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ㆍ해운 등 전통적 주력 산업의 경쟁력이 약화하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미래 먹거리로 제약ㆍ의료기기ㆍ화장품 산업을 적극 육성한다는 계획을 내놨다. 4년 후 이 분야에서 수출은 2배, 일자리는 18만 개까지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정부는 8일 오전 황교안 국무총리 주재로 제88회 국가정책조정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을 담은 의약품·의료기기·화장품 등 보건산업 종합발전전략(2016~2020)을 확정했다.
이번 종합계획 수립의 배경은 조선, 해운, 중공업 등 전통산업의 위기에 대한 정부의 고민이 담겨 있다.
정부에 따르면 세계적 경기 둔화 추세에도 국내 의약품·의료기기·화장품 생산액은 2011년 25조3000억 원에서 지난해 32조7000억 원으로 연평균 6.6% 증가했다. 같은 기간 수출액은 4조7000억 원에서 9조3000억 원으로 18.7% 뛰었다.
지난해 국내 제약업계는 한미약품을 포함해 총 26건(약 9조3000억 원)의 기술 수출과 5건의 신약개발 성과를 내는 등 성공 사례도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보건산업 7대 강국 도약’을 목표로 의약품·의료기기·화장품 분야에서 해외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기업을 육성할 계획이다. 태동 단계인 정밀의료ㆍ재생의료는 산업 기반을 마련한다.
제약의 경우 글로벌 신약 개발을 위해 국내에서 수행한 의약품의 임상 3상, 연구개발(R&D) 시설 투자 등에 세제 지원(중소 10%, 중견 8%)을 확대한다. 국내 제약기업의 해외 진출을 위한 현지 수입ㆍ유통법인 설립도 지원한다.
이를 통해 현재 3종(SK케미칼 앱스틸라, LG생명과학 팩티브, 동아제약 시벡스트로)뿐인 글로벌 신약을 2020년에는 17개로 늘릴 계획이다.
의료기기에 대해서는 임상시험 비용 지원을 늘리고 유통ㆍ관리제도를 선진화해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기로 했다.
정부는 화장품 산업의 수출 확대를 위해 항노화, 감성 화장품 개발을 위한 R&D 투자를 신설하고, 국가별 피부특성은행을 2017년까지 19개 도시로 늘린다. 주요 수출국 현지 체험관과 유통채널도 확대할 예정이다.
차세대 의료서비스로 주목받는 ‘정밀의료’의 기반을 구축하기 위해 10만 명의 유전체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암 진단·치료법 개발도 추진한다.
줄기세포를 이용한 세포치료제 등 첨단 재생의료기술이 환자 진료에 활용될 수 있도록 ‘병원 내 신속 적용제도’ 등도 도입한다.
복지부 관계자는 “이번 대책을 통해 2020년까지 보건산업 수출액은 20조 원으로 늘어나고, 일자리 수는 18만 개가 창출될 전망”이라고 말했다.