 정식 출원과 PCT 국제출원을 마쳤다고 12일 밝혔다.
새롭게 출원한 특허에 따르면 GV1001은 혈중 스트레스 호르몬의 농도를 감소시키고, 우울증에 의한 다양한 증상을 개선한다. 또한, 인체에 안전해 이상 반응을 포함하는 부작용이 적은 우울증 치료 효과가 기대된다.
젬백스
대웅제약은 지난달 21일(현지시간)부터 23일까지 태국 방콕에서 열린 국제에스테틱·항노화학회(Aesthetic & anti-aging Medicine World Congress in SOUTHEAST ASIA 2024·AMWC)에 참가해 글로벌 의료진들과 나보타의 우수성과 최신 메디컬 에스테틱 시술 노하우를 공유했다고 5일 밝혔다.
AMWC는 세계 3
펩타이드 융합 바이오 전문기업 나이벡은 노화를 억제 및 역전하는 효과가 있는 ‘GRP78-유사 펩타이드’를 개발해 특허를 출원했다고 27일 밝혔다.
해당 특허는 △인체 노화역전을 위한 조성물 △근육질환 예방ㆍ치료 신약 △노화예방 및 역전용 화장품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글로벌 항노화 시장에서 게임체인저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중소벤처기업부(중기부)는 싱가포르 식품청과 싱가포르 국부펀드인 테마섹(TEMASEK)이 18일부터 22일까지 주최하는 ‘2024 싱가포르 국제 농식품 주간’에 맞춰 싱가포르에 방문, 한국 정부의 규제자유특구를 통한 미래 먹거리 확보 노력을 소개했다고 25일 밝혔다.
또한, 미래식품 분야 전문가 및 국제 협·단체, 특구 기업 등이 참여하는 라운드테이블을
아미코젠이 유동성 확보와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자회사 스킨메드 지분을 전량 매각한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매각 규모는 보통주 236만714주(지분율 37.3%)로 매각 대금은 약 55억 원이다. 매각은 이달 18일 완료될 예정이다.
회사 관계자는 “장부가 대비 약 80% 높게 매각한 것”이라며 “해당 매각은 현금 유동성 확보 목적으로 매각 자금은
글로벌 라이프케어 기업으로 도약 의지기업내 부설 연구소 9년간 46억 원 투입반려동물 등 영역 확장해 글로벌 시장 공략
국내 생활용품 기업 뉴온이 공격적인 사업 확장에 나섰다. 내년에도 살림ㆍ튼튼ㆍ피부백서 등 사업영역 확장을 통해 글로벌 라이프케어 기업으로 도약하겠다는 의지다.
3일 본지 취재 결과 뉴온은 올해 네이버 스토어에서 110만 명의 관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