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하반기부터 국제유가가 하락세를 나타내자 미국 내에서는 뜻하지 않게 발생한 소비여력으로 ‘개인 소비’가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된 바 있다. 이에 미국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역시 상승할 것이라는 낙관론이 흘러나오기도 했다. 미국 GDP에서 개인 소비지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68.5%에 달한다. 그러나 시장의 예상과는 달리 미국 소비지출은 2개월 연속 감소했다.
지난 1월 미국 가계 소비지출은 전월 대비 0.2% 감소해 지난해 12월 0.3% 줄어든 것에 이어 2개월 연속 감소한 것이다. 시장 전문가들은 0.1%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미국인 전체 하루 소비 휘발유 값은 10억 달러(약 1조1000억원)에 달하고 가구당 연간 평균 기름 소비량은 1200갤런(4542리터) 다. 이런 상황에서 유가 하락은 지난해 760억 달러의 소비여력을 발생시킨 것으로 보여 미국 지난해 4분기 경제성장률이 0.5%포인트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또 올해 개인 소비 역시 700억 달러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다. 이는 가구당 1100~1200달러가량의 추가 소비여력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미국 경제를 바라보는 개개인의 심리가 여전히 얼어붙어 있어 전망과 달리 개인 소비는 늘어나지 않았다. 뉴욕타임스(NYT)는 지난 1월 개인 임금이 올랐지만, 소비가 늘어나지 않고 저축률이 최근 2년 새 가장 높은 5.5% 수준까지 올라간 것은 얼어붙은 심리를 명확하게 설명하고 있는 현상이라고 전했다. 개인들이 불투명한 미래를 우려해 소비보다는 저축에 눈길을 준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