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3일 청와대가 전날 국회법 개정안 반대 입장 묵살을 이유로 당정협의 중단을 시사한 데 대해 “의견이 다르다고 회의를 안한다는 것은 잘못된 일”이라고 비판했다.
김 대표는 이날 서울대 특강을 마친 후 기자들과 만나 “안 만나다가도 일이 생기면 만나서 상의해서 협조하는 게 당정청”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당정청 회의를 열어서 잘못된 것에 대해 서로 의견을 교환하고 수습책을 강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승민 원내대표도 당 최고위원·중진 연석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청와대측이 전날 당정협의 회의론을 제기한 이후 청와대와 연락을 했느냐는 질문에 “그런 건 없었지만, 어른스럽지 못한 이야기라 생각한다”고 답했다.
청와대를 비난하는 목소리는 비박(비박근혜) 의원들을 중심으로 잇달아 터져나왔다.
이재오 의원은 이날 회의에서 “당정청 협의를 못하겠다고 할 때냐”면서 “싸우다가도 중대 사태가 터지면 즉각 중단하고, 못 참을 일이 있으면 지도부를 불러서 서운하다고 하고 소통을 잘하자고 하는 게 맞다”고 일침을 놨다.
정병국 의원도 청와대의 당정 협의 중단 시사에 대해 “어떻게 이런 이야기가 나올 수 있냐”고 반문했다.
새누리당은 최고위원·중진 연석회의 결과를 바탕으로 메르스 방역 대책을 위해 긴급 당정청 회의 개최를 제안키로 했다.
한편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전날 공무원연금개혁 협상 당시 국회법 개정 불가 의사를 전했음에도 새누리당이 국회법 개정안 처리를 강행했다면서 “당정협의를 하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는지 모르겠다. 이번 분위기 하에서라면 당정이 국정현안을 놓고 조율하는 것이 어떤 의미가 있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