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핏이 투자한 중국 전기차업체 BYD, 모노레일 시장에 진출

입력 2016-06-29 09:3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왕촨푸 BYD 회장 “중국 시장 규모 525조원 달해”

워런 버핏이 투자한 회사로 잘 알려진 중국 전기자동차업체 BYD가 모노레일 시장 진출을 노리고 있다.

BYD는 중국 일부 중소도시와 교통정체 해소 방안으로 모노레일을 설치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고 28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이 보도했다.

왕촨푸 BYD 회장은 “중국 약 300개 도시에 평균 70km 길이의 모노레일이 깔린다고 가정하면 그 시장 규모는 3조 위안(약 525조원)에 달한다”며 “전기차에 이어 우리의 새 성장동력이 될 것”이라고 자신했다.

모노레일은 차선이 분할된 곳 위에 세울 수 있는 단일 궤도 차량으로 건설비가 지하철의 6분의 1에 불과하고 유지·보수 비용도 저렴하기 때문에 중소도시에 적합한 교통수단이라고 왕 회장은 설명했다.

그는 “중국 중소도시는 자동차가 연평균 15% 속도로 늘어나고 있지만 도로 면적이 커지는 비율은 평균 1%에 불과하다”며 “이들 도시가 모노레일 같은 수단을 채택하지 않으면 베이징 등 대도시처럼 심각한 교통정체에 빠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많은 중소도시 관계자가 현재 우리와 모노레일을 의논하고 있다”며 “이들은 재정이 풍족하지 않아 지하철을 건설할 수 없다. 그렇다면 방법은 위로 가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왕 회장은 모노레일 진입장벽이 높아서 다른 기업이 쉽게 진출하지 못할 것이라며 이 시장 진출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고 통신은 전했다.

스티브 만 블룸버그인텔리전스 자동차 애널리스트는 “BYD는 지방정부와의 원활한 관계, 지난 수년간 전기버스를 마케팅하면서 구축했던 대중교통에 대한 노하우 등을 활용할 수 있다”며 “전기 모노레일은 배터리 등 BYD의 다른 사업도 확장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왕 회장은 중국 모노레일 시장에서 BYD의 주요 경쟁상대로 히타치와 봄바디어 등 외국 철도 차량 건설업체들을 꼽았다.

BYD는 오는 9월 중국 선전에서 4.4km 구간의 모노레일 운영을 시작한다. 8칸의 모노레일 차량은 한 번에 약 1600명의 승객을 실어 나를 수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새 학기 전 내 아이 안경 맞춰줄까…‘서울 어린이 눈건강 지킴이 사업’ 신청방법은 [경제한줌]
  • "TV만 틀면 나온다"… '다작의 아이콘' 전현무가 사는 '아이파크 삼성'은 [왁자집껄]
  • 단독 “판사 여기 숨어 있을 거 같은데”…‘서부지법 사태’ 공소장 보니
  • '국가대표' 꾸려 AI 모델 개발 추진…"중·소·대기업 상관없이 공모" [종합]
  • [날씨] 전국 맑고 '건조 특보'…시속 55km 강풍으로 체감온도 '뚝↓'
  • 트럼프發 반도체 패권 전쟁 심화…살얼음판 걷는 韓 [반도체 ‘린치핀’ 韓의 위기]
  • 창업 도전 해볼까…카페 가맹점 평균매출액 1위는? [그래픽 스토리]
  • ‘나는 솔로’ 24기 광수, 女 출연자들에 “스킨쉽 어떠냐”…순자 “사기당한 것 같아”
  • 오늘의 상승종목

  • 02.2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3,980,000
    • +0.67%
    • 이더리움
    • 4,058,000
    • +0.22%
    • 비트코인 캐시
    • 479,300
    • +0.52%
    • 리플
    • 4,000
    • +4.68%
    • 솔라나
    • 255,400
    • +0.95%
    • 에이다
    • 1,161
    • +1.49%
    • 이오스
    • 950
    • +2.59%
    • 트론
    • 354
    • -2.75%
    • 스텔라루멘
    • 504
    • +1.41%
    • 비트코인에스브이
    • 56,800
    • +0.18%
    • 체인링크
    • 26,900
    • -0.3%
    • 샌드박스
    • 546
    • +0.7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