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G3 전용 VR’ 써보니… “가볍고 휴대 간편, 몰입도 괜찮네”

입력 2015-02-23 16:3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LG전자가 구글과 합작해 선보인 G3 전용 가상현실(VR)기기 ‘VR for G3’(사진=LG전자)

LG전자가 구글과 합작해 G3 전용 가상현실(VR)기기 ‘VR for G3’를 선보였다. 이 제품은 국내 G3 신규 구매 고객을 대상으로 무상 제공되고 있다.

G3 전용 VR는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져 가볍고 조립이 간편하다. 제품은 렌즈가 달린 부분과 G3를 장착하는 부분, 그리고 이를 잇는 부분 등 총 3개의 플라스틱 부품으로 구성돼 있다. 평상시에는 플라스틱 상자 형태로 제품을 보관하다 사용시 3개의 부품을 간단하게 조립하면 된다.

G3 전용 VR는 무료 증정제품임에도 꽤 괜찮은 성능을 자랑한다.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카드보드 애플리케이션을 내려받아 콘텐츠를 재생하자 풍경이 바로 눈 앞에 펼쳐지는 듯했다. 몰입도도 나쁘지 않다. 유튜브 뮤직비디오를 재생하자 영화관의 커다란 스크린으로 감상하는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

▲LG전자가 구글과 합작해 선보인 G3 전용 가상현실(VR)기기 ‘VR for G3’(사진=LG전자)

이 제품은 구글의 카드보드(VR기기 설계도면)을 토대로 만들어졌다. 구글은 2014년 개발자회의(I/O)에서 스마트폰 사용자들이 저렴한 가격으로 가상현실을 쉽게 체험하도록 카드보드 오픈소스를 공개한 바 있다. 카드보드가 골판지로 된 반면에, LG전자는 플라스틱 소재로 기기 내부에 ‘G3’ 스마트폰을 탈부착할 수 있는 VR for G3를 만들었다.

LG전자는 구글 플레이스토어 유료 VR앱인 ‘로보블리터레이션(Robobliteration)’ 데모 게임을 무료로 제공할 예정이다. 사용자가 V3 for G3의 종이 매뉴얼에 있는 QR코드를 스캔하면 바로 내려받을 수 있다.

LG가 무상으로 제공하는 만큼 삼성전자의 기어VR와 비교는 무리다. 다만, 형태가 쉽게 망가질 수 있고, 내구성이 떨어지는 구글의 골판지 카드보드에 비해 튼튼하다는 점과 무료로 VR 기기를 체험할 수 있다는 점은 G3를 구매하는 소비자에게 매력적일 것으로 보인다.

▲LG전자가 구글과 합작해 선보인 G3 전용 가상현실(VR)기기 ‘VR for G3’ 뒷면 모습.(사진=LG전자)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새 학기 전 내 아이 안경 맞춰줄까…‘서울 어린이 눈건강 지킴이 사업’ 신청방법은 [경제한줌]
  • "TV만 틀면 나온다"… '다작의 아이콘' 전현무가 사는 '아이파크 삼성'은 [왁자집껄]
  • 단독 “판사 여기 숨어 있을 거 같은데”…‘서부지법 사태’ 공소장 보니
  • '국가대표' 꾸려 AI 모델 개발 추진…"중·소·대기업 상관없이 공모" [종합]
  • [날씨] 전국 맑고 '건조 특보'…시속 55km 강풍으로 체감온도 '뚝↓'
  • 트럼프發 반도체 패권 전쟁 심화…살얼음판 걷는 韓 [반도체 ‘린치핀’ 韓의 위기]
  • 창업 도전 해볼까…카페 가맹점 평균매출액 1위는? [그래픽 스토리]
  • ‘나는 솔로’ 24기 광수, 女 출연자들에 “스킨쉽 어떠냐”…순자 “사기당한 것 같아”
  • 오늘의 상승종목

  • 02.2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3,786,000
    • +0.55%
    • 이더리움
    • 4,059,000
    • +0.1%
    • 비트코인 캐시
    • 477,800
    • +0.04%
    • 리플
    • 3,990
    • +4.23%
    • 솔라나
    • 254,600
    • +0.43%
    • 에이다
    • 1,163
    • +1.31%
    • 이오스
    • 950
    • +2.59%
    • 트론
    • 355
    • -2.2%
    • 스텔라루멘
    • 503
    • +1.21%
    • 비트코인에스브이
    • 56,650
    • +0%
    • 체인링크
    • 26,900
    • -0.41%
    • 샌드박스
    • 545
    • +0.7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