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량, 신호결함, 취급부주의 등으로 발생한 지하철 지연운행이 4년 새 1.9배나 증가했고, 37.8%는 출퇴근시간에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국토교통부가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김태원 의원(경기 고양 덕양을)에게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2010년부터 올해 6월말까지 발생한 지하철 지연운행은 370건에 달했다.
연도별 살펴보면 2010년 45건, 2011년 55건, 2012년 56건, 2013년 85건, 2014년 85건으로 4년 새 1.9배나 증가했고 올해는 6월말까지 39건이 발생했다. 이는 월평균 5.6건이 발생하는 셈이다.
원인별로는 차량결함이 140건으로 가장 많고, 외부요인 83건, 신호결함 52건, 취급(관리)부주의 38건, 선로전환기결함 23건순으로 지연운행 원인 중 65.1%(241건은)는 차량, 시설결함 등 시설‧장비결함으로 발생했다.
지연운행이 발생한 곳을 지역별로 살펴보면 경기가 161건으로 가장 많았고, 서울 145건, 부산 22건, 인천 16건, 대구 14건순이다.
노선별로는 코레일이 운영중인 경부선이 67건으로 가장 많고, 경원선 43건, 분당선 28건, 경인선 22건, 안산선 20건순으로 코레일이 운영하는 지하철노선에서 66.2%(245건)가 발생했다.
지연운행의 37.8%(140건)은 출퇴근시간에 발생했고, 54.6%(202건)는 30분이상 지연됐고, 많게는 10시간 이상 지연된 경우도 있었다.
김태원 의원은 “정시성으로 인해 많은 이용객이 이용하는 지하철이 차량, 신호결함, 취급부주의 등으로 지연운행되어 이용객들이 불편을 겪고 있다”며 “노후부품 조기 교체, 유지보수 기준 강화, 인적오류 저감을 위한 교육훈련 강화 등 관련 대책을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