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과 IMF는 11일 을지로 롯데호텔에서 '아시아의 레버리지: 과거로부터의 교훈, 새로운 리스크 및 대응 과제'를 주제로 '2015년 BOK-IMF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기획재정부 후원으로 마련된 이번 컨퍼런스에는 IMF 실무진이 대거 참석했다.
기조연설자로 나선 시닷트 티와리(Siddhart Tiwari) IMF 전략 및 정책리뷰국 국장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많은 아시아 국가에서 부채, 특히 기업부채가 빠르게 증가하면서 최근 이들 국가의 높은 레버리지가 금융안정리스크로 부각됐다"고 진단했다.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아시아 국가들이 상대적으로 낮은 레버리지를 갖췄던 것과는 전혀 다른 상황이라는 것이다.
티와리 국장은 달러 부채의 증가도 미 연준의 정책금리 인상 이후 미 달러화가 절상된다면 잠재적인 위험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티와리 국장은 정책대응방안으로 △잠재적 리스크요인을 줄이는 선제적 대응 △위기상황을 극복할 위기관리체계 △구조조정과 디레버리징 및 경제회복을 뒷받침할 사후조치가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딩 딩(Ding Ding) IMF 아태국 선임연구원은 우리나라 가계부채에 대해 이자율 상승 위험에 노출돼 있다고 분석했다.
딩 선임연구원은 "한국의 가계대출은 부채 증가가 대체로 경기순환 및 구조적 요인을 반영해 가계의 대차대조표 측면에서 별다른 문제점이 없는 것으로 보이지만, 향후 이자율 상승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고 진단했다.
또한, 기업 대출은 소수 기업에 집중돼 있다는 점을 지적하기도 했다. 딩 선임연구원은 "기업대출은 총액 기준으로 보면 큰 문제가 없지만 중국, 일본, 인도 그리고 한국에서 기업 대출이 소수의 회사에 집중돼 있고, 이들은 유동성 및 수익성도 낮아 향후 금융 안정을 저해하는 위험요소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