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 연령층에도 암 발생된다, 비갱신형 암보험 준비할땐 비교추천 필수

입력 2015-04-27 11:1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현대인들에게 암이란 인식이 달라졌다. 예전에 비해 의료기술이 발전된 지금 암 발병율이 매 년마다 증가하고, 암 종류까지 그 범위가 확대되면서 죽음에 대한 두려움 보다 암 발생에 따른 치료비용 부담이 67%로 자리잡았다. 스트레스 및 서구화식습관이 암을 불러일으키는 주요원인으로 알려지면서 젊은 연령층에서도 안심할 수 없다. 암 진단을 받은 사람들 중 80%가 치료기간이 길다 보니 직장을 그만둔다고 하여 암 발생으로 인한 가정경제의 위협으로도 다가왔다.

누구에게나 찾아올 수 있기에 암에 대한 고통만큼 치료비 부담을 덜고자 그 대안으로 암 보험에 관심이 주목된다. 하지만 가입 시 알아야 할 체크사항이 몇 가지 있다.

암 보험 추천 상품에 가입 시 보장금액 및 보장한도를 확인해보자. 암 진단금의 보장한도는 암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데 작게는 1,000만원에서 고액암은 최고 8,000만원까지 치료비가 들어간다.

최근 암 발병이 늘어나면서 보험금 지급이 증가하여 암 진단금 및 보장범위가 축소되는 상품들이 많아지고 있다. 때문에 진단금은 적게는 2,000만원부터 높게는 1억원까지 보장이 되기에 꼼꼼히 비교해 볼 필요가 있다.

그리고, 지속적인 암 치료를 위해 소득을 상실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여 암 진단자금은 생활비용으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그렇다고 진단금을 높이면 보험료가 올라갈 수 있으니, 부담되지 않도록 암 보험상품을 가입해야 한다.

암 보험은 갱신형과비갱신형이 있는데, 갱신형은 가입 시 보험료가 저렴할 수 있으나, 갱신할 때마다 나이와 병력에 따라 보험료가 상승되어 암 발병율이 높은 연령일수록 최대 4배 이상 차이가 난다. 비갱신형은 처음 보험료 그대로 만기 까지 동일하지만 갱신형 보다 가입시 보험료가 조금 더 높다. 그러나, 누적된 보험료를 계산했을 때 비갱신형암 보험 상품이 저렴한 보험 상품이다.

암 보험은 90일간의 면책기간이 주어진다. 이는 생명보험사, 손해보험사 모두 동일하게 적용되며 암 진단을 받은 후 진단금을 받기 위해 암 보험 상품에 가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니, 반드시 암 보험 가입 후 90일 이후 암 진단을 받아야 한다.

암 보험은 자신에게 유리한 상품을 고르기 위해 암 보험 비교를 해야 한다. 가입자의 나이, 병력, 가족력 등의 조건에 따라 보장금액, 보험료가 달라지므로 보험비교사이트에서 암 보험 가입 순위 가격비교를 반드시 해야 한다.

최근 예정이율 인하로 보험료가 인상될 수 있다. 보험사별로 다르기 때문에 전문가의 상담을 받는 것도 좋다. 한편, 암 보험 비교추천사이트(http://cancer-bohum114.com/?inType=291138)에서는 여러 보험사의 상품을 비교 및 실시간 보험료 계산을 할 수 있으며 전문가를 통해 메리츠화재, 한화손해보험, 현대해상, 동부화재, 삼성화재, 흥국화재, 동양생명, 삼성생명, AIA생명 등 암 보험 상품 가입순위에 따른 비교가입을 받을 수 있어 소비자들에게 도움을 주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법사ㆍ○○아씨 넘쳐나는데…요즘 '무당집', 왜 예약이 힘들까? [이슈크래커]
  • 새 학기 전 내 아이 안경 맞춰줄까…‘서울 어린이 눈건강 지킴이 사업’ 신청방법은 [경제한줌]
  • "TV만 틀면 나온다"… '다작의 아이콘' 전현무가 사는 '아이파크 삼성'은 [왁자집껄]
  • 단독 “판사 여기 숨어 있을 거 같은데”…‘서부지법 사태’ 공소장 보니
  • '국가대표' 꾸려 AI 모델 개발 추진…"중·소·대기업 상관없이 공모" [종합]
  • 트럼프, 관세 시간표 앞당기고 목재도 추가…“전략비축유 빨리 채울 것”
  • 국정 1·2인자 대면 무산…韓 “국무회의, 흠결 있지만 판단은 사법부가 해야”
  • 창업 도전 해볼까…카페 가맹점 평균매출액 1위는? [그래픽 스토리]
  • 오늘의 상승종목

  • 02.2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3,965,000
    • +0.66%
    • 이더리움
    • 4,060,000
    • +0%
    • 비트코인 캐시
    • 478,000
    • +0.17%
    • 리플
    • 4,006
    • +4.57%
    • 솔라나
    • 255,300
    • +0.59%
    • 에이다
    • 1,167
    • +2.64%
    • 이오스
    • 949
    • +2.71%
    • 트론
    • 356
    • -1.93%
    • 스텔라루멘
    • 505
    • +1.61%
    • 비트코인에스브이
    • 56,550
    • -0.18%
    • 체인링크
    • 26,970
    • +0.19%
    • 샌드박스
    • 547
    • +1.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