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챔피언스리그]유벤투스 물리친 바르셀로나, 역대 최초 '두 번째 트레블' 달성…역대 트레블 달성 사례는?

입력 2015-06-07 08:0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챔피언스리그' '바르셀로나 유벤투스' '트레블'

▲유벤투스를 물리치고 올시즌 트레블을 달성한 바르셀로나(사진=AP/뉴시스)

7일 새벽(한국시간) 독일 베를린 올림피아슈타디온에서 2014-2015 유럽축구연맹(UEFA) 챔피언스리그 결승전에서 바르셀로나가 유벤투스 투린을 3-1으로 물리치고 통산 5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바르셀로나는 이날 유벤투스를 상대로 전반 4분만에 안드레스 이니에스타의 도움을 받은 이반 라키티치가 선제골을 기록해 전반을 1-0으로 앞선 채 마쳤다. 후반들어 10분만에 알바로 모라타에게 동점골을 허용했지만 후반 23분 루이스 수아레스가 역전골을 성공시켰고 후반 추가시간에는 네이마르가 또 한 골을 기록해 3-1로 승리했다.

바르셀로나는 이로써 올시즌 프리메라리가와 국왕컵(코파 델 레이)에 이어 챔피언스리그 우승까지 차지하며 트레블을 달성했다. 트리플로도 불리는 트레블은 자국 리그 우승과 컵대회를 제패하고 챔피언그리그 우승까지 차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챔피언그리그가 아닌 유로파리그에서 우승하는 경우와 비교해 챔피언스리그 우승이 포함된 트레블을 '큰 트레블', 유로파리그가 포함된 트레블을 '미니 트레블'로 나누기도 한다.

올시즌 이전까지 트레블은 총 7번 있었다. 서로 7개팀이 각각 한 차례씩 차지했던 바 있다. 하지만 바르셀로나는 2008-09 시즌에 이어 또 한 차례 트레블을 달성해 최초로 두 번의 트레블을 이룩한 팀이 됐다.

역대 최초의 트레블은 1966-67 시즌 스코틀랜드의 명문 셀틱 글래스고가 차지했다. 이후 1971-72 시즌 아약스 암스테르담이 차지했고 이후 1987-88 시즌 PSV 에인트호벤, 1998-99 시즌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2008-09 시즌 바르셀로나, 2009-10 시즌 인터 밀란, 2012-13 시즌 바이에른 뮌헨 등이 차례로 기록했던 바 있다.

한편 유벤투스로서는 리그 우승과 코파 이탈리아 우승을 차지한데 이어 구단 역사상 최초로 트레블 달성을 노렸지만 챔피언스리그에서 준우승을 머물러 아쉬움을 남겼다. 유벤투스는 이번 시즌을 포함해 통산 8번째 챔피언스리그 결승전에 올라 두 차례 우승을 차지한 바 있다.

'챔피언스리그' '바르셀로나 유벤투스' '트레블'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尹 탄핵사건, 4일 오전 11시 생중계 선고…역대 최장 심리 기록
  • 장제원 전 의원 사망…강동구 오피스텔서 발견
  • ‘14명 아빠’ 일론 머스크, 또 한국 때린 이유 [해시태그]
  • "벚꽃 축제 가볼까 했더니"…여의도 벚꽃길, 무사히 걸을 수 있나요? [이슈크래커]
  • 김수현, 카톡 공개에 되레 역풍?…'김수현 방지법' 청원도 등장
  • [트럼프 상호관세 D-1] ‘기울어진 운동장’ 안 통했다…韓 IT업계 촉각
  • "신혼부부의 희망?"…'미리내집'을 아시나요 [왁자집껄]
  • "지브리 풍 이렇게 인기인데"…웹3, 애니메이션으로 돌파구 찾을까 [블록렌즈]
  • 오늘의 상승종목

  • 04.0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6,224,000
    • +2.31%
    • 이더리움
    • 2,830,000
    • +3.63%
    • 비트코인 캐시
    • 459,900
    • +1.61%
    • 리플
    • 3,173
    • +1.24%
    • 솔라나
    • 188,200
    • +0.53%
    • 에이다
    • 1,006
    • +2.65%
    • 이오스
    • 1,013
    • +9.28%
    • 트론
    • 353
    • -1.12%
    • 스텔라루멘
    • 406
    • +2.27%
    • 비트코인에스브이
    • 47,800
    • +1.23%
    • 체인링크
    • 21,040
    • +3.75%
    • 샌드박스
    • 409
    • +0.9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