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열린 기획재정부 국정감사(조세정책)에서는 '부자 감세' 논란을 놓고 야당과 정부ㆍ여당이 치열한 공방을 벌였다.
야당은 윤석열 정부의 법인세 인하 등 세제개편안이 "초대기업 편향 세제개편"이라고 질타한 반면 정부·여당은 개편안이 경제 활력 제고는 물론 장기적으로 세수를 증대시키는 안이라고 반박했다.
이날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의 기재부 국감에서 야당인
대권 도전 중인 김종인 전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 대표는 11일 문재인 민주당 대선후보의 경제정책 구상인 ‘J노믹스’에 대해 “부질없고 의미 없는 얘기”라고 평가절하했다.
김 전 대표는 이날 ‘BBS 전영신의 아침저널’과의 인터뷰에서 “이명박 전 대통령 시절의 MB노믹스, 다음에 박근혜 전 대통령 시절엔 근혜노믹스, 어떤 경우엔 장관의 성을 따서 이름
경제 컨트롤타워인 기획재정부 하면 △경제정책 △예산 △세제 등 크게 세 분야가 핵심축을 이룬다. 특히 경제운용의 방향을 총괄하는 경제정책국(옛 경제기획국)은 거시경제 정책의 큰 그림을 그리는 핵심 브레인들이 모여 있는 곳이다.
경제정책국이 들어선 1994년 이후 퇴직한 경제정책국장 11명 가운데 8명은 장관이나 대통령경제수석 등 차관 이상의 고위직을
60여년간 우리 경제의 고속성장과 산업화를 이끄는 데 중추적 역할을 한 산업은행. 하지만 이를 진두지휘했던 역대 산은 총재 및 회장 자리에는 낙하산 인사가 임명됐고, 정권의 금고 역할을 자처하는 일이 종종 발생했다.
이로 인해 산은 수장들은 임기를 마치지 못 하는가 하면 정치적 희생양이 되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 김영삼 정부 시절 이형구 산은 총재(25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기획재정부 국정감사의 17일 질의에서는 지난 대선 후보였던 민주당 문재인 의원과 현 정부의 경제사령탑인 현오석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간에 최저임금을 바라보는 시각차가 극명하게 대비됐다.
문 의원은 최저임금 수준이 낮다는 점을 들며 인상 필요성을 역설했고 현 부총리는 ‘기업부담 증가’를 우려하며 의견을 주고 받았다.
문 의원은
“서민경제 주름살을 펴는 일에 역량을 집중해달라.”
박근혜 대통령은 올해 경제정책 방향과 관련해 부동산 정상화와 물가안정 등 민생문제를 최우선 해결 과제로 지목했다. 갈수록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는 서민가계부터 안정화시켜 침체된 경제를 일으켜 보겠다는 의지를 표현한 것이다.
경제정책을 가다듬은 박 대통령의 ‘민생 챙기기’ 정책 행보도 본격화된다. 서민층
강만수 KDB산은지주 회장 겸 산업은행장이 사의를 표명했다.
이명박 전 대통령의 최측근으로 금융기관 수장 가운데서는 최초다. 이에 따라 어윤대 KB금융지주 회장, 이팔성 우리금융지주 회장의 사퇴 시점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또한 한국수출입은행, 한국정책금융공사, 예금보험공사, 캠코 등 금융 공기업 사장들의 거취에도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강 회장은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21일 발표한 경제 기조는 이명박 정부와는 완전히 차별화됐다.
경제성장을 통한 일자리 창출이라는 과거의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성장과 일자리를 동시에 추구하며 모든 정책의 출발점을 일자리에 뒀다는 점이 가장 큰 차이다. 이른바 ‘창조경제론’이다. 또 다른 점은 이명박 정부가 수출과 대기업 위주의 성장 정책을 펴온 반면, 박근혜 정
민주통합당 문희상 비상대책위원장은 22일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의 전날 ‘박근혜 정부 국정비전 ’발표에 대해 “박 당선인이 민생회복을 위한 핵심공약으로 강조한 경제민주화 관련 내용이 쏙 빠졌다”고 비판했다.
문 위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확대간부회의에서 “5개 국정목표와 21개 국정전략, 140개 세부과제 그 어디에도 경제민주화 언급이 없다”면서 이같이 말
# 절친한 두 친구가 사막을 걷다가 다퉜다. 한 친구가 다른 친구의 뺨을 때렸다. 뺨을 맞은 친구는 손가락으로 모래에 ‘내 절친한 친구가 뺨을 때렸다’고 썼다. 두 사람이 이후 오아시스를 발견했을 때 뺨을 맞았던 친구가 물속에 뛰어들었다가 익사위기에 처했다. 이번에도 친구가 그를 구했다. 목숨을 건진 친구는 오아시스 주변 바위에 ‘내 절친한 친구가 내 생명
이명박 정부의 경제 정책은 ‘비즈니스 프랜들리’라는 말로 정의된다. 출범 초기부터 강조됐던 ‘MB노믹스’는 대기업 중심의 수출 주도형 성장정책을 내세우며 ‘기업이 일하기 편해야 국가경제도 살아난다’는 시각에 무게 중심을 뒀다.
기업, 그 중에서도 대기업에 집중된 경제 정책은 긍정적인 결과도 있었지만 부정적인 그림자도 함께 드리웠다.
긍정적인 부분은 경
글로벌 금융위기와 유럽재정위기 장기화로 이명박 정부가 마지막 내년 경제운용 전략을 보수적으로 잡아 성장 기조로 한 MB노믹스(경제정책 기조)가 실패했다는 것을 사실상 시인했다. 그동안 MB노믹스의 대표공약인 ‘7·4·7’(7% 성장, 국민소득 4만달러시대, 세계 7대 경제국)은 세계 경기침체에 발목 잡혀 물거품이 되면서 초라한 성적을 나타냈다.
올해 실질
‘원칙이 바로 선 자본주의’, ‘국가지도자가 지켜야 할 단 하나의 가치는 국민행복’
이 말은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의 경제철학(근혜노믹스)의 핵심이다. 한마디로 성장 위주의 경제 정책이 아닌 ‘따뜻한 시장경제’를 정책운영 방향의 기조로 삼는 것이다. 국민이 근혜노믹스를 주목하는 이유는 이를 바탕으로 국가 정책방향과 기존 산업 발전방향이 예측 가능하기 때문이
박근혜 새누리당 대선 후보가 대통령에 당선되면서 금융지주사 지배구조에 적잖은 변화가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금융지주사 회장과 은행장 등 금융권 최고경영자(CEO) 상당수가 내년 중에 임기 만료를 앞두고 있어 경영진 교체가 어느선까지 미칠지 초미의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20일 금융권에 따르면 내년 박근혜 정부 출범을 앞두고 이명박 대통령과의 친분
이용섭 민주통합당 정책위의장은 지난 8일 발표된 정부의 세제개편안에 대해 “실패한 MB노믹스와 줄푸세 기조를 유지한 땜질정책”이라고 비판했다.
이 의장은 9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제 12차 고위정책회의에서 “정부의 이번 세제개편안은 부자 감세 기조를 벗어나지 못 하고 있다”며 “고소득자와 대기업에 대한 소득세·법인세의 감세를 유지하고 있고 회원제 골프장과
MB노믹스 설계자 강만수 산은지주회장 겸 산업은행장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소매금융 확대를 위한 홍콩상하이은행(HSBC) 서울지점 인수가 결국 수포로 돌아갔다. 여기에 글로벌 기업공개(IPO) 시장이 얼어붙으면서 연내 IPO 완료를 목표로 제시했던 강 회장의 큰소리가 속삭임에 그치고 있다. 대책반장 김석동 위원장과 일심동체로 추진했던 우리금융지주 인수는
이명박 정부 4년 동안 가장 낮은 평가를 받는 것이 바로 양극화 문제다.
20~30대 청년실업으로‘88만원 세대’는 지속적으로 늘어 났으며, 이는 양극화에 희생된 청년들의 상징이 됐다. 정권초기 야심차게 밀어붙이 747 공약은 조롱거리로 전락했고, 계속된 비판은 임기 후반에 들어서 정책 변화를 가져왔다.
기존의 친 재벌 정책에서 선회해 ‘동반성장’과
재계로부터 비판을 받아온 MB 정부의 동반성장 정책은 그간 우여곡절에도 꾸준히 정책을 시행하며 상생에 대한 인식을 높인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정책의 최전선에서 선 동반성장위원회는 그동안 동반성장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한편, 관념을 보편화하는데 주력했다. 지식경제부 역시 ‘성과공유제’를 내세우며 불공정한 기업들의 관행 바로잡기에 나섰다.
이 같은 정부의
이명박 정부는 5년 동안 법인세를 35조원 이나 줄였다. 세목 중에 기업들에 부과하는 법인세를 가장 많이 줄인 것이다. 이 대통령이 2008년 취임하자 마자 세계 금융위기가 터지면서 정부는 위기를 타개할 수 있는 주요 돌파구로 기업의 경영활동에 각종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정권 내내 기업들의 세금 부담을 감경해 줌으로써 세제정책 면에서는 확실히 기업하기 좋
이명박 정부 4년간 가장 미흡했던 경제정책은 ‘일자리 창출’이다. 2007년 대선 때 일자리를 연평균 60만개 만들어 임기 5년 동안 300만개를 창출하겠다는 공약을 내세웠지만 연평균(2008~2011년도) 25만개 정도에 그치고 있다.
경제전문가들을 비롯해 보수와 진보 세력을 막론하고 모두 MB4년 일자리정책에 대해서는 낙제점을 줬다.
국책연구기관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