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진그룹 계열 로봇·물류자동화 전문기업 티엑스알로보틱스(TXR Robotics)가 금융위원회에 증권신고서를 제출하고 코스닥 상장을 위한 공모 절차에 본격 돌입했다고 20일 밝혔다.
총 공모 주식수는 307만5400주로, 희망공모밴드는 1만1500~1만3500원이다. 공모 규모는 약 354억~415억 원이며, 예상 시가총액은 1778억~2088억 원 사
한국제14호스팩과 합병을 추진 중인 에이아이코리아는 관계기업인 에이아이로보틱스와 협업을 통해 초정밀 자율주행 기술이 적용된 복합 기능 로봇을 개발하고 상용화에 성공했다고 20일 밝혔다.
복합 로봇은 선제적으로 글로벌 기업의 스펙 제안을 반영해 제작이 이뤄졌기 때문에 다양한 분야에 대량 수주가 예상되고 있다.
에이아이코리아가 개발한 로봇은 기존 자율
기업공개(IPO)를 앞둔 LG CNS가 자율이동로봇(AMR)으로 물류 산업 디지털 혁신을 추진한다.
LG CNS는 17일 자율주행로봇 기반 모빌리티 기업 ‘베어로보틱스’와 자율이동로봇 개발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20일 밝혔다.
미국 실리콘밸리에 본사를 두고 있는 베어로보틱스는 전 세계 20여 개국에 인공지능(AI) 기반 로봇을 공급
물리적 충격 땐 정지 후 불빛·경고음 알려하루 50만건 축적 데이터 활용 생산성 개선2021년 다보스포럼서 '세계 등대공장' 올라
‘미국 우선주의(America First)’를 넘어 ‘미국 유일주의(America Only)’ 정책을 표방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0일 공식 취임한다. ‘트럼프 노믹스’ 시즌2가 현실화한 것이다. 트럼프 1기 때 미
삼성전자, 레인보우로보틱스 최대주주 지위 확보…추가 콜옵션 보유 중LG전자, 코스닥 상장 업체 3개사 주요 주주…SK그룹, 유일로보티스 콜옵션 보유두산로보틱스, 레인보우로보틱스와 로봇주 대장 '격전'
삼성전자가 지난해 12월 31일 국내 로봇기업 레인보우로보틱스에 콜옵션(주식 매입 권리)을 행사하면서 최대 지분을 확보했다. 삼성이 새해 벽두부터 로봇 사
LS이링크-선광신컨테이너터미널 5일, ‘항만 내 전동화장비 충전사업 협력’ 체결태양광 발전-ESS 등 신재생에너지 융합형 전력 신사업도 공동 추진
LS이링크가 5일 선광신컨테이너터미널(이하 SNCT)과 ‘항만 내 전동화장비 충전사업 협력’에 관한 본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계약은 SNCT가 인천 신항에서 운영 중인 야드트랙터를 EV로 전환하는 파트너십이다
현대로템이 건물 지하 화재 등 위험한 현장에서 소방관을 대신해 진압할 수 있는 무인 소방로봇을 최초로 공개했다.
현대로템은 경기 일산 킨텍스에서 열리는 ‘2024 아시아 기계 & 제조 산업전(Asia Machinery & Manufacturing Expo)’에 참가한다고 31일 밝혔다.
이번 전시회를 통해 현대로템은 무인 소방로봇을 비롯한 4차 산업혁
17일 베트남 호찌민에서 차로 약 3시간을 달려 도착한 한세실업 C&T법인. 33만㎡(약 10만 평) 규모의 C&T법인은 원단 염색·워싱 전문 회사로, 직원 750명이 근무 중이다. 한세실업은 C&T Vina와 칼라앤터치를 각각 2013년, 2014년 인수해 원단을 직접 생산하고 봉제로 이어지는 수직계열화 구축에 성공했다.
이날 찾은 C&T법인 3공장
2개월 내 전국에 첨단물류센터 3곳 추가 착공...최대 1만명 추가 고용2027년부터 전국민 로켓배송 혜택 가능…“청년 일자리 확대 유의미”
쿠팡이 충청권에 이어 호남권에 첨단물류센터(풀필먼트센터)를 여는 등 전국을 ‘쿠팡 로켓배송 권역(쿠세권)’으로 만드는 계획에 속도를 내고 있다. 쿠세권 전국화 로드맵의 절반 이상이 진행되면서 지역 일자리 창출도 이
쿠팡이 호남권 최대 규모의 광주첨단물류센터(FC) 준공식을 열고 본격 운영에 나선다.
쿠팡은 광주광역시 광산구 평동일반산업단지에서 광주첨단물류센터 준공식을 개최한다고 14일 밝혔다.
이날 준공식에는 강기정 광주광역시장, 박대준 쿠팡 대표를 비롯해 박병규 광주 광산구청장, 김명수 광산구의회 의장 등 100여명이 참석한다.
이번에 준공한 광주첨단물류센
현대무벡스가 자율이동로봇(Autonomous Mobile Robot) 기술 국산화에 힘을 보탠다.
현대무벡스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진행하는 ‘2024년도 소재ㆍ부품 기술개발 지원사업’ 공모에서 ‘고정밀 대형 자율이동로봇 플랫폼 설계 및 통합 구동 모듈 실증’ 과제의 주관사로 선정됐다고 7일 밝혔다.
이 과제는 총사업비 94억 원 규모로 이 중 70억 원이
현대로템이 무인이송장비(Automated Guided Vehicle) 실적 확대를 통해 첨단 스마트 물류 사업 경쟁력을 강화한다.
현대로템은 여수광양항만공사에서 발주한 828억 원 규모의 광양항 자동화 부두 AGV 제작ㆍ납품 사업을 수주했다고 7일 밝혔다.
AGV는 화물을 적재해 지정된 장소까지 자동으로 이송하는 무인 차량으로 물류 자동화의 핵심 설비
스마트팩토리 물류 로봇 솔루션 전문기업 제닉스가 코스닥 상장 첫날 강세를 나타내고 있다.
30일 오후 1시 44분 현재 제닉스는 공모가(4만 원) 대비 24.5% 오른 4만98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제닉스 주가는 개장 직후 60.5% 오른 6만4200원을 기록했다가 점차 상승 폭을 조정받는 모습이다.
2010년 설립된 제닉스는 무인 이송 전기차량
현대차그룹 최초의 전기차 전용 공장 EV3ㆍEV4 등 연간 15만 대 생산 가능차세대 전기차 핵심 거점으로 발돋움
기아가 현대자동차그룹 최초의 전기차 전용 공장인 ‘광명 이보 플랜트(EVO Plant)’를 구축하고 본격적인 전기차 양산에 나선다.
기아는 27일 경기 광명시 소하동에 있는 오토랜드 광명에서 이보 플랜트 준공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로봇구동기 전문기업 에스피지(SPG)가 로봇용 감속기 관련 문의가 증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달 로봇용 정밀 감속기의 본격적인 양산체제를 갖춘 것이 고객사의 신뢰성 증가로 작용한 것으로 해석된다.
25일 본지 취재를 종합하면 에스피지의 로봇용 감속기에 대한 고객사들의 문의가 증가 중이다.
에스피지 관계자는 “로봇 관련 부품의 문의가 많이 온다”라며
스마트팩토리 물류 로봇 솔루션 전문 기업 제닉스는 5일 여의도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코스닥 상장에 따른 향후 전략과 비전을 밝혔다.
제닉스는 스마트팩토리 전체 시스템 구성이 가능한 무인 물류 자동화 시스템(AMHS)을 개발하고 공장 자동화(FA)에 필요한 다양한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으로 2010년 설립됐다. 주요 제품은 △유도장치로 주행경로가 미리
현대자동차그룹은 자동차를 생산하는 방식부터 혁신하고 있다. 미래 모빌리티를 위한 생산 체계 구축에 힘을 쏟기 위해서다.
현대차그룹은 지난해 11월 싱가포르 서부 주롱 혁신지구에 ‘현대차그룹 싱가포르 글로벌 혁신센터(HMGICS)’를 열었다.
HMGICS는 현대차그룹이 △지능형, 자동화 제조 플랫폼 기반의 ‘기술 혁신’ △다품종 유연 생산 시스템 중심
LS이링크가 22일 코스닥 상장을 위한 상장예비심사 신청서를 한국거래소에 제출했다.
상장 주관회사는 미래에셋증권과 한국투자증권이다.
LS이링크는 대형 운수, 물류, 화물 등 전국의 주요 사업자와의 파트너십 체결과 안정적 실적 등을 바탕으로 올해 안에 국내 코스닥 시장에 기업공개(IPO)를 추진하고 있다. 상장을 통해 유입된 재원은 기술력 강화와 글로
스마트 팩토리 물류 로봇 솔루션 전문 기업 제닉스가 19일 금융위원회에 코스닥 상장을 위한 증권신고서를 제출하고 기업공개(IPO)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제닉스의 총 공모주식 수는 66만 주로, 주당 공모 희망가 범위는 2만8000원부터 3만4000원이다. 회사는 9월 5일부터 11일까지 수요예측을 진행해 최종 공모가를 확정하고 19일과 20일 일반 청
화장품 온ㆍ오프라인 유통 기업 실리콘투가 중국 시장에서의 철수 이후 승승장구하고 있다. 올해 상반기 매출액은 이미 지난해 연간 매출액의 90% 수준까지 이뤄 반기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최종 고객의 소비 성향 분석과 효과적인 시장 공략, 소셜네트워크(SNS) 마케팅 등이 주효했다는 분석이다.
19일 본지 취재를 종합하면 실리콘투의 최대 매출 국가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