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 “개방·융합·혁신으로 글로벌 연구중심병원 지향”

입력 2015-07-15 09:5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16일 의학연구혁신센터 개소, 신약·신의료기술 개발 혁신적 단축

▲서울대병원 의학연구혁신센터 전경.(사진제공= 서울대학교병원)
서울대병원(병원장 오병희)은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중심병원으로의 성장을 목표로, 신 개념 의학연구의 플랫폼이 될 의학연구혁신센터를 오는 16일 개소한다.

의학연구혁신센터(CMI, Center for Medical Innovation)는 개방과 융합, 혁신을 바탕으로 산업계, 대학, 연구소와 병원이 R&D 전 과정을 초기단계부터 공동으로 진행하는 의학연구를 수행하게 된다.

2012년 5월 착공한 의학연구혁신센터는 지상 4층, 지하 5층에 연면적 3만1261㎡ 규모로 623억 원의 사업비가 투입됐다.

서울대병원은 지난 2013년 연구중심병원으로 지정된 후, 임상연구 및 중개연구 중심으로 조직을 대대적으로 개편했고, 의학연구혁신센터에는 중개의학연구소의 주요 부서가 자리 잡고 있다.

산학연 융·복합 연구 수행을 위해 신설된 중개의학연구소 융합연구협력부 산하에는 중개의학연구의 핵심인 바이오마커(단백질이나 DNA, RNA(리복핵산), 대사물질 등을 이용해 몸 안의 변화를 알아낼 수 있는 지표)센터를 만들었다.

또 고가 장비인 3D 프린터를 도입, 의료기기의 아이디어 구현 및 디자인·개발을 자문하고 신속한 시제품을 구현 가능케 하는 디자인 스튜디오·기계공작실이 있다.

아울러 인체자원은행, 암조직은행, 뇌은행(신설 예정)으로 구성된 SNUH 바이오뱅크가 중개의학연구소장 산하 독립기구로 있다.

뿐만 아니라, 서울대병원 내 의료정보와 의과학 연구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수집 및 저장해 연구자원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임상의과학정보실이 지난해 신설됐다.

의학연구혁신센터에는 총 200명의 교수가 벤치를 분양 받아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500여 명의 상주 연구원과 연구지원인력이 있다.

의학연구혁신센터의 가장 큰 특징은 산(産)·학(學)·연(硏)·병(病) 간의 혁신적이고 유기적인 협력이다.

이전까지는 각 기관들의 탐색, 연구, 위탁, 임상, 제품화 등이 단계적이고 개별적이었다. 그러나 의학연구혁신센터에서는 ‘환자치료를 위한 신제품 개발’이라는 목표 아래 제약산업계-학교-연구소-병원 등이 개방과 융합을 통해 효율적이고 상호보완적이며 수평적인 네트워크를 구성하게 된다.

연구소에서 신약후보 물질을 찾아내 제약 스폰서를 거쳐 병원에서 마지막으로 임상시험을 진행하는 것이 기존의 임상연구였다면, 앞으로는 질병을 기반으로 임상의료 기술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처음부터 끝까지 함께 참여해 통합적 연구개발을 하는 중개연구 등이 활발하게 이뤄질 수 있게 됐다.

방영주 의생명연구원장은 “의학연구혁신센터는 개방과 융합을 기반으로 하는 혁신적인 플랫폼으로서 한국형 연구중심병원과 HT(health technology) 클러스터를 구축하는 시작점이 될 것”이라며 “세계 유수 병원 사례와 같이 연구를 통한 수익 창출이라는 새로운 개념의 모델을 실현하는 구심점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했다.

오병희 서울대병원장은 “서울대병원은 국가중앙병원으로서 의학연구혁신센터를 기반으로 글로벌 연구중심병원으로 성장하고 우리나라가 HT의 세계적인 강자가 될 수 있도록 연구개발에 있어서 그 역할을 다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서울대병원은 식약처 승인 임상시험 누적 승인 건수에서 수년간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매년 2400여 편 이상의 SCI 논문 게재 등 탁월한 연구업적을 쌓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尹 탄핵사건, 4일 오전 11시 생중계 선고…역대 최장 심리 기록
  • 장제원 전 의원 사망…강동구 오피스텔서 발견
  • ‘14명 아빠’ 일론 머스크, 또 한국 때린 이유 [해시태그]
  • "벚꽃 축제 가볼까 했더니"…여의도 벚꽃길, 무사히 걸을 수 있나요? [이슈크래커]
  • 김수현, 카톡 공개에 되레 역풍?…'김수현 방지법' 청원도 등장
  • [트럼프 상호관세 D-1] ‘기울어진 운동장’ 안 통했다…韓 IT업계 촉각
  • "신혼부부의 희망?"…'미리내집'을 아시나요 [왁자집껄]
  • "지브리 풍 이렇게 인기인데"…웹3, 애니메이션으로 돌파구 찾을까 [블록렌즈]
  • 오늘의 상승종목

  • 04.0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6,243,000
    • +2.4%
    • 이더리움
    • 2,833,000
    • +3.77%
    • 비트코인 캐시
    • 460,100
    • +2%
    • 리플
    • 3,176
    • +1.5%
    • 솔라나
    • 188,500
    • +0.69%
    • 에이다
    • 1,007
    • +2.76%
    • 이오스
    • 1,014
    • +9.5%
    • 트론
    • 352
    • -1.12%
    • 스텔라루멘
    • 406
    • +2.53%
    • 비트코인에스브이
    • 47,800
    • +1.31%
    • 체인링크
    • 21,020
    • +3.85%
    • 샌드박스
    • 410
    • +1.2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