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etoday.co.kr/pto_db/2015/07/20150722113126_680536_600_354.jpg)
(표=환경부)
녹색제품은 환경마크 또는 우수재활용(GR, Good Recycle) 인증을 받은 제품으로, 환경오염 저감, 에너지 자원ㆍ절약, 인체 유해성 예방 등의 환경적 편익이 높은 제품을 말한다.
이 같은 실적은 2004년 ‘녹색제품 구매촉진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고 공공기관의 녹색제품 의무구매 제도가 도입된 이후 가장 큰 규모이며 2004년 녹색제품 구매실적 2549억원 대비 9배 증가한 수치다.
지난해 정부와 공공기관의 녹색조달 구매를 통한 환경적 편익은 3823억원으로 분석되며, 이중 에너지저감 제품구매에 따른 이산화탄소 감축량은 54만3000톤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서울시의 일평균 승용차 통행량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량으로 환산하면 약 15일간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상쇄하는 효과와 같다.
2004년부터 지난해까지 공공기관의 녹색제품 누적 구매액은 총 15조원에 달하며, 누적 환경적 편익은 총 1조2364억원, 에너지저감 제품구매에 따른 이산화탄소 감축량은 총 479만톤에 이르는 것으로 분석됐다.
기관 유형별 구매실적으로는 지방공기업, 공기업, 지방자치단체가 전년과 비교해 높은 금액 증가율을 보였다.
또한 전체 녹색구매 실적의 절반을 차지하는 토목ㆍ건축ㆍ자재류의 구매 금액은 전년(8634억원)보다 약 20% 증가한 1조299억원으로 가장 크게 증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