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용 물놀이 풀에서 생식ㆍ신체발달 유해 물질 검출

입력 2015-08-09 15:2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시중에 판매되는 어린이ㆍ유아용 물놀이용 풀에서 장시간 노출 시 생식기능이나 신체 발달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프탈레이트 가소제 물질이 검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연맹은 시중에서 판매되는 물놀이 풀 10종을 선정해 시험한 결과, 디코랜드의 피셔프라이스 베란다 풀에서 프탈레이트 DINP(Diisononyl Phthalate : 다이이소노닐프탈레이트)가 16.8% 검출돼 주의가 필요하다고 9일 밝혔다.

DINP는 플라스틱을 부드럽게 하기 위한 가소제 물질 중 하나로, 내분비계장애 추정물질로 생식기능이나 신체 발달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완구의 안전확인 안전기준과 어린이제품 공통안전기준에 따르면 프탈레이트는 DEHP(다이에틸헥실프탈레이트), DBP(다이부틸프탈레이트), BBP(부틸벤질프탈레이트), DINP(다이이소노닐프탈레이트), DIDP(다이이소데실프탈레이트), DNOP(다이엔옥틸프탈레이트)의 총합이 0.1%이하여야 한다.

납, 카드뮴, 크롬, 비소와 같은 중금속은 모든 제품에서 나오지 않았다.

조사대상 10종 중 5개 제품(위니코니의 엠버 에어쿠션풀, 미미월드의 뽀로로타원풀, 두로카리스마의 사각중형풀장, 라온토이의 라바 사각 베이비풀, 인텍스 인더스트리의 키즈 그늘막 튜브)에서는 재료를 깨끗하게 절단ㆍ마무리하지 않아 생긴 거친 부분이 나타났다.

소비자연맹은 물놀이 풀 내에서 아이들이 수영복이나 옷을 입지 않은 상태로 있기 때문에 거친 부분이 피부에 상처를 낼 수 있다고 설명했다.

10개 제품 중 같은 회사의 2개 제품(베스트웨이의 그늘막 튜브ㆍ프레임풀)은 모델명, 제조연월, 제조자명, 수입자명, 주소 및 전화번호 등을 한글로 표시해놓지 않았다.

소비자연맹은 “어린이ㆍ유아용 물놀이 풀은 입에 무는 완구처럼 씹히는 제품은 아니지만 아이들이 풀 안에서 장시간 놀면서 입에 접촉할 수 있으므로 가소제ㆍ유해화학물질에 대한 노출 우려가 크다”고 지적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써보니] ‘도널드 트럼프’ 묻자 그록3·딥시크가 한 답변은?
  • 이지아, '친일파 논란' 조부 과오 사과…김순흥은 누구?
  • 제니→육준서 '어리둥절'…그놈의 '중안부'가 뭐길래 [솔드아웃]
  • 백종원, '빽햄 파동' 이겨낼까…등 돌린 여론 뒤집을 비장의 수는? [이슈크래커]
  • "용왕이 점지한 사람만"…전설의 심해어 '돗돔'을 아시나요 [레저로그인]
  • 비트코인, 금리 인하 가능성에 깜짝 상승…9만8000달러 터치 [Bit코인]
  • 안전자산에 '뭉칫돈'…요구불예금 회전율 5년 만에 최고
  • 그래미상 싹쓸이한 켄드릭 라마…'외힙 원탑'의 클래식카 컬렉션 [셀럽의카]
  • 오늘의 상승종목

  • 02.2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5,303,000
    • +0.55%
    • 이더리움
    • 4,111,000
    • +1.13%
    • 비트코인 캐시
    • 485,900
    • +1.5%
    • 리플
    • 3,922
    • -2.05%
    • 솔라나
    • 262,600
    • +1.82%
    • 에이다
    • 1,183
    • +0.68%
    • 이오스
    • 963
    • +0.31%
    • 트론
    • 368
    • +3.66%
    • 스텔라루멘
    • 502
    • -1.76%
    • 비트코인에스브이
    • 57,200
    • +0.88%
    • 체인링크
    • 27,370
    • +1.71%
    • 샌드박스
    • 568
    • +3.0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