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한 생각] 4월 24일 융융설설(融融泄泄) 여러 사람들이 기뻐하는 모습

입력 2015-04-24 13:2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임철순 주필 겸 미래설계연구원장

중국 춘추시대에 정(鄭) 무공(武公)이 죽은 뒤 장남 오생(寤生)이 즉위했다. 그가 장공(莊公)이다. 장공의 어머니 무강(武姜)은 낳을 때 고생이 컸던 오생을 미워하고 둘째 공숙단(共叔段)을 편애했다. 그런데 기대와 달리 공숙단이 왕이 되지 못하자 장공에게 졸라 나라에서 가장 큰 성을 주게 했다.

공숙단은 어머니의 총애를 업고 쿠데타를 기도했다. 장공도 알고 있었으나 참고 기다렸다. 그러다가 공숙단이 도성을 공격하고 무강이 내응하기로 날짜를 정했다는 확실한 정보가 들어오자 토벌했다. 패주한 공숙단은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장공은 황천(黃泉)에 가기 전에는 결코 어머니를 만나지 않겠노라고 공언했다. 그러나 바로 후회했다. 영고숙(潁考叔)이라는 신하가 그 마음을 알고 “땅 밑에 큰 굴을 파면 샘물[泉水]이 나올 것이니 그게 바로 황천이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장공은 곧 굴을 파게 한 뒤 그 안에서 어머니를 만나고 “큰 굴 속에 기쁨이 넘치는구나”[大隧之中 其樂也融融]라고 노래했다. 무강도 “큰 굴 밖에 즐거움이 퍼지네”[大隧之外 其樂也泄泄]라고 화답해 모자의 정이 이어졌다. 융융설설(融融泄泄)이라는 성어의 유래다. ‘춘추좌씨전’ 은공(隱公) 원년 조에 나온다.

성호 이익의 시 ‘이견대’(利見臺)에는 “자애로운 어버이와 아들이 만나/옛 은혜와 새 기쁨이 편안하고 화락하네”[慈猿哺烏共盍簪 舊恩新懽方洩融]라는 대목이 있다. 편안하고 화락하다는 예융(洩融)은 예예융융(洩洩融融) 또는 융융예예(融融洩洩)의 준말이다. 융융설설과 같다.

뜻은 같은데 왜 글자가 다를까. 훨씬 후대인 명나라 때 편찬된 ‘열국지’에 ‘춘추좌씨전’과 달리 泄泄(설설) 대신 洩洩(예예)로 쓰여 있기 때문이 아닌가 싶다. 洩는 샐 설, 퍼질 예, 두 가지로 발음된다. 融融泄泄에 융융예예라고 음을 붙인 책도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국내보다 낫다"…해외주식에 눈 돌리는 대학생 개미들 [데이터클립]
  • "웃기려다가 나락"…'피식대학'→'노빠꾸 탁재훈'이 보여준 웹예능의 퇴보 [이슈크래커]
  • K-푸드, 수출 주역으로 '우뚝'…10대 전략산업 넘본다 [K-푸드+ 10대 수출 전략산업②]
  • "서울 집값·전세 계속 오른다"…지방은 기대 난망 [하반기 부동산시장 전망①]
  • 테더 공급량 감소에 '유동성 축소' 위기…FTX, 채권 상환 초읽기 外 [글로벌 코인마켓]
  • 피겨 이해인 "미성년 성추행 사실 아냐…부모님 반대로 헤어진 후 다시 만나"
  • 단독 “1나노 공정 준비 착착”…삼성전자, ‘시놉시스’와 1나노 IP 협업 진행 중
  • 셔틀버스 ‘만원’, 접수창구 순조로워…‘무기한 휴진’ 세브란스병원 [가보니]
  • 오늘의 상승종목

  • 06.2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5,485,000
    • -1.5%
    • 이더리움
    • 4,744,000
    • -0.71%
    • 비트코인 캐시
    • 523,500
    • -2.15%
    • 리플
    • 658
    • -1.35%
    • 솔라나
    • 191,000
    • -0.83%
    • 에이다
    • 535
    • -2.19%
    • 이오스
    • 802
    • -0.87%
    • 트론
    • 173
    • +0%
    • 스텔라루멘
    • 125
    • -2.34%
    • 비트코인에스브이
    • 61,500
    • -3%
    • 체인링크
    • 19,250
    • -3.85%
    • 샌드박스
    • 465
    • -1.4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