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 제4차 핵심과제회의… “농수산업은 대박산업”

입력 2015-07-06 20:5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박근혜 대통령은 6일 “농어촌이 고령화, 인력부족, 시장개방 등으로 어렵다고 하지만 생각을 바꾸면 행동이 바뀌고, 행동이 바뀌면 운명이 바뀐다"며 "농수산업은 미래성장 엔진이자 대박산업”이라고 밝혔다.

박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농수산업 미래성장 산업화’ 등을 주제로 제4차 핵심과제 점검회의를 주재하면서 △농수산업과 ICT 등 첨단과학기술의 융합 △농수산업의 수출산업화 △창조경제혁신센터 등과 연계한 거미줄 같은 창업지원 네트워크 구축 등을 당부했다.

박 대통령은 “‘컴퓨터로 먹고살 수는 없다’고 누가 그랬다. 농어업은 인류역사가 있는 한 영원히 (계속될 것)”이라며 “농수산업은 먹을거리를 제공하는 기초산업이고, 식품산업이 IT보다 더 유망한 시장”이라고 강조했다.

또 우리 김치의 중국 수출을 위한 한중 양국간 검역 협의가 막바지 단계에 이르렀다는 점을 언급하면서 “우물을 팔때 아흔아홉 길을 파더라도, 나머지 한 길이 모자라면 물을 만날 수 없고 아흔아홉 길이 모두 허투루 된다”고 양국간 검역 협의의 조속한 마무리를 당부했다.

박 대통령은 ‘창조경제 핵심성과 창출’ 과제를 점검하면서 “창업에서 성장, 재투자로 이어지는 민간투자 선순환 구조를 강화하고, 우수인력이 창업·벤처기업으로 몰려들도록 해야 한다”며 “M&A(인수합병) 시장과 스톡옵션 활성화를 위한 획기적 대책을 마련하라”고 지시했다.

박 대통령은 “출연연구소와 대학이 보유한 우수한 성과가 장롱 속에 사장되지 않고, 기술이전과 창업으로 연계되도록 직접 기업을 찾아가 수요를 발굴해 지원하는 노력을 해야 한다”며 “유망 창업기업이 글로벌 시장에 잘 진출하도록 지원하는 체계를 강화해달라”고 당부했다.

박 대통령은 “창조경제혁신센터가 특색있게, 그 지역에 맞게 잘 만들어졌는데 앞으로 남은 2∼3개 센터를 잘 마무리짓고 그다음부터는 성과를 계속 내도록 하는 더 무거운 숙제가 남아있다”며 “각 부처 및 지역사업을 연계해 창업, 성장 등 단계별로 원스톱으로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새 학기 전 내 아이 안경 맞춰줄까…‘서울 어린이 눈건강 지킴이 사업’ 신청방법은 [경제한줌]
  • "TV만 틀면 나온다"… '다작의 아이콘' 전현무가 사는 '아이파크 삼성'은 [왁자집껄]
  • 단독 “판사 여기 숨어 있을 거 같은데”…‘서부지법 사태’ 공소장 보니
  • '국가대표' 꾸려 AI 모델 개발 추진…"중·소·대기업 상관없이 공모" [종합]
  • [날씨] 전국 맑고 '건조 특보'…시속 55km 강풍으로 체감온도 '뚝↓'
  • 트럼프發 반도체 패권 전쟁 심화…살얼음판 걷는 韓 [반도체 ‘린치핀’ 韓의 위기]
  • 창업 도전 해볼까…카페 가맹점 평균매출액 1위는? [그래픽 스토리]
  • ‘나는 솔로’ 24기 광수, 女 출연자들에 “스킨쉽 어떠냐”…순자 “사기당한 것 같아”
  • 오늘의 상승종목

  • 02.2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3,957,000
    • +0.74%
    • 이더리움
    • 4,058,000
    • +0.3%
    • 비트코인 캐시
    • 480,200
    • +0.73%
    • 리플
    • 3,994
    • +4.5%
    • 솔라나
    • 254,900
    • +0.95%
    • 에이다
    • 1,162
    • +2.02%
    • 이오스
    • 951
    • +2.7%
    • 트론
    • 353
    • -3.02%
    • 스텔라루멘
    • 504
    • +1.41%
    • 비트코인에스브이
    • 56,800
    • +0.62%
    • 체인링크
    • 26,880
    • -0.33%
    • 샌드박스
    • 548
    • +1.2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