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계IB·이코노미스트 간담회"美 등 주요국 정책변화 영향 24시간 점검·대응""WGBI 편입 차질없도록 외환시장 구조개선 지속"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3일 국제신용평가사인 피치의 한국 국가신용등급 유지(AA-·안정적) 결정과 관련해 "한국의 국가신인도에 대한 해외투자자들의 불안이 상당 부분 해소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한국예탁결제원은 자사의 국채통합계좌를 이용 중인 외국인 투자자의 규모가 지난달 말 기준 보관잔고 2조6000억 원, 누적 거래금액 60조 원을 넘어섰다고 11일 밝혔다. 국채통합계좌는 예탁원이 작년 6월 말 국제예탁결제기구와 연계해 구축한 계좌다.
한국 국채가 세계국채지수(WGBI) 편입에 성공한 지난해 10월부터 계좌 이용 수는 급격히 증가했으며,
글로벌 채권 34% 상장된 선진 시장WGBI 편입 전 한국계 채권에 EU 자금 유입 2001년 이후 상장채권 사라졌다 부활한국물 유동성 확대 효과…줄줄이 상장 기대
유럽 국가들의 채권 투자금이 한국계 외화채권(KP·한국물)에 대거 유입될 것이라는 기대가 커지고 있다. 글로벌 상장 채권의 30%가 거래되는 룩셈부르크 증권거래소(LuxSE)가 '금융감독원장
룩셈부르크 증권거래소(LuxSE)가 ‘금융감독원장이 인정하는 해외 주요시장’에 최초 지정됐다.
금융감독원은 "국내 기업의 자금조달을 지원하기 위해 룩셈부르크 증권거래소와 심도 있는 협의를 거쳐 지난달 24일 해당 거래소를 해외 주요시장으로 지정했다"고 21일 밝혔다.
룩셈부르크 거래소는 글로벌 최상위권 국제 채권 거래소다. 런던(14%), 파리(10
기획재정부는 20일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2024년 하반기 적극 행정 우수공무원 시상식'을 진행했다.
적극행정 우수공무원 선발제도는 적극적으로 정책을 마련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높은 성과를 창출하고 책임감을 느끼고 일하는 공직사회를 구현하기 위해 도입됐다. 선발된 공무원에게는 성과급 최고 등급과 성과평가 가점
한국예탁결제원은 지난해 기관 간 환매조건부채권(Repo·레포) 일평균잔액이 209조 원으로 전년 176조 원 대비 18.8% 증가했다고 15일 밝혔다. 거래대금은 3경7285조 원으로 전년 대비 26% 증가했다.
레포 일평균잔액과 거래대금은 2020년부터 꾸준히 상승세를 그려오고 있다. 지난해 기관 레포 잔액은 240조 원을 돌파하며 역대 최고 수준을
지난해 말 국채 금리가 모든 구간에서 연초 대비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금융투자협회가 발표한 ‘2024년 장외채권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연초 3.240%에서 연말 2.596%로 하락했다. 같은 기간 국고채 10년물 금리는 3.306%에서 2.855%로 떨어졌다.
지난해 하반기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와 한국은
우리은행은 국내외 금융환경 변화에 대비하고 새로운 수익원을 확보하기 위해 올해 6월 영국 런던에 트레이딩 센터를 신설한다고 8일 밝혔다.
런던트레이딩 센터는 지난해 7월 설치한 런던 FX 데스크를 기반으로 외환거래(FX), 유가증권, 파생상품 등 자체 자금 운용뿐 아니라 환전, 환 헤지 등 고객 거래 업무까지 수행 가능한 해외 거점점포로 확대 개편할
정부는 1월 국고채 금리가 하락 안정세를 보이는 등 국내 국채시장이 안정적으로 운용되고 있다고 8일 밝혔다.
기획재정부는 이날 언론에 "12월 국고채 금리가 미국 트럼프 행정부 관세 정책 등에 따른 인플레이션 심화 우려 및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올해 정책금리 인하폭 축소 전망 등 영향으로 상승세를 보였지만 1월부터 다시 하락 안정세를 보이고
정부가 올해 외국인 투자 확대를 위해 국내 연구개발(R&D) 센터 설립 등에 투자한 외투기업에 대해 한시적으로 최대 75%까지 현금 보조를 해준다.
또 차질없는 세계국채지수(WGBI) 편입을 위해 야간 국채선물시장 개장 등 '외국인 국채투자 인프라 확충 5대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연초 우리 경제의 대외신인도 제고를 위한 해외 한국경제설명회도 개최한다
기획재정부는 30일 우리은행과 신한은행을 예비 국고채전문딜러(PPD·Preliminary PD)로 신규 지정했다고 밝혔다.
PPD는 PD(Primary Dealer) 지정에 앞서 PD 역량 검증을 위한 예비자격이다. 연간 시장조성·유통실적 등을 평가해 일정기준 이상 충족 시 PD로 전환자격이 부여된다. PD는 발행시장에서 국고채 인수 권한을 부여받아 입
2025년 국고채 발행계획
정부가 내년에 국고채 197조6000억 원을 발행한다.
기획재정부는 30일 내년도 예산과 시장여건 전망 등을 토대로 이러한 내용의 '2025년 국고채 발행계획'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내년 총 발행한도는 197조6000억 원으로 올해 발행량(158조4000억 원)보다 39조2000억 원 증가했다. 이 중 순발행 한도는 80조
여의도 증권가의 2024년은 그저 견뎌야 하는 ‘보릿고개’ 그 자체였다. 증시 안팎으로 각종 사건·사고가 1년 내내 반복되면서 국내 자본시장은 긴장감을 놓을 수 없었다. 한 증권업계 관계자는 “뾰족한 해결책도 없이 격랑에 맞서는 기분이었다”고 했다. 증권가 관계자들은 공통적으로 태영건설의 워크아웃(기업재무구조 개선) 신청부터 기업 밸류업(가치제고) 프로그램
올해 주식발행시장(ECM), 채권발행시장(DCM) 시장은 ‘상고하저’로 정리된다. 국내 자금조달시장은 연초 밸류업(가치 제고) 프로그램과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에 부풀어 포문을 열었다. 코스피 지수는 2900선 코앞까지 다가서며 기업공개(IPO) 훈풍이 불었고, 회사채 발행액은 역대 최대를 경신했다.
그러나 하반기에는 녹록지 않았다. 삼성전자의 위기, 미
기획재정부는 '2024년 기획재정부 정책 MVP' 대상에 '세계국채지수(WGBI) 편입' 정책이 선정됐다고 20일 밝혔다.
기재부는 이날 국민, 전문가, 출입기자단이 뽑은 '2024년 기획재정부 정책 MVP' 선정 결과를 발표했다. 정책 MVP는 기재부가 지난 한 해 동안 추진한 주요 정책들을 대상으로 국민이 직접 투표해 우수정책을 선정하는 소통 창구
선물환포지션 한도가 현행 대비 50% 상향된다. 스트레스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했을 때 적용되는 감독상 조치는 내년 6월까지 유예된다.
기획재정부와 금융위원회, 한국은행, 금융감독원은 20일 김범석 기재부 1차관이 주재한 ‘긴급 거시경제·금융현안 간담회 컨퍼런스콜’에서 이 같은 ‘외환 수급 개선 방안’을 확정했다.
먼저 선물환포지션 한도를 국내은행은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9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간밤 금리 인하를 단행한 것과 관련해 "우리 금융·외환시장도 단기적으로는 변동성이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최 부총리는 이날 서울 중국 전국은행연합회에서 관계기관 합동 '거시경제금융회의'를 개최하고 이같이 밝혔다. 회의에서는 이날 새벽(한국시간) 미국 연방공개시장
김윤상 기획재정부 제2차관은 17일 "국가재정법에 따른 2025~2029년 국가재정운용계획 수립지침과 2025년 장기재정전망 공통 추계지침을 올해 안으로 차질없이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김 차관은 이날 재정운용전략위원회에서 이같이 말했다. 세계국채지수 편입 관련 과제, 부담금 정비현황 및 관리계획, 재정교육 활성화 방안, 해외 재정동향을 논의하기 위해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6일 거시경제금융현안간담회(F4)에서 “증시 밸류업, 세계국채지수(WGBI) 편입, 자본·외환시장 선진화 등 주요 정책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겠다”고 했다. 이어 아세안(동남아시아국가연합)+3(한·중·일) 경제협력·금융안정 포럼에 참석해 “긴급 대응체계가 안정적으로 작동하고 있다”고 했다. 경제6단체장 간담회에선 “투자·
모건스탠리캐피탈 인터내셔널(MSCI) 선진국 지수 편입과 세계국채지수(WGBI) 편입은 자본시장 선진화를 위한 한국의 숙원이었다. MSCI 편입은 올해도 좌절됐지만 노력을 인정받았고, 10월에는 WGBI 편입에 성공하며 올해를 원년으로 선진화를 이룩하나 싶었지만 ‘비상계엄 선포’라는 암초를 만나 도리어 원점에서 더 멀어진 듯한 모습이다.
16일 인베스팅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