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나라에서 방송사 영업정지가 이뤄지는 것은 초유의 사태다. 롯데홈쇼핑은 협력업체들의 피해를 호소하며 미래부에 시정조치 계획을 담은 의견서를 제출하고, 제재 완화를 기대하고 있다.
23일 미래창조과학부 및 롯데홈쇼핑에 따르면 미래부는 지난 13일 롯데홈쇼핑에 '프라임 타임(매출 최고 시간대로 보통 저녁 7~9시를 의미함) 6개월 영업정지 처분'을 골자로 하는 시정조치 계획을 보냈다. 롯데홈쇼핑은 이날 미래부에 시정조치 계획에 대한 의견서를 전달했다. 이에 따라 미래부는 롯데홈쇼핑 의견을 참고해 최종 제재 수위를 확정하는데 이번 주 내로 결정될 전망이다.
롯데홈쇼핑 측은 프라임타임 6개월 영업정지 시 협력업체들의 피해가 막대할 것으로 우려했다. 롯데홈쇼핑 협력업체는 500여 납품업체와 120여 단독거래 업체 등으로 이 회사들은 프라임타임 영업정지 시 고스란히 타격을 입는다는 설명이다. 롯데홈쇼핑의 프라임타임 매출 비중은 50%가 넘는다.
롯데홈쇼핑 관계자는 "이날 시정조치 계획 등을 담아 제출한 의견서에서 우리뿐 아니라 협력사들의 피해가 막대함을 충분히 설명했다"며 "최종결정 때는 이 부분이 고려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영업정지가 되면 롯데홈쇼핑의 매출도 타격을 받을 수 밖에 없다. 최고 매출을 올리는 프라임타임 때 쉬게 되면 롯데홈쇼핑 1년 매출 중 30~40%가 감소할 것이란 게 업계 관계자들의 분석이다. 또 케이블TV 등 유료방송에 준 송출수수료(지난해 기준 2000억원) 중 절반(1000억원)을 날릴 처지다. 귀책사유가 롯데홈쇼핑에 있으니 송출을 못해도 롯데가 비용으로 떠안아야 하기 때문이다.
한편, 롯데홈쇼핑은 지난해 말 3년 재승인을 받는 과정에서 미래부에 임직원 범죄사실을 고의로 축소하고, 허위 자료를 제출했다고 지난 2월 감사원으로부터 지적을 받았다. 방송법에서는 TV홈쇼핑업체가 부정한 방법으로 재승인 등 허가를 취득했을 경우 영업정지와 재승인기간 단축 등을 규정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