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동제약의 지배구조가 어떻길래 녹십자가 경영권 참여 의사를 밝혔을까. 지난해 녹십자 측의 반대로 지주사 전환이 무산된 일동제약에 녹십자가 이사진 선임을 요구하며 경영권 참여 의사를 밝힌 가운데, 일동제약의 지배구조에 관심이 쏠린다.
![](https://img.etoday.co.kr/pto_db/2015/02/20150209010021_585357_520_210.jpg)
9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현재 일동제약의 최대주주는 씨엠제이씨라는 회사로 지분 8.34%를 보유하고 있다. 윤원영 일동제약 회장의 개인 회사격인 이 회사는 2003년 2월 26일 케이비네트웍스로 설립된 후 2010년 3월 16일 씨엠제이씨로 상호가 바뀌었다.
이 회사는 경영컨설팅 및 전자부품 도매업을 주업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최대주주는 윤원영 회장으로 지분 100.0%를 갖고 있다. 등기임원은 사내이사 3명으로 구성돼 있는데, 이 회사 대표이사인 윤 회장과 부인인 임경자씨, 장남 윤웅섭 사장이다. 사실상 윤 회장 일가가 이 회사를 소유하고 경영을 맡고 있는 것이다.
일동제약의 사실상 지배주주인 윤 회장의 지분은 6.42%로 가족 중 가장 많다. 부인 임경자씨 2.63%, 장남 윤웅섭 사장 1.63%, 장녀 윤혜진씨 0.22%, 차녀 윤영실씨는 0.09%를 각각 보유하고 있지만, 윤 회장 가족이 보유한 지분 중 자녀 보유 지분은 1.94%에 불과하다.
관련 뉴스
이 밖에 계열사인 일동후디스(지분율 1.36%), 이금기 일동후디스 회장(5.47%), 이정치 일동제약 대표이사 회장(1.16%), 일동제약 창업주인 故 윤용구 회장의 유지를 기려 설립한 장학재단 송파재단(3.04%) 등이 특수관계인에 이름을 올리고 있다. 씨엠제이씨와 윤 회장을 비롯한 특수관계인 16인의 지분을 모두 합한 최대주주 측 지분은 32.52%다.
특히 지난해 말 정연진 일동제약 대표이사 부회장이 장내에서 3000주를 추가로 사들이면서 정 부회장의 보유 주식수는 기존 7000주에서 1만주로 늘어났다. 이로 인해 최대주주 측 지분은 32.50%(지난해 3분기 기준)에서 32.52%로 증가했다.
윤 회장 일가를 비롯한 최대주주 측과 2대 주주인 녹십자 측(29.36%)과의 지분 격차는 단 3.16%P에 불과한 상황으로 적대적 M&A(인수·합병) 등 일동제약의 경영권 분쟁 불씨는 여전히 남아 있는 상황이다. 특히 지난해 초 녹십자 측이 추가로 지분을 확보하면서 당시 보유 목적을 ‘단순 투자’에서 ‘경영 참여’로 변경, 적대적 M&A를 염두에 둔 것 아니냐는 해석도 제기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