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기술은 공시를 통해 두산에너빌리티와 69억 원 규모의 ‘비안전계통 DCS(분산제어시스템)’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수주를 통해 우리기술은 소형모듈원자로(SMR)용 DCS를 공급할 예정이다.
우리기술은 국내 원전 DCS 분야 독점 기술을 바탕으로 모든 유형의 원전에 계측제어설비(MMIS)를 독점 공급 중이다. DCS는 원전의 운전
한국수력원자력이 디지털 신기술 도입과 동반성장 공로를 인정받아 '디지털플랫폼정보' 단체표창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한수원은 23일 서강대학교에서 행정안전부와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후원으로 열린 이브릿지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디지털플랫폼정부 유공' 행정안전부장관상(단체표창)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한수원은 디지털플랫폼정부의 정책 방향에 맞춰 발전소의 운영
원자력발전소의 건설부터 운영까지 모든 과정에 대한 시뮬레이션이 가능해졌다.
한국수력원자력은 APR1400의 국산 제어시스템(MMIS)을 디지털 트윈으로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26일 밝혔다.
한수원 관계자는 "2020년 4월부터 4년여 간의 연구 끝에 개발에 성공했다"라며 "이번에 개발한 기술을 활용하면 발전소 건설부터 운영 단계까지 모든 과정의 시뮬
경북 울진의 신한울원자력발전소 1호기의 터빈이 1일 오전 7시 7분께 자동 정지했다. 이에 이날 예정됐던 신한울 1·2호기 종합 준공식도 연기됐다.
한국수력원자력 한울원자력본부에 따르면 신한울 1호기는 현재 원자로 출력 40% 수준에서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있다.
한울원자력본부는 보호신호 중 하나인 제어봉제어계통의 저전압 오신호 발생으로 터빈이 정지된
우리기술이 정부가 주도하는 혁신형소형모듈원자로(i-SMR) 기술개발사업에 참여한다는 소식에 강세다. SMR은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에 가장 적합한 전력원으로 주목받고 있는데, 국내에서 유일하게 원전 제어계측시스템(MMIS) 공급 레퍼런스를 보유 중이다.
22일 오전 9시 8분 현재 우리기술은 전 거래일 대비 5.50% 오른 2110원에 거래 중이다
◇한화엔진
예상보다 빠른 턴어라운드
서프라이즈 이상의 서프라이즈
추정치 대비 실제 매출액 24.9% 초과: 한화오션향 추가 물량 효과 때문
추정치 대비 실제 영업이익 367.5% 초과: 구조적인 판가 상승 + 믹스 개선
배기연 메리츠
◇감성코퍼레이션
곳간에서 인심난다
스노우피크 캐주얼 아웃도어 사업 영위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지속되는 실적 선방
중장기
우리기술은 매출액 또는 손익구조 30% 이상 변동 공시를 통해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액이 사상 최대 규모인 632억원을 달성했다고 7일 밝혔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각각 전년 동기 대비 39.11%, 36.74% 증가한 67억원, 46억원을 기록했다.
이번 실적 호조는 독점적 원전 제어계측시스템(MMIS) 기술 기반 원전 사업의 매출
우리기술은 두산에너빌리티와 165억5000만 원 규모의 신한울 3·4호기용 ‘원전 제어 핵심 시스템(DCS)’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14일 밝혔다. 공급 기간은 2027년 12월 31일까지다. 이로써 우리기술은 신한울 3·4호기 DCS 제어기 단일 품목으로만 올해 538억5000만 원 규모의 수주고를 올렸다.
DCS는 분산제어시스템을 기반으로 설계된
우리기술이 별도기준 창사 이래 역대 최대 3분기 실적을 기록했다.
우리기술은 잠정실적 공시를 통해 올해 3분기 매출액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0.1% 증가한 168억 원을 기록했다고 7일 밝혔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각각 147.6%, 63.1% 상승한 56억 원, 53억9000만 원을 달성해 흑자기조를 유지했다.
별도 누적기준으로도
현대로템이 우크라이나 전쟁 피해 최소화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현대로템은 우크라이나에 납품한 철도차량이 전쟁 피난민들을 안전하게 대비시키는 데 핵심 임무를 수행한 공로로 현지 정부로부터 감사의 의미를 담은 팸플릿을 전달받았다고 11일 밝혔다.
팸플릿 오른쪽 상단에는 “현대로템의 철도차량은 지난해 봄 자국 아이들과 어머니들을 위한‘생명줄(Lifel
우리기술이 원전사업의 수주증가로 올해 연결기준 역대 최대 매출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최근 8년 내 최대 수주실적이다.
우리기술은 핵심사업인 원전부문에서 올해 8월까지 누적 수주액이 전년동기(252억 원)대비 198% 증가한 500억 원을 기록했다고 5일 밝혔다.
우리기술은 지난 4월까지 신한울 3·4호기 신규 원전 건설과 관련해 372억
460여 개 협력사 주기기 제작 참여올해 2200억 원 규모 발주 진행 중
두산에너빌리티가 신한울 3∙4 주기기 제작에 본격 돌입했다. 이에 따라 원전 생태계 활성화에도 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인다.
두산에너빌리티는 창원본사에서 ‘신한울 3∙4 주기기 제작 착수식’을 개최했다고 15일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김영선, 강기
수산인더스트리는 100% 자회사인 수산이앤에스가 두산에너빌리티와 신한울 3ㆍ4호기 안전등급 제어기기(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13일 밝혔다. 계약 금액은 총 499억7000만원이다.
이번 계약은 지난달 말 두산에너빌리티와 한국수력원자력이 체결한 ‘신한울 3ㆍ4호기 핵심 주기기’ 공급계약에
우리기술은 최근 ‘해상풍력 발전’ 관련 전문 기업들과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압해해상풍력 발전사업’ 추진을 본격화한다. 우리기술은 풍력발전에 자체 개발한 ‘발전 제어 및 모니터링 시스템’을 공급할 수 있는 국내 유일의 업체다.
특히 탁월한 제어 기술을 기반으로 국내 원전 사업에 독점으로 ‘발전 제어 및 모니터링 시스템’ 공급해 왔으며 이를 기반으로 풍
신한울 1호기가 14일 경북 울진 신한울원전 부지에서 준공식을 하고 본격 운영에 들어갔다. 이로써 우리나라는 27번째 원자력발전소 보유국이 됐고 신한울 1호기를 포함해 25기의 원전을 가동하고 있다.
2010년 착공 후 12년 만에 가동한 신한울 1호기는 1400㎿ 규모의 차세대 한국형 원전(APR1400)이다. 신한울 1호기 완공으로 국내 발전설비용량
신한울 1호기가 14일 준공식을 하고 본격 운영에 들어갔다. 이날 경북 울진 신한울원전 부지에서 열린 신한울 1호기 준공 기념식 열렸다.
이로써 우리나라는 27번째 원자력발전소 보유국이 됐고 신한울 1호기를 포함해 25기의 원전을 가동하고 있다.
2010년 착공 후 12년 만에 가동을 시작한 신한울1호기는 1400㎿ 규모의 차세대 한국형 원전(APR1
국내 27번째 원자력발전소인 신한울 1호기가 7일부터 상업운전에 들어간다. 착공에 들어간 지 12년 만이다. 겨울철 전력 사용량이 커지는 가운데 신한울 1호기 등 원전 가동이 추가된다면 전력수급에 도움이 될 전망이다.
6일 한국수력원자력은 경북 울진에 있는 신한울 1호기가 7일부터 상업운전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앞서 신한울 1호기는 지난해 7월 9일
“회사는 안정적인 실적을 기반으로 소형모듈원자로(SMR)와 같은 추가적인 미래성장동력도 확보하고 있다. 상장 후 글로벌 종합 정비 솔루션 회사로 도약하고자 한다.”
한봉섭 수산인더스트리 대표가 13일 서울 여의도 63컨벤션센터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말했다. 한 대표는 “빅데이터, 전기차, 5G와 같은 산업이 성장 중인 가운데 충분한 전력 공급
신한울 1호기가 계통연결에 성공하면서 전력 부담이 커지는 여름철 전력 수급에 도움이 될 전망이다.
9일 한국수력원자력은 신한울 1호기가 최초로 계통연결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계통연결은 발전소에서 만들어진 전기를 송전선을 통해 일반 가정과 산업현장에 보내는 것을 뜻한다.
신한울 1호기가 가정까지 전력 보급이 가능해지면서 여름철 하계 전력 수급에 큰 도
“이번 한미 정상회담서 원자력 발전 협력 발표로 우수한 우리 기술이 전 세계에 널리 알려질 것으로 기대합니다.”
노갑선 우리기술 대표는 24일 이투데이와 만난 자리에서 이같이 밝혔다. 우리기술은 1995년 설립된 회사로 원자력 발전소에 필요한 ‘원전계측제어시스템(MMIS)’ 등 감시·경보·제어 장치 시스템의 제조·판매가 주력이다. MMIS는 원전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