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IT기업의 소액지급서비스 시장 진입이 확대됨에 따라 지급결제 관련 국제 표준의 도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김규수 한국은행 금융결제국 팀장은 9일 한국금융학회와 한국금융연구원이 공동주최한 정책 심포지엄에서 ‘지급결제 혁신 동향과 정책과제’를 발표하며 이 같이 밝혔다.
현재 유럽연합(EU)은 ‘유로화 입출금이체에 대한 규정’에서 금융기관 등 지급결제서비스 제공자와 대량이체서비스를 이용하는 대기업이 지난해 2월까지 금융 메시지 표준인 IS0 20022를 도입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예로 들며 김 팀장은 “국내에서도 장기적으로 국제 표준을 도입해 국가간 지급거래 정보의 상호 호환성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다만 “기존 시스템 이용자 부담이 큰 만큼 단계적인 도입 방안도 모색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김 팀장은 이와 함께 소액결제 혁신을 통한 지급결제시스템의 효율성 제고 및 안정성도 강화하고, 금융과 IT융합 활성화를 지원해야할 것도 강조했다.
김 팀장은 “2000년대 후반부터 영국, 스웨덴, 싱가포르 등 주요국이 소액결제시스템 개편을 통해 실시간 자금이체 서비스를 도입하고 있다”고 상황을 설명했다.
김 팀장은 스마트폰 사용 확산에 따른 국내 모바일 결제 서비스 시장 확대도 주목할 점으로 꼽았다. 국내 모바일뱅킹 서비스 등록고객수는 2009년말 약 1000만명 수준에서 2014년말 6000만명 수준으로 급증 했다. 자금이체 규모 또한 빠르게 증가해 지난해 일평균 1조8000억원(271만건)을 기록했다.
그는 “국내외 IT기업의 소액지급서비스 시장 진입이 확대되고 있으며 점차 은행 고유의 영역인 대출 등 금융서비스로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고 했다.
가상화페에 의한 지급결제 생태계의 변화도 변수로 지목됐다. 김 팀장은 “최근 가격 하락세 및 보안사고가 빈발함에도 비트코인 관련 기술을 활용한 서비스가 개발되면서 지급결제 생태계가 지속적으로 확장되고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