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etoday.co.kr/pto_db/2014/12/20141231100110_564977_200_267.jpg)
하지만 그뿐이다. 이번 감사로 대한항공과 유착된 공무원(속칭 ‘칼피아’) 실체가 확인됐지만 국토부는 뿌리깊은 유착관계를 파헤치기보다 사태를 서둘러 봉합하려는 눈치다. 이미 검찰에 구속된 대한항공 출신 계약직 직원인 김모 항공안전감독관을 중징계하는 것 말고는 특별한 조치가 보이지 않는다. 국토부는 특별감사에서 김 조사관과 대한항공의 과거 유착관계는 전혀 조사하지 않았다. 자체 감사를 통해 밝혀진 것만 봐도 사건조사가 여러 면에서 엉터리였음이 드러났지만 국토부는 “현 시점에서 재조사는 부적절하고 추가조사 여부는 검찰 수사 결과에 따라야 할 것 같다”고 잘라 말했다. 잘못이 있지만 더 들춰내지 않겠다는 말에 다름 아니다.
더구나 서 장관은 대국민 사과문에서 “항공감독관 중 1인이 대한항공과 유착됐다”고 말했다. 특별히 ‘1인’이라는 표현을 쓴 것은 국토부의 잘못이 아니라 한 사람의 일탈이 사건의 원인이라는 식이다. 국토부가 적당한 꼬리자르기로 사건을 일단락지으려는 것이 아닌지 의구심이 들게 한다.
이번 사건을 보면 지난 4월 온 국민을 슬픔에 빠뜨렸던 세월호 참사가 떠오른다. 세월호 참사의 이면에는 해양수산부와 해운업계의 유착으로 부실해진 감독체계가 똬리를 틀고 있었다. 국토부가 이번 사건에서 뼈저린 교훈을 얻지 못한다면 또 다른 사고가 발생하지 않으리라는 보장이 없다. 내년 초 내놓기로 한 재발방지 대책만큼은 진정성 있는 반성이 담기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