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경제전반에 걸친 불확실성은 주로 대외불안에 기인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아울러 이같은 불확실성의 정도는 40 수준으로 2011년을 전후한 유럽재정위기 때와 비슷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 지수는 2014년말 14.0을 저점으로 꾸준히 상승했다.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9년엔 91.6, 유럽재정위기시인 2011년엔 53.8까지 치솟았었다.
한은은 이같은 지수 산출을 위해 경제전망, 금융시장, 대외부문 등 3개부문으로 나눠 ▲주가와 ▲환율 ▲BSI ▲국내총생산(GDP) ▲물가 ▲미국 ▲유럽 ▲중국 등 8개 지표를 선정 분석했다. 또 지표의 표준화를 위해 0과 100 사이의 값으로 변환한 뒤 불규칙성요인을 제거키 위해 3개월 이동평균선으로 불확실성 지수를 계산했다. 다만 여기서 나온 수치를 단순비교키는 어렵다는게 한은의 설명이다.
실제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에는 환율과 주가의 불확실성 상승 기여도가 가장 높았다. 반면 지난해 7월부터 10월까지는 중국변수의 기여도가 가장 높았다. 이 8가지 지표의 기여도를 합하면 당시 불확실성 지수와 같은 값이 나온다.
이현창 한은 모형개발팀 과장은 “2014년말 이후 불확실성이 높아진 것은 대외요인에 의한 것으로 밝혀졌다”며 “해외요인을 직접적으로 통제하기 어렵지만 정책 등 국내부문의 불확실성 축소 노력을 통해 우리경제를 둘러싼 불확실성의 전반적인 수준을 낮추는데 주력할 필요가 있겠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번 연구는 경제 불확실성을 수치로 관측해볼 수 있었다는데 의의가 있었다”며 “특정 시점의 불확실성 수준을 과거 대비 몇배로 구분하긴 어렵지만 수준이 크다 작다 같다로 해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